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언론에서 보는 주요대학들이다...

ㅇㅇㅇ 2006.11.20 12:12:56
조회 209 추천 0 댓글 2

[논술 출제ㆍ채점 이렇게 한다] 논제 핵심을 정확하게 이해 [한국경제 2006-11-20 11:56]          광고    이장무 서울대 총장은 이달 초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2008년 입시에서 서울대는 특정 지역의 논술학원에 의존한 학생들이 좋은 점수를 못 받도록 만들겠다"고 말한 바 있다. 그는 "지금까지 논술 문제를 출제하기 전에 유명 학원에서 가르친 내용들을 확인해 제외시켰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덧붙였다. 수험생들에게 지나치게 학원에 의존해 특정 이슈에 대한 모범 답안을 달달 외우는 학습방법에 경종을 울린 셈이다. 이 총장의 경고처럼 모범답안을 외우는 방식으로는 상위권 대학 논술고사에서 좋은 점수를 받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최근 대학들이 내놓은 채점 기준을 보면 이러한 예상은 충분히 가능하다. 대학들이 마련한 채점 기준을 살펴보면 ①논제의 핵심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②문제가 요구하는 방식으로 내용을 분석한 후 ③그에 따라 설정된 주장을 자신의 논지로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여기에 ④합리적이고 일관성 있게 논증하고 있는지 ⑤창의적 사고력 표현력이 적절히 뒷받침 됐는지가 추가돼 종합 평가를 내리게 된다. 특히 최근에는 천편일률적 답안보다 합리적이고 논리적이면서 참신한 주장이 담긴 답안에 높은 점수를 주는 경향이 뚜렷하다. 무엇보다 각 대학들은 논술 문제를 기출 문제와 예시 문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노력한다. 제시문이나 주제는 지난해와 동일하지 않지만 논술 출제방향과 자주 등장하는 주제 영역 등을 살펴보면 큰 도움이 된다. 2006학년도 문제를 중심으로 주요 대학들의 정시모집 논술고사 출제 경향을 요약해 본다. ◆경희대=복수 제시문을 통해 하나의 사안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고려하는 능력을 테스트했다. 창의적인 사고를 보는 게 논술시험의 취지라고 학교측은 설명한다. ◆고려대=복수의 제시문이 주어지고 그들의 공통 주제를 찾은 후 제시문 간의 연관관계를 분석하고,자신의 생각을 기술하는 형식이 주로 나온다. 논제에서 글의 방향을 제시하거나 범주를 한정하지 않고 학생 스스로 제시문 분석을 통해 자신의 글을 구성해야 하므로 지문 이해력,분석력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제시문 간의 연관관계를 기술할 때 표면적인 관계뿐 아니라 함의까지 파악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깊은 사고력이 필요함 셈이다. ◆서강대=인생관,쾌락,죽음,노동,실존,정체성 등 인간에게 던지는 원론적인 문제를 다루되 이것을 현재 상황과 접목해 성찰할 것을 요구한다. ◆서울대=주로 복수의 제시문이 주어지고,그것을 이해·분석한 후 자신의 견해를 논술하는 형식으로 출제된다. 다만 지난해에는 제시문을 사례 및 제시문으로 나누어 보여줌으로써 다른 대학들과 구별되는 독특한 형식을 시도했다. 세 가지 사례를 분석해 대등하지 않은 경쟁자들 사이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경쟁 상황을 파악하고,제시문에서 자유와 경쟁의 의미,자유와 경쟁의 제한이 정당화되기 위한 조건 등을 분석토록 한 후 경쟁의 공정성과 경쟁 결과의 정당성에 대한 견해를 논술할 것을 요구했다. 