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2022 카타르 월드컵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2022 카타르 월드컵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개념글 리스트
1/3
- 토스뱅크 부도설 나오는 이유 핑계고
- 벳남 현실 ㅁㅁ
- AV 배우.. 몸 ..jpg 3dd
- 진지빨고 쓰는 레데리 시리즈34 - 우편 배달부 편 badassbilly
- 아ㅅㅂ 매형 ㅈ같은 ㅇㅇ
- 김혜수가 충무로에서 살아남은 이유 ㅇㅇ
- 싱글벙글 살인일기 ㅇㅇ
- 기술발전에 기여할 X스로봇 산업.jpg ㅇㅇ
- 우파 트랙스 하체리뷰 요약 ㅇㅇ
- 실시간 서울대 에타 군인이 쓴 글.jpg ㅇㅇ
- ???: 마통론은 극소수 사례 일반화이고 도태남의 발작임!! ㅇㅇ
- 본격....뉴트로 K-그래블.... 끌베이
- (약스압) 수수로 아츠 만들고 있어 ver 1.01 ㅇㅇ
- KBS..중국 경제위기 상황 정리해준다 ㅇㅇ
- 감동실화) 훌쩍훌쩍 오늘자 대타로 미팅에 나가게된 강대붕이.sad ㅇㅇ
스압)천안함 보고 왔다
간거 자체는 작년인데 날이 날이니만큼 이번에 올려봄 전역하고 또 이 동네를 오게 될 줄은 몰랐다 2함대 출신 2 + 육군 1 + 공익 1끼리 술마시다가 갑자기 얘기나오더니 그 다음날에 신청함 고추놈들 이상한데서 추진력 작동하는건 국룰인가 싶음 함머 정문의 포?토존 옆에 있는 회관에서 수병 안내를 받아 안으로 들어갔다 오랜만에 느끼는 개좆같은 정취에 몸을 맡기며 퀘퀘한 해군버스를 타고 목적지로 향했다 참수리-357정 실물 다들 알다시피 전쟁기념관에 있는건 퇴역한 다른 참수리를 개장해 만들어놓은 레플리카다 현측에 무서울정도로 많은 탄흔이 남아있음 같은 곳 같은 시간에 있었지만 탄흔이 단 하나도 없었던 우리 배와 너무 대조되는 모습이다 오랜만에 저 모습을 보니 NLL에서 빨갱이 경비정 상대로 전투배치 붙고 쏘기 직전까지 갔던 기억이 났음 아쉽게도 서해수호관 내부 사진을 찍은건 거의 없다 그래서 기억에 남은 것만 몇 개 찍어왔는데 3kg의 쇳덩이들 의무병 박동혁 병장의 몸 속에서 나온 파편이 무려 3kg였다 저 정도의 쇳조각들이 몸을 헤집어놓고 카포크가 찢겨나가며 내장이 우그러져나오는 순간에도 배 사람들을 살린다고 뛰어다닌거다 (*내장 이야기는 2함대 발행 『함정 손상통제 교훈집』에 실린 내용) 천안함 함수 뒤에 검은칠한건 항공대대 건물이다 PCC의 특징 중 하나인 마스트와 동그란 레이더가 완전히 사라진 모습 기억이 가물가물한데 아마 함 안정기(Fin Stabilizer)일거임 방향타랑은 다르게 함체 중간쯤에 있고 PCC에 안정기가 달린걸 처음 알아서 찍었을거임 음모론자 개병신새끼들이 물고 늘어지던 보호등 어떻게 폭발이 났는데 연약한 형광등이 안깨졌냐! 하는 레퍼토리였는데 림팩에서 어뢰인가 대함유도탄 실사 맞고 두동강난 퇴역함에서도 보호등이 안 깨진걸로 논파됐음 살벌한 문구들이 몇 있는거 봐선 통신실 내지 통기실인거 같음 함수 헐넘버 흐릿한 숫자들이 그간의 고난을 말해주는 것 같다 내가 물리학 쪽은 잘 모르는데 사진을 보니까 함수에서 절단부위로 가까이 갈 수록 선체가 우그러진 모습을 볼 수 있음 일반적인 배들은 철판이 열 때문에 팽창 수축을 반복하면서 저렇게 된다고 들었는데 폭발에서 발생한 강한 압력과도 연관이 있나? 이제부턴 천안함 기념관 내부 해군 출신 게이들에게 많이 익숙한 책상이 보인다 크아악 많이 본 침구류다 여기 사람 들어오면 경쾌한 "실전!"과 함께 전투배치 소리남 저 이불세트 한번 사볼까 해서 찾아봤는데 한세트가 9만원 내외더라 작전사에 있었던 실친 생일선물로 골려주려고 했는데 너무 비싸서 포기함 천안함에 남아있던 수병들 유품 이건 발전기 레플리카인가 피격 직후 상황을 적어놓은 패널들 SSU 또는 UDT 구조요원들의 묘사 46용사의 군번줄들 46용사들이 남긴 유품과 훈장, 표창들 그리고 마지막 가시던 길 ........ 부대 사진은 최대한 안 찍고 배 사진도 안나오게 하려고 했음 우리배 있나 보고싶었는데 서항은 안보이더라 해군상가 옛날에 신라제과인가 빵집 있었던거 같은데 어느 순간 사라져있었고 요즘은 그 자리에 뭐 안 들어왔나? 아무튼간에 10주기 행사 준비하고 진행했던 기억이 갑자기 또 나네 행사장에서의 그 울음도 안 가본 사람들은 한번 가봐라 해군 홈페이지에서 견학 신청할 수 있음 마지막으로 지금도 군갤 보는 해군 장병들의 안전한 항해를 기원하며 북괴 빨갱이와 정치병 음모론자새끼들은 불알에 신나 뿌리고 성냥으로 불붙이길 바랍니다 개새끼들아
작성자 : KNTDS고정닉
(장문 자료, 토론) 벼농사 재배면적 감축정책 관련.
