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세상의 빛 「실수와 실패 명언」

明言(121.174) 2011.07.18 17:42:11
조회 147 추천 1 댓글 2






- 실패는 자신이 어떻게 실패에 대처하는 가에 따라서

각각 다르게 정의되어진다.






-
실수는 부끄러운 것이 아니다.


단지 \'발견의 시작\' 일 뿐이다.






- 모든 실수가 어리석은 것이라고 말하거나 생각해서는 안된다.






- 자기 자신의 무지함을 결코 과소평가하지 마라.





- 휼륭한 사람은, \'실패를 통하여 지혜에 도달하기 때문에\'

비로소 휼륭하다, 라고 불려질수 있는 것이다.





- 토론이 끝나면, 승자는 중상모략 하지 않는다.





- 실패를 하는 것은 받아들일수 있다.


사람은 무언가에 실패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전이나 시도조차 하지 않는 것은 받아들이기 어렵다.





-
실수를 부끄러워 하지 말고,

오히려 자신이 실수하게 되는 이유를 발견할수 있음을 기뻐하라.


실수하는 이유를 찾아내어 고치면,

자신의 실수를 최소화 할수 있기 때문이다.





-
실패하거나 실수했을때 변명하지 마라.


변명을 잘 하는자, 변명을 많이 하는 자는

세상의 그 어떤 것도 잘 할수 없다.





- 성공을 자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패를 통하여 배운 교훈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더 중요하다.





- 어떠한 일을 포기해버리는 사람은,

자신이 성공에 가까이 왔었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었기 때문이다.





- 사람은 모두 살면서 몇번의 실패를 겪는다.


이것이 바로 우리를 성공할수 있도록 준비시켜 준다.





- 언제까지나 제자로 머물러 있는 것은

스승에 대한 좋은 보답이 아니다.





- 시야를 잃어버리는 것보다 더 좋지 않는 것이 있을까?


있다,

앞을 볼수는 있지만, 목표도 비전도 없는 사람.





- 실수를 저지를지 모를 상황을 피해버리는 것이야말로,

가장 큰 실수를 저지르고 있는 것이다.





- 아래에 있는 사람은 떨어지는 것을 겁낸 필요가 없고,

낮은 곳에 있는 사람은 거만한 태도를 가질 이유가 없다.





- 전문가란,

매우 협소한 분야에서 저지를 수 있는 모든 실수를 당해본 사람이다.





-
비난하거나 불평하는 것은

어리석은 자들이 하는 행동이다.





- 스스로의 실수를 발견하고 기뻐할수 있는 사람은

현자라고 불려질수 있다.





- 자신의 실수를 생각하며 고치면 삶이 길어질 것이요,

타인의 실수만 지적하고 생각하는 사람은 불행해진다.





- 잘못된 행동을 저질렀는데도 고치지 않는 사람은,

또다른 잘못을 저지르고 있는 것이다.





- 실수는 당연히 개선해야 할 부분을 알려준다.


실수가 없다면,

무엇을 개선해야 할지 어떻게 할수 있겠는가?





- 사랑하는 사람에게 할수 있는 나쁜 행동중의 하나는,

스스로 할수 있는 것, 자신이 해야 할 일을 무조껀 대신해주는 것이다.





-
그 어떤 중대한 실수를 저질렀다 하더라도,

언제나 또다른 기회는 반드시 존재한다.





- 사람은 누구든지 실수를 반복함으로써

서서히 능력있는 사람으로 발전하게 된다.





- 실수하며 보낸 인생은,

아무것도 하지 않고 보낸 인생보다 훨신 존경스러울 뿐 아니라,

아주 의미있는 삶을 살고 있는 것이다.





- 올바른 원칙을 알고 있을 뿐, 행하지 않는 사람은

원칙을 진심으로 좋아하는 사람과 같지 않다.





- 그 어떤 비관론자도 별의 비밀을 발견하거나,

미지의 세계로 항해하거나, 인간 정신의 낙원을 열었던 적이 없다.





- 가끔은 혁신을 추구하다가 실수할수도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재빨리 실수를 인정하고,

다른 혁신을 개선해 나아가는 것이 최선이다.





- 실패에 낙담하지 말아라.


실패는 긍정적인 경험이 될수 있는 좋은 것이다.


어떤 의미에서 실패는 성공으로 가는 고속도로와 같다.


오류를 발견할 때마다 진실을 열심히 추구하게 되고,

새로운 경험을 할때마다 신중히 피해야 할 오류를 알게되기 때문이다.





- 어리석은 사람이 현명한 사람에게 배우는 것보다,

현명한 사람이 어리석은 인간에게 배우는 것이 더 많다.


어리석은 사람은 현명한 사람의 성공을 따라하지 않는 반면에,

현명한 사람은 어리석은 인간의 실수를 참고하여 피하기 때문이다.





- 실수를 범헀을때 오래 뒤돌아보거나 하지 마라.


실수의 원인을 마음에 잘 새기고 앞을 내다보라.


실수는 지혜의 가르침이다.


과거는 바꿀수 없지만, 미래는 아직 당신 손에 달려있다.





- 실수는 인간의 일부이다.


너의 실수의 실체를 음미하라.


실수는 어렵게만 얻을 수 있는 소중한 삶의 교훈임을 음미하라.


