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히어로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히어로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쓰지도 않는 10원짜리 동전 없애는게 낫지 않음? ㅇㅇ
- 팀버스에서 배트맨이 사귀었던 여자들 물레빌런
- 조감도 사기친거 아니냐고 말나오는 현대건설 ㅇㅇ
- 1968타투남기고 이제 타투 거의 다 지웠다는 배우 나나ㄷ 구너
- 꿈, 사랑, 친구 그리고 왕쮸쭈 진리엠캣
- (블라) 나는솔로가 30대 줌마들의 현실이라는 블라햄 블라탐험가페페
- 애니(버튜버)캐릭터 모에요소 모음 ㅇㅇ
- 실제로 있었던 미스테리 생물 ㅇㅇ
- 연봉 500만엔 여성과 결혼 원한다는 일본 삼대남 프로필 ㅇㅇ
- 윤두창 "김영삼도 국무회의 안했다" 구라치다 들킴 ㅋㅋㅋㅋ 문석열
- (혐주의) 러브버그 먹방한 유튜버가 먹은 또 다른 벌레 도봉
- 싱글벙글 쇼와천황 서거당시 일본반응 피크가디언
- 남성 1691명 유혹해 성관계"…'붉은 삼촌' 정체에 中 발칵 뉴스봇
- "입사하면 동네잔치"…아프리카 MZ들 난리 난 '한국 회사' ㅇㅇ
- 대중음악 최대 갈드컵 비틀즈 vs 마이클 잭슨 ㅇㅇ
갤럭시 언팩 2025 7월 정리
삼성은 7월 10일, 갤럭시 언팩 2025 7월을 통해갤럭시 Z 폴드7·플립7, 워치8·워치8 클래식을 공개함언팩을 못봤거나, 정보를 얻고자 하는 갤러들을 위해요약글을 올려봄목차는 다음과 같음1. 갤럭시 Z 폴드72. 갤럭시 Z 플립73. 갤럭시 워치8·워치8 클래식먼저 Z 폴드7임이번 Z 폴드7은 전작들 대비 획기적으로 얇아짐접었을 때 8.9 mm,펼쳤을 때 4.2 mm로각각 전작대비 무려 3.2 mm, 1.4 mm 감소함무게는 215g으로 전작대비 24g 감소함이제 정말로 일반적인 바형 폰과 거의 비슷해짐그리고 폴드 SE에서 예고했듯이,비율 또한 가로 길이가 더 늘어나서접었을 때 훨씬 더 일반적인 바형 폰처럼 쓸 수 있게 됨힌지의 모든 모듈을 더 얇게 만듦하지만 고강도 소재로 만든 이중레일 구조 덕분에강한 충격에도 힌지가 분리되지 않는 강한 내구성을 가짐또, 윙플레이트 구조로 열리도록 새로 설계함디지타이저를 삭제하고(때문에 S펜 사용 못함)전체적인 레이어를 더 얇게 만들어 두께를 줄임새로운 접착제와 티타늄 소재를 사용한 덕분에더 얇지만 강도가 높아짐이외에도 고급 아머 알루미늄 프레임과전면에는 코닝 고릴라 글라스 세라믹2를,후면에는 코닝 고릴라 글라스 빅터스2를 사용하여 내구성을 강화함그리고 전체적인 내부 구조 재설계하고 공간 최적화한 덕분에전작과 용량은 동일하지만 배터리를 더욱 효율적으로 배치하였음전문가 수준의 광각 카메라가 탑재됐음더 작은 모듈에 더 큰 200MP 센서를 장착하여고해상도 촬영이 가능함그리고 제품의 얇은 프레임에 맞춰초강각렌즈와 망원렌즈를 새로 설계함그리고 이번 Z 시리즈는 One UI 7을 건너뛰고바로 더 개선된 One UI 8이 탑재된다고 함이는 갤럭시 스마트폰 제품 중에서도 가장 빠른 업데이트임Z 폴드7에는 갤럭시 전용 스냅드래곤 8 엘리트 칩셋이 탑재됨전작 대비 38%의 CPU 성능 향상,41%의 NPU 성능 향상,26%의 GPU 성능이 향상됐다고 함새로운 200MP 카메라 덕분에선명하면서도 더 자유롭게 사진을 크롭할 수 있음그리고 초광각 카메라 자동초점 기능 덕분에접사 기능을 활용하여 디테일을 더욱 잘 담아낼 수 있음44% 더 커진 이미지 