저는 이분과 생각이 다릅니다. https://www.mafra.go.kr/home/5109/subview.do;jsessionid=Maxy5o90ZKsxerurdM17291M.inst11?enc=Zm5jdDF8QEB8JTJGYmJzJTJGaG9tZSUyRjc5MiUyRjU2NTYyMiUyRmFydGNsVmlldy5kbyUzRg%3D%3D 이하 자료에 대한 링크입니다. pdf/한글파일로 확인가능 합니다. 하계조사료는 건초 같이 먹이용 풀, 작물들을 말할 겁니다. 논콩은 벼논만큼 물을 가득 채우는 건 아니지만 논에 콩을 재배하는 것이고, 가루쌀은 밀가루처럼 쓰기 좋은 쌀 종류인데 분식소비가 늘어난 현대에 이를 활용할 방안을 연구중입니다. 시장에 과잉공급되는 쌀의 수급상황을 안정시키고, 쌀을 제외한 타 작물의 국내자급률 향상에서 나아가 궁극적인 식량자급률 향상을 위하여 시행하는 전략작물직불제의 도입대상작물에는 전술한 콩과 가루쌀뿐만 아니라 밀도 포함됩니다. 이 전략작물직불제 적용농지가 벼 재배면적 감축에서 가장 큰 비중(4할 이상)을 차지합니다. 한편 전국민의 쌀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감소추세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쌀 생산이 지속적으로 과잉상태를 유지한다면 이 또한 지속적으로 부담이 됩니다. (후략. 너무 길어서 생략하는데, 전문을 읽어 볼 만한 기사입니다.) https://biz.chosun.com/policy/policy_sub/2023/03/08/AJOAZJ6Q75ABLBDPNZ7S4RNOD4/ [일문일답] 농식품부 차관 “전략작물직불제로 벼 재배면적 감축 기대”일문일답 농식품부 차관 전략작물직불제로 벼 재배면적 감축 기대 일문일답 김인중 농식품부 차관 정부 작년에도 3.2만ha 재배 면적 감축 추진성과는 5000ha 그쳐 짓기 어려운 작물, 소득도 더 적어쌀 감산 쉽지 않을 듯 biz.chosun.com물론 저 벼 재배면적 중 3만7천헥타르를 감축한다는 정책이 현실적으로는 어렵다는 지적도 있고, 틀린 것도 아니라는 생각을 합니다. 그렇지만 맨윗 글대로 강제로 감축하는 정책은 아니며, 역설적으로 보면 정책 시행이 부진하다 보니 재배면적 감축에 동참한 벼재배 농가가 벼농사로 회귀하기도 합니다. (후략) https://biz.chosun.com/policy/policy_sub/2023/03/07/CW5GKTAFABDAPNFOOIYU7LKJRM/ 바로 윗 기사의 지적을 감안하면, 저 벼 재배면적 감축계획은 1인당 쌀 소비량이 감소중인 현실에 따라 어느 정도 대책을 내세운 것이지, 전술하였듯이 마냥 강제적 쌀재배 경지 감축이라고 보긴 어렵다는 생각입니다. 특히 다품종 생산 작물의 재배감소를 겨냥한 정책도 동반한다는 점에서 그렇게 생각합니다. (중략) (후략) https://biz.chosun.com/PFIDEV3C2Q7QP3NKOQD5HHS7Z4/ 직불금 주고, 남는 쌀도 사주고… 세금 年3兆 들어간다직불금 주고, 남는 쌀도 사주고 세금 年3兆 들어간다 정부 쌀값 떠받치기 악순환 - 수요는 줄고, 공급은 넘치고 1980년 1인당 年소비량 132㎏, 작년엔 63㎏까지 줄어 WTO 합의에 따른 年40만t 의무 수입도 한 요인 전문가 정책 근본적 재검토를 biz.chosun.com 이미 7년 전부터 쌀의 공급과잉에 대하여 이러한 문제가 제기된 바이기도 합니다. (중략) (중략) (중략) 이러한 점에서 벼 재배면적 감축계획은 상기한 "전략작물직불제"와 같이 인센티브를 주는 정책과 동반한다면 시행해 봄직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https://biz.chosun.com/policy/policy_sub/2023/03/08/BWHREGAPSBGQ5MW6UPEYXM3ZSA/ 물론 이러한 지적도 정책 실행 과정에서 충분히 수용하여야 하겠습니다. 제가 말씀드리려는 바는 우선, 저 벼 재배면적 감축계획은 강제성을 띠기보다는 인센티브 위주로 진행되지 않겠는가 / 그리고 벼 재배면적 감축계획은 시장에 공급과잉상태인 벼의 수급상황을 안정화하고, 나아가 재배작물을 다양화하여 벼를 제외한 작물들의 국내자급률 또한 향상하며 농촌의 경쟁력을 재고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 크게 이 둘입니다. - 신진보수 사랑방 갤러리: https://gall.dcinside.com/conservativefresh
작성자 : Imperishable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