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SKY여 긴장하라. - 성대 서정돈 총장 인터뷰

징옹클론 2006.11.19 13:27:02
조회 86 추천 0 댓글 0




600년 틀` 깬 히딩크式 리더십… "SKY여 긴장하라" [헤럴드경제 2006-07-07 13:47]   〈5〉성균관대 서정돈   투자와 개혁 6시그마 경영기법 도입…학부제 개편등 교육質높여   첨단ㆍ세계화 中전문가 10만양성 역점…유교전통 전수 앞장도   선택과 집중 핵심대학원 외국인에 全權…경쟁통해 역량 제고   36년간 심장이 아픈 사람들을 고치던 의사가 있었다. 그는 600년의 전통에 가려져 원인 모를 통증에 시달려온 환자에게 외과적 수술을 단행했다. 10년에 걸친 대수술, 그 환자는 이제 통증의 원인을 알게 됐다. 그리고 새로운 삶을 위해 강한 의지를 갖고 스스로 변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기 시작했다.   서정돈(53) 성균관대 총장은 "지난 10년 동안 기초를 다졌다면 진짜 본게임은 이제부터"라고 했다. 1996년 삼성그룹이 성균관대의 재단으로 참여하면서 의대 설립의 특명을 받고 합류한 서 총장은 "대학의 서열을 파괴하겠다"고 했다.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소위 스카이(SKY) 대학을 흔들 수 있는 대학은 성균관대뿐이다. 서열이 파괴돼야 스카이 대학도 긴장하고, 한국의 모든 대학이 발전할 수 있다." ▶유교와 첨단기업의 만남, 그 후 10년=`환골탈태`, "마누라만 빼놓고 다 바꿔라"는 이건희 삼성 회장의 말처럼 성균관대의 변화는 눈부시다. 그리고 그 변화의 뒤에는 삼성의 거대한 힘이 버티고 있다.   MBO(목표관리기법), ERP(전사적 자원관리), 6시그마 등 삼성을 초일류 기업으로 이끈 최첨단 경영기법들이 접목되면서, 성균관대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 삼성은 2010년까지 `세계 100대 대학 진입`을 목표로 65개 학과를 14개 학부제로 개편, 학생 수를 14% 줄이고 대신 교육의 질을 높이는 등의 대대적인 커리큘럼 개혁과 투자를 단행했다. 지난해 삼성이 법인전입금으로 지원한 금액은 국내 대학들이 부러워하는 711억원, 10년 동안 모두 7000억원가량이 투자됐다.   서 총장은 "삼성의 브랜드 파워를 통해 성균관대가 얻은 이익은 직접 투자된 지원금과는 비교할 수 없다"고 말했다. 실제로 교류를 제안했을 때 쳐다보지도 않던 미국이나 중국의 명문대학들이, "삼성이 지원하는 대학"이라는 한마디에 태도가 돌변하는 경우가 수도 없이 많았다고 서 총장은 털어놓았다. 푸단대, 베이징대 등과의 상호교류협정도 삼성이란 배경 때문에 가능했다.   ▶성균관대의 `십만양병설`=아무리 삼성이 재단을 맡았다고 하지만 `성균관대`라는 브랜드의 이미지에는 `유교적 전통`을 빼놓을 수 없다. BK21사업의 핵심 분야에서도 유학과 동양철학이 핵심 사업분야로 선정됐다.   서 총장은 "미국이나 유럽 등지에서 우리나라에 유학 오는 학생들이 무엇을 공부하겠는가"라며 "유학사상을 기반으로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의 전통문화와 현대 문제를 연구하는 동아시아학술원을 통해 우리의 전통문화를 세계화시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전통에 발목이 잡히면 발전이 없다. 하지만 성균관대 발전의 초석은 1398년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유구한 선비의 전통이다. 유교의 세계화와 첨단화의 첨병이 바로 동아시아학술원이다." 유교의 연장선상에서 서 총장은 중국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중국이 미국을 제치고 세계의 중심국가로 성장할 것이고, 중국을 속속들이 아는 전문가가 꼭 필요하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그래서 성균관대는 국내 최초로 중국대학원을 설립했다. 중국대학원은 한국에서 1년, 중국에서 1년 공부하는 1+1 체제로 운영되며 중국어와 영어로만 수업이 진행된다. 푸단대와 베이징대 등과 상호교류협정을 체결하는 등 중국에 현지거점을 확보한 중국대학원을 통해 서 총장은 적어도 10만명 이상의 중국전문가를 키워내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속속 진행하고 있다.   ▶성균관대의 히딩크=서 총장은 대학사회에서도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우리의 대학사회에서 한 분야를 선택해 키우고 다른 부문을 도태시키는 작업은 분명 쉽지 않은 일. 서 총장은 월드컵 4강 신화를 창조한 히딩크의 리더십을 벤치마킹했다.   