센서로더욱 디테일하고 선명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음또, 차세대 프로비주얼 엔진을 통해개선된 지능형 장면 최적화와 함께 향상된 선명도를 제공한다고 함전면 카메라의 경우 최대 100도의 시야를 담아내서단체사진을 찍을 때 모든 사람을 프레임에 담을 수 있음이번 Z 폴드7은 전작까지 있었던 UDC가 탑재되지 않았고펀치홀 카메라가 탑재됨S25 울트라와 동일하게 10비트 HDR 촬영을 지원함덕분에 영상을 더욱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음포토 어시스트는 AI 기반 편집 툴킷을 제공하여Z 폴드7을 개인 스튜디오로 바꿔줌여러 창에서 편집창을 확장하고 축소하고,폴드의 넓은 화면을 이용하여원본 사진과 수정된 사진을 한번에 확인한다던지,이런식으로 편리하게휴대폰에서 바로 동영상을 편집하고 다듬을 수 있음S25 시리즈에서 선보였던 오디오 지우개 또한 제공함최대 6가지 유형으로 제거할 수 있음갤러리와 통화녹음, 삼성노트, 비디오 플레이어,그리고 통화 중에서도 오디오 지우개를 바로 사용할 수 있음색상은 제트블랙, 블루 쉐도우, 실버 쉐도우, 민트총 4가지 색상으로 출시되며민트는 삼성닷컴 단독 색상임또 공식케이스는카본 쉴드 케이스, 실리콘 케이스,클리어 그립 케이스, 클리어 케이스이렇게 총 4종이 출시됨사전예약은 7월 15일부터 7월 21일까지 진행됨가격은 다음과 같음12GB 램 + 256GB 모델_237만 9,300원12GB 램 + 512GB 모델_253만 7,700원16GB 램 + 1TB 모델_293만 3,700원(1TB 모델의 경우, 블루 쉐도우와 제트블랙 2가지 색상만 출시됨)그리고 256GB 모델을 사전예약하면512GB 모델로 업그레이드 해주는더블 스토리지 혜택을 제공한다고 함다음은 Z 플립7임플립 또한 두께가 감소하였음펼쳤을 때 6.5mm,접었을 때 13.7mm이며각각 전작대비 0.4mm, 1.2mm 감소함다만 무게는 188g으로 전작대비 1g 증가함Z 플립 시리즈는 그동안 22:9 비율을 고수해왔는데이번 Z 플립7은 가로 길이가 늘어나 21:9 비율로 바뀜덕분에 펼쳤을 때 더욱 일반적인 바형 폰처럼 쓸 수 있게 됐으며폭이 좁고 세로로 길어 불편했던Z 플립 시리즈의 단점들을 해결함또, 그 덕분에 내부 공간을 확보하여역대 Z 플립 시리즈 중 가장 큰 4,300mAh 배터리가 탑재됨최대 8시간 이상의 동영상 재생이 가능하다고 함그리고 시리즈 최초로 UWB가 드디어 탑재됨이번에 플립형 스마트폰 최초로 CoE 기술이 적용됨CoE 기술은 쉽게 설명하자면 편광판을 빼서패널이 얇게한 후 빛 투과율을 높여 소비전력을 낮추는 기술임편광판 대신 컬러필터를 사용해서 색도 더 선명하게 표현됨그리고 Z 플립7에는 더 얇고 강도가 좋아진 아머 플렉스힌지와아머 알루미늄 프레임이 적용되어 내구성을 높였다고 함또, 언팩에는 단 한마디도 없이 지나갔는데Z 플립7에는 삼성의 엑시노스 2500 칩셋이 탑재됨전작 대비CPU 성능 9%(ㅋㅋㅋㅋㅋㅋㅋㅋㅋ)GPU 성능 23%,NPU 성능 22% 향상됐다고 함이번 Z 플립7에서 가장 돋보이는 것은단연코 4.1인치로 확대된 완전히 새로워진 플렉스 윈도우임베젤을 68% 줄여서 화면 공간을 확보했다고 함더욱 커진 외부 화면 덕분에 플립을 펼치지 않고도다양한 작업이 가능해짐그리고 이번엔 드디어 플렉스 윈도우도최대 120Hz 주사율을 지원한다고 함One UI 8 또한 이에 맞춰플렉스 윈도우에서 20가지 이상의 앱과더 