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글] 나에게 좋은 일은 언제 생기나 ? (살다보면 좋아지나!)

콩이좋아(183.109) 2013.12.06 10:48:06
조회 323 추천 1 댓글 2

 

옛부터 현인들은.. 세상 살이에 좋은 일도 없고, 나쁜일도 없다고 한다. 그러나, 스스로 이해하기는 커넝, 누가 일러주어도 이해

하지를 못한다. 그래서, 다시 이렇게 일러준다.

세상살이에 좋은 일이 반이면, 나쁜 일도 반이다. 어떻게 좋은 일이 있기만 바라며, 어떻게 나쁘기만 할수 있겠느냐, 이제 알겟느냐고...

 

무자식이 상팔자라는데, 자식 없는 사람의 심정이 어디 그런가, 남들 자식 키우는 거 보면 부러워하고, 자신도 자기(소유)의 아이를 가지려한다.

자식이 생긴(낳은)것이 어디 좋은 일이기만 하겠는가? 키울려면 보통 힘든게 아니다. 잘 키우려면 더 더욱 힘들고, 그렇게 애지중지 키워줘도

부모 뜻 받을어 주는 자식 별로 없고, 대게 고마운줄도 모르고 지 좋을 대로만 하려고 한다. 머리가 컷다고, 성인이라고, 남들도 다 하니까 자기도

그렇게 해달라고 요구하기만 한다.

만약, 자식 낳으면서 좋은 일만 있기를 바라면, 어디가 좀 부족해도 부족하거나, 생 또라이거나, 세상일이 자기 뜻대로 되지 않는다는 평범한

이치도 깨우치지 못한, 철없는 어른 이라고 무시를 당해도 할수 없는 노릇일 것이다.

 

인생을 크게 보면, 생과 사이다. 태어났다가는 어느세 죽는 것이다. 한결 같이 죽을 때 보면 그동안 뭐 이렇다하게 해놓은 것도 없이..

자식 양육이다, 노후 대책이다, 하면서.. 결국 인생의 대부분을 걱정에 걱정만 하면서 세월 다 보내고 죽게 되는 것이 대게의 인생이다.

(너희가 인생을 빵으로 사는줄 아는냐, 걱정(vs 하느님의생명)으로 산다는 말도 있지 않은가?)

 

그럼, 왜 걱정만 하다가.. 인생 다 보내는 것일까? 누구나 다 피하고 싶은 것이 있기 때문이다. 싫은 것이 있고, 피하고 싶은 것이 있어서..

그거.. 못오게 하려고, 그거 안닥치게 하려고.. 걱정이 다들 태산이다. 한 고비 넘으면 또 한 고비 있다고.. 죽는 그날까지..걱정이 그칠 날이 없다.

 

학생 때는 공부 지옥에서 벗어나고 싶고, 어른은 돈 걱정(가난) 없이 살고 싶고, 늙어서 아프지 말아야 하는데.. 십중팔구는..이런 생각속에

살고 있다. 초년, 중년, 말년을 무탈하게 보낼려면.. 여간 힘든 일이 아니다. 확률적으로.. 수학적을 계산해도.. 몇 %로 안되는 힘든 영역이

아니겠는가 ?

 

세상에 태어 나는 일이 가장 좋은 일이고, 죽는 일이 제일 나쁜 일이라고 가정하면, 중간에.. 여러 정거장이 있다. 이런 일 저런 일..

그런데, 가정의 전제 처음을 돌아 보면.. 항상 좋은 일(태어남)이 일어나 있는 상태에서 유지(죽기전까지)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학업을 마치고.. 졸업을 하고, 취직을 하고, 결혼을 하고, 월세을 벗어나 전세로 바꾸고, 집을 사고, 자식을 낳고, 키우고, 걱정하면서..

늙어가고, 병 들고.. 인생을 마감하기 까지.. 중간 중간에..

참 많은 것들을 원하고 또 원하지만, 그 것들이.. 100% 이뤄지지는 않는 것 같다. 황당하고 불가능하기 그지없는 바람들 빼고는..

대게 50%정도는 이뤄지지 않나하고 생각해 본다.

바람의 10%도 이뤄지지 않는 사람도 있고, 거의 90%가까이 이뤄지는 사람도 있겠지만.. 평균적으로 50% 정도라고 본다.

시간적으로도.. 곧바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고, 일정한 시간이나 기간이 지나서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

 

당연히 될것을 바라면.. 즉시 이루어진다. 돈을 내고 물건을 사는 것 같은. 차비를 내고 차를 타는, 밥을 먹고 밥값을 내는 등.

아이가 어른이 되고 싶다는 소원은.. 바로 이뤄지지 않는다, 시간을 요하는 것이다. 사과 나무를 심고 따 먹기를 바란다고 바로

이뤄지지 않는 것 처럼..