제시문에 한자가 포함됐으나 모두 독음을 달아주었다. ◆성균관대=최근 몇 년간 정시 논술의 출제 범위로 동서양 고전,문학작품,교과서,신문,잡지,논문,도표,그림,통계 등 다양한 소재의 자료를 제시했다. 다만 지난해에는 문제와 제시문을 단순화하고 논의의 방향을 열어둠으로써 간단하고 단순해 보이는 현상에 대한 다각적이고 심층적인 사고를 유도했다. ◆연세대=최근 수년 동안 정시 논술에서는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사항들에 대한 분석 및 성찰을 요하는 주제를 다뤘다. '웃음''이미지''세월의 흘러감' 등 당연하다고 생각하거나 너무나 삶과 밀착되어 있는 사항이라 무관심하게 지나쳤던 소재들을 다양한 각도에서 탐구해 보도록 하고 있다. 2006학년도 논술 주제는 '불안'이었으며 불안이라는 추상적 개념이 사회 안에서 어떤 방식으로 역동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가를 물었다. ◆이화여대=최근 인문학적 성찰을 바탕으로 사회 문제를 논하는 주제가 많았다. 2006학년도 주제도 '언어가 사회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이었다. '언어'를 소재로 광범위한 논의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사회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으로 범주를 한정했다. ◆한국외대=총 세 문제가 출제됐다. 1번 문제는 제시문 분석에 중점을 둔 뒤 각 제시문의 핵심 주장을 파악하고 두 제시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할 것을 요구했다. 2번 문제는 하나의 제시문은 관점으로 주어지고, 그것에 따라 다른 제시문을 분석할 것, ◆한양대=시사적이고 사회적인 쟁점을 출제하는 종전 경향을 그대로 유지했다. 제시문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글의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채점기준을 분명히 했다. 기계와 인간의 관계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사진 및 그림 자료가 제시되었고,이를 데카르트의 이원론과 결합할 것을 요구했다. 애니메이션 '공각기동대',영화 '매트릭스' 등의 장면과 대사 등 친근한 소재를 제시문으로 활용했다. 문혜정 한국경제신문 사회부 기자 selenmoon@hankyung.com 경희/고려/연세/서강/성균관/서울/이화/한국외국어/한양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AD 로스쿨 합격을 위한 반전, 논술에서 찾다! 사전예약▶ 운영자 24/05/29 - -
AD 해커스로스쿨 기초인강 전강좌 100% 무료! 운영자 24/02/24 - -
147394 대기업취업1등이라고자랑하는소강좆병신대 [6] 한양대훌리 06.11.25 110 0
147392 오늘 고대수시에 한양대잠바 입고 온놈 있었다..... [2] ㅁㅇㅁㄴㅇ 06.11.25 168 0
147390 배치표 이과 대충 편집한거 [1] 나잔다 06.11.25 128 0
147389 내 친구중에 적성에 안맞는다고 서성한 자연과학부때려친... [1] 06.11.25 67 0
147388 근데 서성한 나와도 과외 잘돼? [4] 123 06.11.25 108 0
147386 정말 건국대가 생명과학쪽 그렇게 밀어줘? [4] 고3 06.11.25 95 0
147385 과외할 때 서성한 인문계열 vs 중경외시 사회계열 [3] ㅂㅈㄷㄱ 06.11.25 91 0
147384 건국대 vs 아주대 [5] 고3 06.11.25 175 0
147383 현역으로 충남대의대vs 삼수 서울대경영 [3] ㅇㅇ 06.11.25 116 0
147382 밑에 배치표는 K사 인데 [10] 배치표올린놈 06.11.25 214 0
