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영어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영어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개념각] 쏘나타 디엣지, 이거 공중파 뉴스감이네 ㅋㅋㅋㅋ ㅇㅇ
- 우리나라 캠핑카 수준 ㅇㅇ
- 매일 면도 하는 여자 ..jpg 업햄
- 규모가 어마어마한 BYC폐공장 우당탕
- 토끼동산의 비극7.manhwa(금쪽이가 된 아기늑대) 나나니
- 싱글벙글 놀면뭐하니 나온 경규옹 정치
- 유동성! 국채! 연준 대차대조표 박살내기! (5/31 기준) Messure
- 기모노에 똥지린 인티녀......txt 브라질너트
- ㅈ본차 방사능 검사 결과 ㅇㅇ
- 알쏭달쏭 요즘 일본 씹덕들 사이에서 유행중인 밈 캐논
- 상받는 김민재.gif ㅇㅇ
- 오늘자 젤다 야생의 숨결... 눈 감고 깨기....gif 피자구이
- 찐빠난 예비군 CQB 시청각 교재에 대해서 알아보자. AAAA4
- 스압)우니베르소 페라리 사진+썰 몇개 Ferrari_
- 싱글벙글 배우들의 전설적인 아역시절.gif 지현
소련 볼셰비키에 협력한 반민족주의자 명단
1918년 4월, 러시아 극동지역에서 최초의 공산주의단체가 성립한다. 하바로프스크*에서 결성된 한인사회당이 그것이다. 당시 극동소비에트의 소재지였던 하바로프스크에서 당 결성을 결정하고 러시아 볼셰비키 당*을 모방하여 한인사회당을 만들었다.1)1) 『북한의 정치와 사회』 이은호, 김영재 공편, p14.*하바로프스크(러시아어: Хабаровск, 영어: Khabarovsk, 중국어: 伯力)는 러시아의 도시로, 하바롭스크 지방의 중심지이다.*볼셰비키(러시아어: Большевики [bəlʲʂɨˈvʲiki], 문화어: 볼쉐비키)는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에서 블라디미르 레닌이 인솔한 급진적 공산주의 분파이자 유라시아 북부 지역의 공산주의 정당이다. 1920년 4월, 그들은 아무르주*로 이동하여 현지공산주의자들과 협의하여 당을 한인공산당으로 개칭한다.2)2)북한의 정치와 사회 이은호, 김영재 공편 p15.*아무르주(러시아어: Амурская область)는 러시아의 주이다. 볼셰비키에 협력한 공산주의자들은 아래와 같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적 참조.이동휘(李東輝): 1917년 볼셰비키 혁명이 일어나자 공산주의자로 전향하여 볼셰비키에 가입했다. 1918년 볼셰비키에서 지원을 받아 한인 최초이자 아시아 최초의 볼셰비키 당인 한인사회당을 창당하였다.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했으나 다른 요인들과의 의견 대립으로 탈퇴했으며 고려공산당을 창당한 후 남은 생애의 대부분을 공산주의 활동에 투신했다.박애(朴愛): 박애는 1917년 러시아 10월 혁명 이후 하바롭스크에서 수립된 극동소비에트 집행부에서 비서장을 역임했다. 1918년 2월 열린 해외망명자회의에 참석하였고, 4월에 조직된 한국 최초의 사회주의 정당인 한인사회당에 참여하였다. 1919년 4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린 한인사회당 제2차 대회에서 박진순, 이한영과 함께 코민테른* 교섭 대표로 선출되어 11월 말 모스크바에 도착했다. 