 

정말.. 신기하게도.. 사람들이.. 현명하게도.. 자신의 형편에 따라서.. 실현 가능한 바람을 갖는다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살다보면 50%

정도는 이루어진다. 바람의 성격상.. 즉시 이루어지는 당연한 것을 원하는 경우를 제외해야 하니, 시간이 조까 걸리는 경우가 더 많겠지만..

 

즉, 대부분 기력이 18급인 사람이 2달 뒤 5단이나 7단이 되고자 하지는 않는 다는 것이다. 18급인 사람은 몇 개월 뒤 10급이나 7-8급 정도까지

바라는 경우가 많다. 몇 년 뒤에는 5급이나 5단이 되어야지 하는 목표를 세울수도 있고,,,

 

그 무슨, 1만 시간의 법칩, 10만 시간의 법칙이란 말이 있듯이.. 일정한 시간과 노력하고 공을 들이면... 소기의 성과가 있고, 이전 보다 향상된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비록 그것이 미비할 지라도..

그렇다는 것은.. 항상 결과에 만족해야 한다는 결론이다. 미비하면 미비한대로.. 성과가 크면 큰대로.. 자신이 노력하고 애쓴.. 그대로 이기 때문에..

전혀.. 노력한 것이 없다면.. 결과가 없거나, 오히려 나쁘더라도 누구를 원망할 것이 아니라 그대로 현실을 받아 들여야 한다.

만약, 지금 현 상태가 싫고 나쁘다면.. 노력해서 벗어나면 될 것이니 말이다.(자기가 지어서 자기가 받는다고, 자업자득이라 안하나.)

 

특이한 점은.. 그렇게.. 무지하게 애쓰거나.. 노력하지 않아도.. , 시간이 지나면서 거의 저절로 이루어지거나 해결되는 것들도  참 많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그러니, 고맙고 감사하게 생각해야 할 일이 아니겟는가?

 

너무 많은 것을 바라고, 항상 앞서가는 마음이 문제이지.. 돌이켜 생각해보면.. 지금도 좋은 일이 많이 이루어진 상태이고, 좋은 일은 벌써 일어난 상태의 현재 진행형인 것이다.

바라고 바라고 바라기만 하는 마음을.. 줄이고.. 줄이고.. 또 줄이기만 하면.. 만족하고.. 만족하고.. 만족해서.. 모두다 그런대로..

견디고.. 살만한 인생이 아니겠는가?

 

중언 부언, 한말 또하고 또하고.. 말이 참 많았다, 이제까지의 설을 다시 정리해 보자면..

 

지금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이 지금 몇 살이고, 인생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 모르겟지만, 지나온 과거를 돌아보고.. 지금의 당신과 비교해보면..

그래서, 시간의 힘으로.. 저절로 이루어지거나, 자신의 노력으로, 인생을 깨우쳐서,  주변 사람들의 힘으로, 가져다 준 것들을 하나 둘 확인한다면,