객관적인 분석과 정확한 문제 파악을 위해 서 총장은 인문사회캠퍼스는 삼성경제연구소, 자연과학캠퍼스는 유명 외국 컨설팅회사인 베인앤컴퍼니에 발전계획을 의뢰했다. 경영대학원과 나노과학기술원, 중국대학원은 각각 로버트 클렘코스키 전 인디애나대 석좌교수, 나노 연구 분야 권위자 이지마 스미오, 왕이추 전 베이징대 부총장 등 외국인에게 전권을 부여하고 통째로 맡겼다.   "히딩크의 성공은 오로지 실력을 기준으로 선수들을 경쟁시키고 선발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역점을 둔 핵심 대학원을 외국인에게 맡긴 것은 이들이 학연, 지연 등에서 자유롭기 때문이다." 서 총장과 삼성은 학계의 히딩크를 영입하기 위해 삼고초려를 했음은 물론이다.   "창조성은 다양성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서 총장은 경쟁을 유발하고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 본교 출신 교수를 60%로 제한하고 있다. 꼭 10년 전인 1996년 SCI(과학기술논문 인용색인) 등재 논문이 92건에서 2005년 1500편으로 늘어난 것은 저절로 이루어진 성과가 아니었다.   "요즘 젊은이들이 버릇없다고요? 글쎄, 자유분방하고 괴짜 같기도 한 젊은이들의 개성이 21세기를 살아가는 데에는 더 강력한 무기가 되지 않을까요." 서 총장은 청바지에 쇠줄을 주렁주렁 매달고 활보하는 한 학생을 흐믓하게 바라보고 있었다. Q1 든든한 재단이 있는 총장은 걱정거리가 없을까   =서정돈 총장은 "삼성은 고약한 기업" 이라며 나름의 고충을 토로했다. "삼성을 설득하는 것이 너무 어렵다. 새로운 프로젝트를 하나 제안하면, A부터 Z까지 철저하게 검증한다. 삼성을 설득하는 노력이면, 다른 기업들에는 감동을 줄 수도 있다." 서 총장은 또 "삼성은 가만히 앉아 기다리면 절대 지원을 하지 않는다"면서 "끊임없이 아이디어를 내고 살려는 의지를 보여야 지원한다"고 했다.   서 총장은 학교발전기금을 모금할 때는 오히려 삼성 때문에 불이익을 받는다고 엄살을 부렸다. 기업을 찾아나서면 "삼성이란 한국 최대의 기업이 지원하는데 왜 우리한테 손을 벌리느냐" 면서 볼멘 반응이 돌아오기 일쑤라는 것. 서 총장은 "두 배로 더 뛰는 수밖에 없다"며 "다행히 동문들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모교를 보고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고 말했다.   Q2 의사 출신 총장의 업무 스타일은 어떠한가   =1996년 설립한 의대 학장으로 영입된 서 총장은 2003년 총장에 취임했다. 성균관대 최초의 이공계 출신 총장이다. 환자를 다루던 의사가 총장에 어울릴까? "심장을 고치는 내과의는 현장에서의 신속한 판단이 매우 중요하다. 판단이 늦거나 자칫 실수를 하면 참담한 결과를 초래한다. 순발력 있는 결정에 대한 훈련이 나도 모르게 많이 되어 있는 것 같다. 대학 경영에도 큰 도움이 된다." 성균관대 관계자들은 또 서 총장은 누구도 갖추지 못한 `열린 마음`이 있다고 했다. 오랫동안 현장에서 환자의 고통을 들어준 덕분에 남의 말을 잘 듣는 습관이 몸에 배어 있다는 게 주변의 평가다.   실제로 올해 각 대학이 등록금 인상 문제로 몸살을 앓는 와중에도 성균관대는 학교와 총학생회가 지난 1월 일찌감치 7.3% 인상률에 합의, 분규의 소용돌이를 비켜갔다.   하남현 기자(airinsa@heraldm.com) ▶ 약력 1943년 대구 출신으로 경북사대부고, 서울대 의대를 졸업했고 1973년 서울대 내과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의과대학 부학장을 지냈으며 1997년 성균대 초대 의대 학장을 맡았다. 2003년 2월 성균관대 역사상 최초로 이공계 출신으로 제18대 총장에 취임했다. 국내에서 손꼽히는 순환기내과 전문의로 홍진기 전 중앙일보 회장의 주치의를 맡기도 했다. 국내에 PBL(문제중심학습)을 가장 먼저 도입해 의대 수업에 접목시켰으며, 작년에 `문제중심학습법`을 공동 번역해 국내에 소개했다. 부인 김명조(60) 씨와 슬하에 1남1녀를 두고 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AD 로스쿨 합격을 위한 반전, 논술에서 찾다! 사전예약▶ 운영자 24/05/29 - -
AD 해커스로스쿨 기초인강 전강좌 100% 무료! 운영자 24/02/24 - -
146910 시기적절한 06 수능 입시자료 복습시간 (문과용) [2] ㅡ,.ㅡ 06.11.25 228 0
146908 혹시 초곧휴장아 아주대생 06.11.25 33 0
146907 공대,경영대 서열을 한눈에 알아보기 [3] 아함 06.11.25 250 0
146905 여기 개탑이랑 고시갤 고정닉 개탑하고 샤넬 06.11.25 33 0