치명적 실수는 예외지만,

이 경우에도 현명한 사람은 발생한 실수로부터 교훈을 얻는다.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20269 소목정석, 변형정석 같은거 볼수 있는 곳 있나요? [1] 1111(121.189) 13.12.22 796 0
20268 지니어스에 나오는 이다혜 바둑기사님 바둑계에서 유명하신가요? [6] (27.118) 13.12.22 2797 0
20264 프로기사님들이 계가까지 하는 경우는 거의 없나요? [2] 보갤짱짱갤(61.97) 13.12.21 322 0
20261 책만 보다가 바둑을 처음 두었을 때 몇급일까요 [7] 에이(114.205) 13.12.21 457 0
20259 15급 하고 14급 하고 차이가 있나봐요 [3] 보갤짱짱갤(61.97) 13.12.21 253 0
20258 여기서 왜 흑의 권리로 백이 다 죽었는지 정말 궁금합니다.jpg [10] 입문최하수(118.41) 13.12.21 521 0
20257 한국사람도 이러니까 진짜 바둑두기 싫어지네요 [2] 보갤짱짱갤(61.97) 13.12.21 427 0
20256 그냥 계속 6단에서 머무르고 싶다... [5] 111(112.167) 13.12.20 416 0
20255 바둑리그 결승 이세돌vs안국현 개그바둑 [1] ㅁㅁ(114.199) 13.12.20 460 2
20254 혹시 은성위기14 가지고 계신분 있으신가요? [3] 셜록홈즈(119.198) 13.12.20 1567 0
20250 바둑둘사람구하다 [2] 구합니다(1.209) 13.12.20 281 0
20245 바둑복기하기 [1] jusung(175.255) 13.12.19 337 1
20243 여기에 여쭤봐도 될런지 모르겠네요. [6] 해외에서(92.61) 13.12.19 363 0
20241 중국 말고는 못알아 보겠던데 [2] 보갤짱짱갤(61.97) 13.12.19 242 0
20240 갈수록 예와 도에서 멀어져가는 바둑이네 [2] 90(1.241) 13.12.19 351 0
20233 만나는 중국사람 마다 매너가 이모양이니 일반화를 할 수 밖에 없네요 [5] 보갤짱짱갤(61.97) 13.12.19 347 0
20231 안녕하세요 프바사를 소개합니다 [6] 천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18 380 0
20229 저는 처음에 화점만 두는데 안좋은걸까요 [6] ㅈㅂㄷㄷㅇ(220.78) 13.12.18 389 0
20228 옛날 어린이전국대회 입상사진 하나 투척 ㅋ [7] 1997전국오리온배(112.167) 13.12.18 396 1
20227 바갤 흑백전 제 61수 [6] 실수카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18 247 0
20226 서울대입학하기VS바둑5단되기 [19] 니체식설법(223.62) 13.12.18 570 0
20224 혼인보 슈우사쿠가 왜 일본에서 신성시 되는거임? [7] 9충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17 716 0
20220 이 수에 어떻게 둬야 할까요 [5] 1(14.56) 13.12.16 426 0
20218 이세돌의 막판집중력 [7] jusung(175.255) 13.12.16 529 0
20215 바둑공부 할지 말지 개고민 [5] 90(223.194) 13.12.16 523 0
20212 17급에서 한번에 15급 됐어요 [2] 보갤짱짱갤(61.97) 13.12.16 284 0
20211 바갤러들 나이랑 성별궁금하다 [9] 바갤러(39.7) 13.12.16 378 0
20210 바둑이 전형적인 우뇌게임이라고 하더군요.. [3] ㅇㅇ(175.215) 13.12.16 716 0
20209 Zen5 버전의 실력 기대치 [2] 15초(118.38) 13.12.16 4046 1
20205 인터바둑 어플 [2] jusung(175.255) 13.12.15 571 4
20204 한게임에 있는 김성룡 9단님 강좌 괜찮나요? [1] 보갤짱짱갤(61.97) 13.12.15 402 0
20203 바둑 잘 못두는데요 [5] 보갤짱짱갤(61.97) 13.12.15 233 0
20202 오늘 이세돌vs최철한 바둑 대박이네요.. [6] Haru(220.75) 13.12.15 478 0
20199 이창호 2005년이후 수많은 세계준우승 [1] sdf(1.223) 13.12.15 278 0
20181 여러분의 생각을 듣고 싶습니다. [4] ㅇㅇ(119.149) 13.12.14 303 0
20180 바둑 오랜만에 두는데요.. [1] 보갤짱짱갤(61.97) 13.12.14 153 0
20179 2013 스포츠어쿼드 여 진행자 누구임? ㅇㅇ(39.7) 13.12.14 149 0
20176 조훈현,서봉수 SBS 힐링캠프 출연!!! [4] 장그래(121.179) 13.12.14 542 2
20172 바갤 흑백전 제 60수 [2] 고래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13 278 0
20170 형님들 바둑 입문하려고 합니다 [3] XMA(211.222) 13.12.13 337 0
20169 오늘출시된 은성바둑14와 Zen5 칫수고치기 10번기 시작 [9] 15초(118.38) 13.12.13 4786 2
20166 개나소나 타이젬5단이라 화난다.. [7] qq(223.194) 13.12.13 648 0
20165 밑에 1급님 [6] 털없는털남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13 257 0
20164 나 내년에 대학생된다 [13] ㅇㅇ(39.7) 13.12.13 392 0
20163 크게 진 바둑입니다 [2] 1(14.56) 13.12.13 309 0
20162 바둑갤님들 더 지니어스에 출연중인 [4] 필9급(125.183) 13.12.12 488 0
20161 타젬에서 일본,대만애들 못두더라 ㅇㅇ(39.7) 13.12.12 157 0
20158 바둑도 일본 뒤꽁무니를 15년 따라가는거 아닌가요? [3] 에이(114.205) 13.12.12 291 0
20156 내가 생각하는 한국바둑 5강 [2] ㅁㄴㅇㄹ(203.226) 13.12.12 351 0
20155 타이젬 아이패드로 하면 꿀이다. [3] ㅁㄴㅇㄹ(203.226) 13.12.12 377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