나에게 언제 쯤 좋은 일이.. 생기나 하면서.. 막연히.. 기다리는 어리석은 생각을 스스로 다스릴수 있는.. 마음의 여유가 생길지도 모를 일이다.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21807 박정환이 전라도가 아니라서 대성하지 못한다는건 개소리다3 ㅇㅇ(114.111) 14.03.31 148 0
21806 박정환이 전라도가 아니라서 대성하지 못한다는건 개소리다2 ㅇㅇ(114.111) 14.03.31 124 0
21805 박정환이 전라도가 아니라서 대성하지 못한다는건 개소리다 ㅇㅇ(114.111) 14.03.31 155 0
21800 나는 주로 이렇게 상수한테 당함 [5] ㅋㅋㅋ(114.111) 14.03.30 302 0
21799 얘들아 9단들 대국하는거나 프로대국하는거 자주 보면 실력 늘까? [9] ㅋㅋㅋ(114.111) 14.03.30 331 0
21798 나는 돌대가린가 보다... [13] ㅋㅋㅋ(114.111) 14.03.30 339 0
21796 눈썩는 내기보 공유할테니 문제점 보고 뭘 강화해야될지를 알려주셈 [13] ㅋㅋㅋ(118.107) 14.03.30 261 0
21794 국내에서 세계대회 경쟁력 갖춘선수는 박정환뿐인듯. [5] 무투님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3.30 251 0
21793 나현은 해설은 자질이 없는듯 [10] ㅇㅇ(118.107) 14.03.30 312 0
21792 올해는 박정환의 해가 될것이다. ㅋㅋㅋ(118.107) 14.03.30 79 0
21791 타이젬 때문에 중국이 강해졌다 [2] ㅋㅋㅋ(118.107) 14.03.30 217 0
21790 이창호 부활가능성은 거의 없음? [5] ㅋㅋㅋ(118.107) 14.03.30 331 0
21789 김지석이 국내용이란게 안타깝다. [1] ㅇㅇㅇ(118.107) 14.03.30 123 0
21788 박정환이 치열하게 둔다고 어떤 해설이 말하던데 [4] ㅋㅋㅋ(118.107) 14.03.30 223 0
21787 김지석 박정환 4강에서 만난다. ㅋㅋㅋ(118.107) 14.03.30 77 0
21786 형세판단 기능 사용하면 기력이 안 늘지? [8] ㅋㅋㅋ(118.107) 14.03.30 306 0
21783 구리승 [4] ㅇㅍㅇ(114.111) 14.03.30 216 0
21782 유창혁해설님이 졌다고 하시는건 [2] 아이라니.(112.144) 14.03.30 235 0
21781 박정환은 공익임 면제임?? [5] ㅌㅊㅍ(118.107) 14.03.30 268 0
21780 현재 166수 이세돌 패세 ㅇㅇ(118.107) 14.03.30 101 0
21777 후지사와 슈코하고 조치훈 기성전 했을 때 [3] ㅋㅌㅊㅍ(114.111) 14.03.30 859 0
21776 55수 이세돌 실수 ㅇㅇ(118.107) 14.03.30 740 0
21775 현재 44수 이세돌 우세 [2] ㅇㅇ(118.107) 14.03.30 219 0
21774 여러분 얼릉 일나세용! 오늘은 세돌느님의 [3] 아이라니.(117.111) 14.03.30 188 0
21772 오청원 대국집 [1] 마운틴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3.30 663 0
21770 내일 십번기 기대된다. [1] ㅇㅍㅇ(114.111) 14.03.30 214 0
21768 수법의 발견 정말 어렵군요 프로바갤러(118.39) 14.03.29 783 0
21767 소름돋는게 전라도 깠다고 일베충됨 [8] ㅇㅇ(114.111) 14.03.29 454 2
21765 오로바둑 모바일로 깔아봤는데 질문좀요 [2] 론다트 장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3.29 169 0
21764 이번에 김지석기사님이 일내주신다면 [8] 아이라니.(211.36) 14.03.29 219 0
21762 김지석 jusung(175.255) 14.03.29 96 0
21760 타이젬 채팅창에서 드보라가 그랬는데 [6] ㅇㅇ(175.206) 14.03.29 410 0
21759 대마잡이 그는 바둑계의 위대한 천재다 [3] dd(46.165) 14.03.29 893 0
21757 쎈돌은 체력이 문제 아닐까 체력이 약하면 집중력도 안되는데 [4] (14.52) 14.03.29 199 0
21756 춘란배 패배후 복기중인 이세돌의 표정 [4] ㅇㅇ(175.206) 14.03.29 452 0
21755 질문 좀 [7] 14(27.32) 14.03.29 183 0
21754 박정환은 전라도가 아니라 1인자가 되지 못함 [22] 1(128.54) 14.03.29 639 5
21753 이번 이세돌 vs 구리 10번기 후원사가 몽백합임? [6] ㅇㅍㅇ(182.215) 14.03.29 285 0
21751 고바야시류를 만든사람이? [1] dd(180.92) 14.03.29 286 0
21748 춘란배 8강전 대진/예상 [8] ㅇㅇ(175.206) 14.03.28 266 0
21744 춘란배 16강 결과 [8] ㅇㅇ(175.197) 14.03.28 303 1
21743 요다 9단의 전성전 후기 ㅁㅁㅁ(14.39) 14.03.28 225 1
21742 나 타이젬 8단이고 한게임 9단인데 한겜 바머니 2억걸고 내기들어오더라 [2] (110.70) 14.03.28 378 0
21741 저번에 추천해주신 새판을 짜라가 이하림 저자가 맞나요 [6] 프로바갤러(164.125) 14.03.28 271 0
21740 이세돌이랑 구리는 너무 자주만나네;; [3] 1234(1.241) 14.03.28 286 0
21736 세계대회에 많은한국기사분들이 올라가셔도 [6] 아이라니.(211.36) 14.03.27 316 0
21735 고노린이 판팅위 이긴건 이변이 아님 [2] ㅇㅇ(103.4) 14.03.27 305 0
21733 2014 중국리그에 참가하는 한국기사 [6] ㅁㅁㅁ(14.39) 14.03.27 306 1
21731 요새 들어서요.. 바둑은 형태나 모양에 대한 공부라는것을 느끼는 부분이. [6] 나눔과배려(222.238) 14.03.27 563 2
21729 저.. 안녕하세요 질문좀 드려도 될까요..? [4] 샆닉제피로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3.27 259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