다양한 위젯을 제공한다고 함화면을 꾸밀 때 플렉스 윈도우에 잘 어울리는 이미지를 추천해줌공간 감지 기능이 배경과 피사체를 분리하고사진에 맞춰 시계를 구성해줌외부화면에서도 나우바를 사용할 수 있음나우 브리프로 편하게 스크롤하여여행 정보나 스케줄 등을 확인하고다음 일정을 편리하게 준비할 수 있음Z 플립7은 50MP 카메라가 탑재되어선명한 컬러와 디테일을 제공함향상된 프로비주얼 엔진 덕분에사진에 더 사실적이고 자연스러운 느낌을 담아낼 수 있음색상은 제트블랙, 블루 쉐도우, 코랄레드, 민트총 4종으로 출시됨민트는 삼성닷컴 단독 색상임사전예약 일정은 7월 15일~21일로 Z 폴드7과 동일함가격은 다음과 같음12GB 램 + 256GB 모델_148만 5,000원12GB 램 + 512GB 모델_164만 3,400원Z 폴드7과 동일하게사전예약 시 더블 스토리지 혜택을 제공한다고 함그리고 이번엔 Z 플립5·6의 플랫폼을 활용한Z 플립7 FE도 출시됨엑시노스 2400 칩셋이 탑재됐으며블랙, 화이트 2가지 색상으로 출시함가격은 다음과 같음8GB 램 + 256GB 모델_119만 9,000원마지막으로 갤럭시 워치8·워치8 클래식임워치8에는 다이내믹 러그 시스템을 적용해 착용감이 크게 개선됨덕분에 움직임에 관계없이 정확한 신체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음더 얇고 강력한 3nm 프로세서가 탑재됐다고만 하고정확한 칩셋명이 아직 안밝혀졌는데워치8 소개 페이지의 스펙 부분에 기재된 사항을 보아전작과 동일한 엑시노스 W1000 칩셋이 탑재된 것으로 추측됨새로운 "쿠션 디자인"을 적용하면서전작대비 두께가 11% 감소함화면밝기는 3000니트로전작대비 1000니트 증가함전작과 마찬가지로 바이오엑티브 센서가 탑재되었는데,스마트워치 최초로 항산화 지수를 측정할 수 있다고 함이를 통해 식단 및 생활 습관을얼마나 잘 관리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고 함그리고 이번 워치8 시리즈는워치 시리즈 최초로 구글의 AI 제미나이를 탑재함이제 휴대폰 없이도 워치를 통해서 제미나이를 활용할 수 있음손이 자유롭지 않은 상황에서도 음성만으로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됨예를 들어, 300 칼로리 서킷 트레이닝을 시작해줘"라고 명령하면삼성 헬스가 자동 실행되면서 러닝 코치를 시작해간편하게 운동을 시작할 수 있음워치8 시리즈에는 세련되고 컴팩트한 타일 디자인,워치에 최적화된 나우바,사용자 중심으로 새롭게 설계된 홈화면 구조 등을 제공하는One UI 8 워치가 적용됨워치8 시리즈는 주요 기능으로취침 시간 가이드, 혈관 스트레스 측정,러닝 코치, 항산화 지수 측정 등을 제공함그리고 워치 울트라는 단종되지 않고 계속 판매됨기본 용량이 32GB -> 64GB로 증가하였으며새로운 색상인 블루 색상이 추가됨사전예약은 7월 10일부터 21일까지 진행함삼성닷컴에서 구매할 경우워치 액세서리 30% 할인쿠폰 3종을 제공한다고 함또, 갤럭시 러닝Up 챌린지를 진행하여참여 신청 후 워치8 시리즈의 러닝 코치 기능을 체험하고후기를 작성하면 네이버페이 포인트 5천원 권을 주며,우수 후기로 선정되면 특별 러닝 굿즈를 지급한다고 함갤럭시 워치8은 실버, 그라파이트두 가지 색상이 44mm, 40mm 크기로 출시됨가격은 다음과 같음블루투스 모델44mm_45만 9,000원40mm_41만 9,000원LTE 모델44mm_48만 9,500원40mm_44만 9,900원갤럭시 워치8 클래식은 블랙, 화이트두 가지 색상이 46mm 사이즈로만 출시됨가격은 다음과 같음블루투스 모델_56만 9,000원LTE 모델_59만 9,500원이렇게 해서 갤럭시 언팩 2025 7월이 막을 내림