146904 대신 아주대 전형은 막장이잖아 [5] ㅂㅈㄷㄹㅈㄷㄹ 06.11.25 219 0
146903 주요대 변천사 ㄲㄲㄲㄲㄲㄲㄲ 06.11.25 147 0
146902 이쯤에서 4갤을 패닉상태로 빠뜨릴 짤방하나!!!!! [1] 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 06.11.25 131 0
146901 한국외대가족 등록금 한번더 내기 운동. [5] 외대 06.11.25 254 0
146900 기본적으로 표준점수-백분위 환산은 [3] 아주대생 06.11.25 69 0
146899 경북대가낳냐 부산대가낳냐? [1] 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 06.11.25 57 0
146898 아주대는 탈출이나 하자. [1] 아주대생2 06.11.25 128 0
146897 이쯤에서 적절한 수능 상위권을 위한 지원 대학안내 V0.0.3 [1] ㅡ,.ㅡ 06.11.25 125 0
146896 전국구 공대서열 [11] ㅇㅇ 06.11.25 336 0
146895 표준점수 어떻게 백분위 환산했는지 갈켜달라고? [6] 아주대생 06.11.25 102 0
146893 얼굴안습어떻게됬냐 [2] 06.11.25 81 0
146892 야 진짜 인정할건 하자. 대학 입시처가 구라치겠냐? [6] 아주대생 06.11.25 264 0
146891 dfhdfh dfhdfh 06.11.25 23 0
146890 경북대가낳냐 부산대가낳냐? [2] 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 06.11.25 55 0
146889 솔직히 아주대 공대는 한양대밑, 성인중경부경외시 다 바른다 [4] 아주대생 06.11.25 209 0
146888 각 사업장에서의 공대파워 [1] ㅇㅇ 06.11.25 167 0
146886 잔다 [1] 개탑 06.11.25 33 0
146885 안암일까요 서창일까요 [5] DAKS 06.11.25 198 0
146884 [나 이 개탑이 새로운 계획을 세우고 있는 중이다] [4] 개탑 06.11.25 70 0
146883 좋은대학은 지들끼리 학점교류 한다 [6] ㅁㄴㅇ 06.11.25 280 0
146882 아까 아주--->연대 생이란 애 어떻게됬어???? [1] ㅁㄴㅇㅎㄴㅇ 06.11.25 82 0
146881 초곧휴장 먹튀햐. 입시처에서 高인풋 자랑해야 우수인재가 [2] 아주대생 06.11.25 53 0
146880 나 정도면 듀오에서 몇점이나 나오냐 [18] ㅋㅋ 06.11.25 240 0
146879 개탑 병신아 넌 꼬라지를 보아하니 편입은 글렀다. [2] ㅁㅁ 06.11.25 64 0
146878 횽아들~ 변리사~ [6] 훃아들 06.11.25 92 0
146877 그간 4갤 보니까 성균관대학교 대박쳤고 점수 올라간다더니 [2] 아주대생 06.11.25 145 0
146876 추억의 4갤러 666. [1] DAKS 06.11.25 55 0
146875 한양대경영.부산대경영,중앙대경영 [4] 둘리 06.11.25 134 0
146873 난 지금 편입시험봐도 고려대정도는 간다. 개탑 06.11.25 75 0
146872 야이 먹튀들아 성균관대 입시 대박쳤다면서 [5] 아주대생 06.11.25 149 0
146871 야 진짜 무슨 4년제대학갤러리 개판이냐 왜이렇게? [2] 개탑 06.11.25 76 0
146870 고려대학교 편입 [1] ㄹㅇㅁㄴ 06.11.25 102 0
146868 근데 그 많던 고정닉들 다 어디갔냐 ; [5] EGU 06.11.25 85 0
146866 공대온것에 대해 후회가 너무크다. [8] DAKS 06.11.25 213 0
146865 4갤러스는 뭐하는데냐? [1] 개탑 06.11.25 19 0
146864 김원철 왜 경원대 왔나했더니 경원대 실건 강사였음 [2] d 06.11.25 121 0
146863 경희대 수원이랑 입시결과 비교해봐따. [6] 아주대생 06.11.25 149 0
146862 젊음만 가지고 오세요. 나머지는 아주대가 책임집니다. ㄴㄴㄴㄴㄴㄴㄴ 06.11.25 86 0
146861 2,3년갤 4년갤은 있는데 [3] ㅁㄴㅇㄹ 06.11.25 48 0
146860 공대는 숭실대가 동국대보다 낫다. [4] 전문가 06.11.25 164 0
146857 대학가서 ''스펙''을 쌓는데 주력하라는 말 많이 하는데 [4] 000 06.11.25 172 0
146854 오늘 경원대에 김원철 왔었다 [1] ㅇㅇ 06.11.25 110 0
146853 4갤은 고정닉이 왜이리 없냐 [7] 개탑 06.11.25 65 0
146852 여기 있는 이과 남고딩들아 간호학과로 가라 [10] ㅁㄴㅇㄹ 06.11.25 159 0
146850 니들 이것만 보면 건국대 부럽냐? [6] 개탑 06.11.25 285 0
146849 스쿨 스타 알바도 명문대만 골라서 홍보한다 [2] ㅁㄴㅇ 06.11.25 79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