박애는 모스크바에서 박진순 등과 함께 한인사회당의 코민테른 가입을 요청했고, 제7차 전 러시아 소비에트 대회에 참석하였다. 1920년 4월 러시아 모스크바를 출발해서 돌아오던 도중 러시아 옴스크에 머물며 옴스크 한인공산당 간부 그룹으로 활동하였다.*코민테른은 세계 각국 공산당 및 대표적 공산주의 단체의 연합체이자 지도 조직으로 공산주의 인터내셔널(Communist International)의 약칭이다.오 바실리(О Василий): 오 바실리는 한인사회당의 부위원장으로 활동했다. 빨치산 부대 지휘관으로 활동한 오하묵은 오 바실리의 조카이다.김알렉산드라(Александра Петровна Ким): 1917년 초 러시아사회민주노동당(러시아공산당 전신)에 입당하였다. 이동휘 등이 레닌집단과 관련을 추구하는 것과는 달리 처음부터 볼셰비키(赤派)였다.남만춘(南萬春): 러시아 이르쿠츠크에서 볼셰비키들과 교류하면서 한인들을 모아 빨치산 부대를 조직하였다. 남만춘의 부대는 적군과 협력하며 많은 전투에 가담하였다. 1920년 남만춘은 러시아공산당 산하 이르쿠츠크 위원회 고려부 결성에 참여하였는데, 이 조직은 이르쿠츠크 한인 공산당의 지위를 가지고 있었다.한명세(韓明世): 연해주 출신으로 러시아 사회혁명당에서 활동하다가 러시아공산당에 입당하였다.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의 지도자로, 상하이파 고려공산당과 통합에 관여하였다. 김만겸(金萬謙): 1906년에 한인학교를 열었고, 러시아 당국에서 설립한 한인학교와 한인촌의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1911∼1912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발간된 러시아 신문 『달라카야 오크라이나』('변경'이라는 뜻)의 기자로 일하였으며, 1911년에 특파원으로 조선에 파견되었다. 1918년에는 신한촌(新韓村)의 한인학교에서 교사로 일하였다. 이 시기 김만겸은 러시아 공산당에 입당하였다.박진순(朴鎭淳): 박진순은 연해주주 니콜라예프카 마을에서 출생하였다. 1922년에서 1925년 모스크바대학에서 마르크스주의 철학을 공부하였다. 1927년에서 1928년에 모스크바의 고등교육기관에서 마르크스주의 철학을 강의하였다. 모스크바의 외국인노동자출판부에서 조선분과 검열 담당 편집인으로 근무하던 중 테러 조직에 가담한 혐의로 1937년 12월 15일 체포되었다. 김재봉(金在鳳): 공산주의 비밀결사 확대 중립당 그룹을 이끌면서 1924년 11월 합법 사상단체인 신사상연구회를 전국 조직인 화요회(火曜會)로 확대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1925년 4월 북풍파와 연합해 조선공산당을 결성하였다. 김재봉은 제1대 책임비서에 선임되어 조직 확대 및 여러 활동을 주도하였다.김일성(金日成): 1950년 6월 25일 기습적으로 남한을 침략하여 전쟁을 일으켰으며, 6 · 25전쟁 당시에 군사위원회위원장과 인민군 최고사령관으로 군사작전과 전시동원체제를 통괄하였다. 최용건(崔庸健): 북한의 공산주의자, 소련, 북한의 군인, 정치인. 다른 이름으로 최석천(崔石泉), 최추해(崔秋海), 김지강(金志剛)이 있다. 1957년부터 1972년까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으로 국가수반 역할을 수행했다. 평안북도 태천군 서성면 출생.