작성자 : SundayMove고정닉
일본의 핵 잠재력
https://www.jnfl.co.jp/en/business/uran/ Uranium Enrichment | Business - JNFLUranium Enrichment | Business - JNFLwww.jnfl.co.jp일본 JNFL(Japan Nuclear Fuel Limited)은 롯카쇼에 있는 우라늄 농축 공장에서 연 1,500ton-SWU/yr의 생산 용량을 가지는 우라늄 농축 공장을 보유중임. 물론 이 시설의 원심 분리기간 연결(캐스케이드)은 저농축 우라늄 생산에 적합하게 되어 있겠지만 (고농축 우라늄의 생산에 최적화된 원심분리기 간의 연결(캐스케이드)이 따로 있음.) (https://www.jnfl.co.jp/en/business/uran/) 이 연결을 고농축 우라늄 생산에 적절하게 바꾸기만 하면 무기급 고농축 우라늄 생산이 가능하다고 봄. 롯카쇼의 농축 시설에는 150ton-SWU/yr의 우라늄 농축 라인이 7개 있고 추가로 450ton-SWU/yr의 우라늄 농축 라인이 있는 걸로 추정됨. 저 농축시설의 분리작업량이 1,500,000kgSWU/yr이고, 1년에 천연 우라늄에서 25kg의 무기급 고농축 우라늄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분리작업량이 대략 5,000kgSWU/yr임. 1,500,000÷5,000하면 300 나오고 출처:(https://www.google.com/url?sa=t&source=web&rct=j&opi=89978449&url=https://isis-online.org/uploads/conferences/audio-video/separative_work_October_30_2014_-_5-2.pdf&ved=2ahUKEwixiNaWs4SOAxVWdPUHHXx2L_IQFnoECEoQAQ&usg=AOvVaw0bBQhyv_gDs4QvEl602yms) 이 300에 25를 곱하면 이론상 1년에 무기급 우라늄이 7,500kg이나 뽑혀 나올 수 있는거임. 즉 "천연우라늄이 끊이지 않고 공급된다면" 한달에 무기급 고농축 우라늄 625kg, 1년에 무기급 고농축 우라늄 7.5톤을 뽑아낼 수 있고 이는 1년에 원시적인 우라늄 내폭형 폭탄 300발을 생산할 수 있는 양임. 물론 이건 이론적으로만 아주 대충 따진거고 실제로 들어가면 1년에 생산되는 고농축 우라늄 양은 위 예상과 다르게 크게 오차가 발생할거임. 일본의 우라늄 농축 능력은 이 정도고, 일본의 재처리 능력을 알아보면 (https://www.jaea.go.jp/english/04/tokai-cycle/02.htm) (https://world-nuclear.org/information-library/country-profiles/countries-g-n/japan-nuclear-fuel-cycle) 도카이에 있던 Tokai Reprocessing Plant(TRP)가 있음. 현재는 가동이 중지된 상태임. 이 시설은 핵무기 보유 국가라면 필수적으로 갖추는 PUREX 공법을 사용하는 재처리 시설이었음. 이 PUREX 공법은 사용후 핵연료에서 우라늄과 플루토늄을 분리하는 기술로 핵무기에 사용할 플루토늄 생산에 필수적인 기술임. 