147381 내 친구 고대생인데 이마트에서 알바했다 [6] ㅇㅇ 06.11.25 183 0
147380 과외가 최강이다. 내 친구놈이 민들레 영토 알바할때만 해도 [1] dd 06.11.25 105 0
147379 어디가 좋으냐? 울산대 기계차vs아주대 기계 [1] ㅇㅇ 06.11.25 91 0
147378 니들 과외선생이 영어로 뭔지 아냐? [1] ㅇㅇ 06.11.25 105 0
147377 반수해서 서울대는 가겠지? [6] 123 06.11.25 89 0
147376 우리 지역에 3년전에 전설이라고 불리는 형 있었다. [4] 06.11.25 131 0
147375 미국은 하버드가 꽉 잡고 있다 [2] ㅂㅈㄷㄱ 06.11.25 56 0
147374 좋은대학 다니는애들 막장알바 할때 [4] ㅇㅇ 06.11.25 110 0
147373 천안은 단대가 꽉 잡고 있다 ㅇㅇ 06.11.25 61 0
147372 입결보니깐 건국대 최하위학과가 [1] 고3 06.11.25 101 0
147371 인천은 인하대가 꽉 잡고 있다 ㅇㅇ 06.11.25 58 0
147370 고려대vs원세대 [1] ㅇㅇ 06.11.25 53 0
147369 건국대공대>부산대공대 [20] 음냐 06.11.25 209 0
147368 원주는 원세대애들이 꽉 잡고 있다 ㅇㅇ 06.11.25 73 0
147367 고려대 보건행정도 학교냐? [3] ㅁㅁㅁㅁ 06.11.25 73 0
147366 내가 전에 목동 지나가다가 과외 전단지봣는데 ㅋㅋㅋㅋ [4] 내가전에 06.11.25 132 0
147365 씨발럼들 고2때 수능쳐서 성대 사과간다고? [7] 123 06.11.25 76 0
147364 아주대 기계vs울산대 기계차 ㅇㅇ 06.11.25 48 0
147363 각 대학별 대기업 입사 가산점 배치표 [3] ㅇㅇㅇ 06.11.25 218 0
147362 글올리는 사람들은 대학 어디다녀 [3] 여기 06.11.25 66 0
147361 어디가 좋으냐? 중앙대 기계vs인하대 기계 [1] ㅇㅇ 06.11.25 83 0
147360 어떤 븅신색히가 고2말에 수능쳤어도 성사과간다고 하냐 [2] 뤼팽 06.11.25 59 0
147359 과외할놈들이 피해야 될 동네들 [5] ㅇㅇ 06.11.25 153 0
147358 의에 죽고 참에 살자 [4] ㅂㅈㄷㄱ 06.11.25 70 0
147357 아주대 자연과학부 vs 건국대 자연과학부 [4] 고3 06.11.25 98 0
147356 기다려라 건국대>부산대 증명해줄께 [2] 배치표 06.11.25 58 0
147355 공대 서울산업대vs 명지대 [5] ㅎㅎ 06.11.25 146 0
147354 숭실대학생도 과외하더라 [5] ㅇㅇ 06.11.25 145 0
147352 중앙대 영문과도 과외할수있음???? [4] ㄷㄱ 06.11.25 111 0
147351 내 친구 광운대 학생인데 과외한다 [4] ㅇㅇ 06.11.25 127 0
147350 진짜 과외 페이 졸라쎄다..ㅋㅋ 미안할정도로 [5] 쭈꾸미 06.11.25 147 0
147349 고1때 이대생한테 과외 받아봤는데 [1] ㅇㅇ 06.11.25 87 0
147348 갈만한 학과와 낚시과 최종리스트 대공개!! [6] ㅓㅏ 06.11.25 135 0
147347 과외용 학벌 고려대 보건행정 vs 성대 사과 [6] ㅂㅈㄷㄱㄱ 06.11.25 115 0
147346 어제 새벽 2시에 아주대 버로우 당했음.ㅋㅋㅋ [2] 고3 06.11.25 109 0
147345 건동홍 공대급이면 과외 가능하냐? [1] 06.11.25 57 0
147344 이과 수외탐은 올렸잖아 개색귀들아 [3] 이과 06.11.25 41 0
147343 임시 배치표 떳다. 예상외의 결관데 이거 [3] 06.11.25 235 0
147342 이성적으로 어디가나요.. [8] ㅇㅇㅇ 06.11.25 118 0
147341 성대정도면 명문대지? 나 요번 수능 안습 [9] 123 06.11.25 124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