작성자 : ㅇㅇ고정닉
방산주 비상 ㅋㅋㅋㅋ
`독재화 길` 들어선 폴란드…韓 수출 무기 대금 수령 안갯속 자금동결 가능성 ㅋㅋㅋㅋ - dc official App한국 무기를 대량 구매한 폴란드 정부가 민주주의 가치를 훼손하는 권위주의 정부를 향한 움직임을 가시화하면서, 한국의 무기수출 대금 수령에도 먹구름이 험로가 예상된다.최근 미국과 유럽연합(EU)은 폴란드가 러시아의 직·간접적 영향을 받아 국가 정책을 결정한 공직자를 사실상 퇴출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데 대해 선거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다며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미 국무부는 지난달 29일(현지시간) 발표한 성명에서 "폴란드 정부가 폴란드의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를 방해하는 데 악용될 수 있는 새로운 법안을 통과시킨 것을 우려한다"고 밝혔다.이어 "우리는 러시아의 영향력을 조사하기 위한 위원회를 설립하는 이 법안이 적법 절차 없이 야당 정치인의 입후보를 막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많은 관측통의 우려에 공감한다"고 강조했다.국무부는 "폴란드 정부는 이 법이 유권자들의 투표권을 침해하거나, 선거의 정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식으로 발동·남용되지 않도록 보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앞서 안제이 두다 폴란드 대통령은 이날 2007∼2022년 러시아가 폴란드에 끼친 영향력을 규명하기 위한 조사위원회 설립 법안에 서명할 방침이라고 밝힌 바 있다.EU에 따르면 이 법안은 공직에서 유럽 회의론자이자 민족주의 정당인 폴란드 집권 법과정의당( PiS) 주도로 제정됐다. 법안의 골자는 하원이 임명한 9명의 위원은 조사 대상 개인들이 2007~2022년 사이 러시아의 입김을 받았는지를 결정하고, 가혹한 처벌(공직 취임 10년간 금지에 해당하는 유죄판결을 받을 경우 항소절차를 박탈)을 받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문제는 현 집권당인 PiS가 오는 10월 총선에서 질 경우에도 '러시아의 영향력'에 속한 모든 위원을 임명함으로써 야당 정치인의 공직 취임을 금지하는 수단으로 악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사실상 10월 총선을 앞두고 폴란드 총리를 지낸 야당 시민강령당(PO)의 대표 도날트 투스크를 겨냥한 법안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이에 대해 디디에 레인더스(Didier Reynders) EU 법무장관은 "법에 따라 시민, 개인, 정치인 등의 공직 선출 권리를 박탈할 특별위원회를 창설하려는 폴란드 상황에 대해 특별한 우려를 가지고 있다"라고 밝혔다.그러면서 브뤼셀에서 열린 EU 장관 회담에 앞서 "사법적 판단 없이 행정적 행위로 시민의 권리를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는 점에서 특별한 우려의 대상일 수밖에 없다"며 "그러한 시스템에 동의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필요하다면 즉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폴란드는 2017년 EU에 가입했다. EU 회원국임에도 2015년 민족주의 성향 보수정당인 법과정의당이 집권한 이후, 대법원에 판사 징계위원회를 설치하는 식의 사법개혁을 추진해 EU 회원국이 지켜야 할 법치주의를 훼손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 때문에 유럽 내에서 러시아, 벨라루스와 함께 민주주의가 위협받는 나라 중 한 곳으로 꼽혀 왔다.그러던 폴란드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우크라이나에 대한 서방 무기·탄약 원조의 주요 전달 통로가 되면서 국제적 위상이 달라졌다. 서방 지도자들이 우크라이나 방문 전후 폴란드에 들러 우크라이나 지원에 사의를 표할 정도였다.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도 지난 2월 우크라이나와 폴란드를 잇달아 방문한 자리에서 폴란드를 두고 "미국의 위대한 동맹국 중 하나"라고 추켜세우기도 했다. 2020년 대선 후보였을 때만 해도 폴란드를 '전체주의 체제의 부상에 굴복할 위험이 있는 나라'로 꼽은 것에 비하면 사뭇 달라진 변화였다.이런 상황에서 미국이 폴란드의 조사위 설립 법안에 공개 우려를 표하고 나선 건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폴란드가 보여준 헌신과는 별개로 민주주의의 핵심 가치인 선거의 자유를 훼손하려는 시도에 대해선 묵과할 수 없다는 분명한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분석된다.EU 역시 PiS가 국가의 사법 시스템을 무력화하는 법 제도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법치를 준수하지 않을 가능성에 대해 유럽연합 차원의 별도 절차를 마련하면서, 동시에 폴란드에 대한 EU 자금 지출을 잠정 동결한 것으로 알려졌다.같은 날 안제이 두다 대통령은 야당이 '반헌법적이고 스탈린주의자'라고 비난하는 법안에 대해 서명함으로써 독재의 길로 한 걸음 다가섰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한편, 유럽 내 폴란드의 위상 변화로 인해 한국에게도 불똥이 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폴란드는 한국과 자주포, 전자, 다연장 로켓, 장갑차 등 천문학적 금액의 군사 무기 판매 계약을 체결한 상황에서 무기 구입 재원인 EU 자금 인출이 중단된 상황이기 때문이다.
작성자 : ㅇㅇ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