도카이에 위치한 JNC(현 일본원자력에너지개발기구)는 퓨렉스(PUREX) 기술을 이용하여 연간 90톤 규모의 시범 재처리 공장을 운영했었음. 이 공장 은 1977년부터 2009년 초 최종 배치까지 1,140톤의 사용후핵연료를 처리했다고 함. 이 도카이 재처리시설을 이어서 롯카쇼 재처리 시설이 건설됨. 일본전력회사연합회(FEPC)에 따르면, 이 재처리시설은 연간 800톤의 사용후핵연료 처리가 가능함. 이 시설은 1993년부터 건설이 시작되었지만 현재 최소 2027년까지 가동 연기가 된 상태임. (https://fissilematerials.org/blog/2024/08/rokkasho_reprocessing_pla_3.html) 롯카쇼는 도카이에서 사용하던 PUREX 공법에서 핵확산 저항성이 살짝 강화된 COEX라는 공법을 사용함. "롯카쇼 재처리 공장은 회수된 우라늄과 분리된 플루토늄을 탈질하기 전에 결합하는 플루토늄-우라늄 공동 추출 기술을 채택했습니다. 이 공정을 통해 플루토늄은 공정 마지막 단계에서 우라늄-플루토늄 혼합 산화물(MOX)로 회수되므로 플루토늄 자체가 단독으로 회수되는 일이 없습니다." (https://www.jnfl.co.jp/en/business/reprocessing/) 롯카쇼 공장은 플루토늄의 단독 분리를 하지 못한다는 것임. 물론 시간과 자원만 충분하다면 플루토늄만 순수하게 분리가 가능하긴 함. 그리고 일본이 핵무장할때 굳이 롯카쇼를 사용하거나 가동 중지한 도카이 핵재처리 시설을 쓸 필요가 없는데, 그 이유는 일본의 플루토늄 재고량이 2023년 기준 44.5톤이고, 일본 내에서 보관중인 플루토늄의 양이 무려 8.6톤이나 됨. 물론 이 플루토늄은 Pu-240 함량이 높아 장기간 보관할 핵무기에 쓰이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원자로급 플루토늄이긴 하지만 이걸 가지고도 충분히 신뢰성이 높은 핵무기를 만들 수 있음. 원자로급 플루토늄으로 핵무기를 제작하는 것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는 아래 링크에 써둠. https://m.dcinside.com/board/war/4326396 (수정)원자로급 플루토늄으로 핵무기를 만들 수 있는가? - 군사 마이너 갤러리 출처:https://npolicy.org/greg-jones-americas-1962-reactor-grade-plutonium-weapons-test-revisited/ Greg Jones: Americas 196m.dcinside.com 그리고 일본은 열핵폭탄(수소폭탄)연구에도 큰 장애물이 없을 듯 한데, 일본에는 레이저와 이를 이용한 레이저 핵융합을 연구하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오사카 대학교의 레이저공학연구소 (Institute of Laser Engineering)가 있음. 2008년에 일본 오사카대 레이저에너지학연구소(ILE)가 한국원자력연구원에 레이저 핵융합 연구가 가능한 1kJ 급 고에너지 레이저 시설인 GEKKO IV를 기증해줬을 만큼 일본은 선진적인 레이저 핵융합 연구 능력을 보유중임. (근데 여담이지만 기증받은 GEKKO IV 시설이 현재는 한국원자력연구원 창고에서 잠자고 있다는 증언을 여러번 들었음...) ILE에서 보유중인 레이저인 GEKKO-XII는 1983년에 건설된 대형 Nd:glass 레이저 시스템으로 전세계에서 몇 안되는 대규모 레이저 시설임. (https://lf-lab.net/en/introduce/device/) 비교적 최근(2003년)에는 LFEX라는 역시나 그 당시 세계에서 몇 안되는 페타와트급 레이저를 추가로 만들었음. 왜 레이저 핵융합이 열핵무기(수소폭탄)과 연관 있냐고? 레이저 핵융합의 원리가 열핵폭탄(수소폭탄)의 작동 방식이랑 거의 똑같음. 열핵폭탄의 내부 구조는 다음과 같음. 열핵무기 안의 1차 핵분열탄이 폭발할때 나오는 에너지의 70%이상이 연X선(빛)의 형태로 존재하는데, 이 연X선이 위 사진과 같이 2차 핵융합폭탄의 겉부분을 엄청난 온도로 가열해 순식간에 증발시킴. 이렇게 순식간에 증발된 기체는 로켓처럼 작용해 안쪽으로 향하는 엄청난 압력을 만들어냄. 이 압력으로 핵융합 연료를 초고밀도로 압축하고 가열해 열핵융합 반응을 일으키는게 열핵폭탄이고, 이런 핵융합 방식을 관성가둠 핵융합이라고 함. 매우 강력한 레이저(빛)를 이용해 물질의 표면을 순간적으로 가열/증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레이저로도 열핵폭탄에서 일어나는 것과 같은 관성 가둠 핵융합을 일으킬 수 있음. 이 관성 가둠 핵융합은 3가지 방식이 있는데 열핵폭탄의 작동 원리와 거의 똑같은 indirect drive(간접 구동), direct drive(직접 구동), fast ignition(고속점화)가 있는데 간접 구동 방식의 실험은 핵보유국 아니면 못하는걸로 알고있고, 일본은 직접 구동과 고속점화를 연구중이라 알고 있음. 간접구동을 제외한 나머지 두가지 관성가둠핵융합 방식중 제일 열핵폭탄과 가까운 방식은 직접 구동이라고 함. 열핵폭탄과 가까운 정도는 열핵폭탄>=간접 구동>직접 구동>고속점화 순임. 이 직접 구동과 고속점화 분야에서 일본은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를 하고 있음. (요즘은 고속점화를 주로 연구하고 있는 듯 한데 잘 몰?루) 물론 이 레이저 핵융합 연구들이 핵개발을 위해서 진행되는게 아니고 레이저 핵융합 발전소를 위해 연구되고 있는거긴 함. 이런 능력을 종합적으로 따져봤을때 일본은 보유한 8.6톤의 플루토늄 재고를 이용해 매우 빠르게 첫 핵무기를 얻을 수 있고 핵무기의 소형화에 필수인 증폭핵분열탄과 열핵무기 연구개발에 필요한 장비와 자원을 갖추고 있어서 열핵폭탄 설계도 매우 빠르게 진행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거기에 바로 ICBM으로 용도변경은 불가하겠지만 피스키퍼 ICBM과 사양이 유사한 엡실론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당연히 ICBM용으로 전용하긴 힘들지만 하야부사 소행성 탐사 미션에서 얻은 재돌입체 개발 노하우도 있고, 사거리 1500km의 12식 능력향상형 순항미사일도 개발중이고, 고속 활공탄(극초음속 활공탄, HGV)도 있고, 탄도탄도 개발중이니 투발능력 또한 갖추는중이라고 볼 수 있음. 이래서 일본이 "드라이버만 돌리면 핵무장 가능한 국가" 라고 불릴만 하다고 생각함. 물론 첫 핵무기를 이러한 투발수단들에 결합하는데는 핵무기 소형화 및 무장통합 시험으로 인해 추가적인 시간이 소요될 것이긴 함. 일단 알아본건 이정도인데 틀린 내용이 있으면 지적 환영함. - dc official App
작성자 : Anthrax836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