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바둑공부와 실력에 관해 참조할만한 글

초심자(1.229) 2014.03.25 18:44:22
조회 3077 추천 17 댓글 9

 

 

좀 옛날글이긴 한데 이거가 좋음.

http://gobaduk.com.ne.kr/ch/ch_note1.html

 

내용 중에서 발췌하자면

 

 

단수감각의 익힘

바둑 입문의 가장 어려운 점은 단수 감각의 익힘이다. 코앞의 단수가 즉각 즉각 보이게만 된다면 그때부터는 어려울게 없다. 단수쯤 익히는데 뭐 그리 어려울게 있느냐고 하겠지만, 열이면 열 모두 이 관문을 벗어나기에 많은 시간을 요한다.
바둑의 원리 즉 기본 중의 기본은 단수라고 할 수 있다. 당장 코 앞에 닥친 단수, 두수 앞 세 수 앞의 단수, 수십수 앞의 단수가 있으니 깊이 파고들 때는 실로 어렵기 짝이 없는 것이 바둑이다. 포석도 단수의 개념으로 확대해석이 된다.
두 집을 내고 독립하여 사는 사활도 단수로 인함이다. 이른바 착수금지점은 단수가 못된 상태이기 때문에 둘 수 없을 따름이며 착수금지점의 예외인 상태는 단수로 좁혀졌기 때문에 둘 수밖에 없는 것이다. 두 점머리를 얻어맞을 때 나쁘다는 것도 단수 상태에 가까워 지기 때문에 불리한 것이며 적의 강세에 너무 접근하지 말라는 것은 넓은 의미에서 이편의 돌이 단수되기 알맞은 형편이 되기 때문이다. 그 뿐인가. 중앙으로 한 간 뜀에 악수 없다는 말도 그 뛰어 있는 모양이 상대방을 단수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는 것이며 맥점이라는 것은 단수를 유도하는 촉발제이기 때문에 유효타인 것이다. 이렇게 따져볼 때 바둑의 원리는 단수 개념 하나로 설명이다 되고도 남는다. 어린이나 어른이나 단수의 상태가 명확히 보이지 않아 바둑 입문이 어려운 것인지도 모른다. 상당히 두는 사람도 자기가 단수된 것은 잊어 버리고 상대방을 단수하다가 물러 달라고 애걸하지 않는가. 하물며 처음 배우기 시작하는데 단수가 잘 안 보인다는 것은 하나도 이상할 게 없다.
간단명료한 기초 이하의 단수를 습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실제에 있어서 제법 걸린다. 그것은 이치를 따져서 되는게 아니라 그냥 눈에 보이도록 되야 한다. 즉 감각으로 감지해야 한다는 뜻이다. 감각이란 상당한 훈련을 통해서 얻어지는 것으로 습관화이다.
어린이 바둑교습에서 처음 3개월은 이 기초 감각의 훈련기간이라고 보아 잘못이 없다. 어른들의 입문이 특히 어려운 이유는 이와 같은 트레이닝을 거치려고 하지 않는 탓에 있다.
다음 3개월은 기초의 2단계 단수감각 훈련이다. 간단한 사활, 간단한 행마법, 간단한 포진 방법등을 익힌다. 이렇게 하여 6개월 쯤 공부하면 집에 가서 아버지에게 9점으로 그럭저럭 판을 짜는 시늉을 하게 될 것이다.
다시 6개월 쯤 더 훈련을 쌓으면 어른들에게서 제법 둔다는 소리를 듣는다. 이 1년 과정은 잘 두는 어른들의 눈에는 지극히 기초적인 교습으로서 하찮게 보일 것이다. 물론 그야말로 초보 교육이지만 이후 방치하더라도 몇 년 지나지 않아 그 어른을 간단히 능가하리라고 본다. 왜냐하면 가장 기초적이고 가장 기본적인 단수개념의 확충이 발전의 바탕이기 때문이다.
필자가 교재로 다루고 있는 사활문제를 6개월 과정을 마친 어린이가 척척 풀고 있는데, 그 어린이를 9점 접는 어른은 정답을 내지 못했다. 거짓말 같지만 실제 실험을 통한 사례이다.


 

 

----------------------------------------------------------------------------------------------------------------------------

 

 

위 글에서는 단수감각만 예를 들었지만 일반적으로 바둑에서 제일 중요한게 바로 저런 습관화된 감각임. 이건 끊임없는 실전을 통해서든 반복훈련을 통해서든 몸에 체득시키는 수밖에 없음. 단수가 안보이는데 무슨 수읽기가 있으며, 하물며 단수가 안보이는걸 무슨 책을 봐서 고치나.

 

수읽기와 감각을 대조하지만 사실 수읽기도 다 감각이 기초. 감각이 어느정도 있기 때문에 수읽기 과정에서 되도않는 수들은 아예 고려에서 제외하거나 안되는수를 끝까지 파고들지 않고 도중에 중단할수도 있고 그러는 것임.

 

예컨대 몇몇 강좌만 끝까지 봐도 5단은 된다고 하는데 그게 쉽나? 1단용 강좌가 1단의 눈에야 직관적으로 보일지 몰라도 10급의 눈에는 그렇지가 않음. 오히려 여러가지 이상한 수를 가지고 왜 이렇게하면 안됨 등의 의문이 생기지. 이는 1단은 직관적으로 보이기 때문에 생략할 수 있는 수읽기가 10급에게는 생략이 안되기 때문임. 10급용, 5급용 강좌를 떼고 나서 1단용 강좌를 들을수 있는게 아니야. 10급과 5급의 강의수준이 감각화되어 직관적으로 체득이 될 단계에 이른 후에야 1단용 강좌를 들을수 있게 되는것. 이것은 엄청난차이.

 

이것을 이해한다면 초급자가 아는 기본사활을 그 초급자를 9점 접어주는 사람이, 심지어 타이젬 5단이 풀지 못할수도 있다는 것도 뭐가 이상할까?

 

이걸가지고 5단이 별거아니다 이렇게 생각하는 것도 오류. 그것은 타이젬 5단인데 기본사활을 못풀겠다 하는 사람들의 푸념만 고려하고 그 반대편의 푸념, 예컨대 나는 사활책과 맥사전을 달달 외울정도로 꿰었는데 바둑은 5급밖에 안된다고 하는 사람들의 푸념을 아예 고려에서 제외시키고 있음. 실상 그러한 사례가 보여주는 것은 이론 이상의 감각의 중요성이지 5단의 허접함이 아님.

 

이렇게만 얘길 들으면 그럼 공부는 소용없으니 실전만 하란 말이냐 이런 생각이 들수도 있는데 그건 아님. 기초가 없는 사람은 당장은 잘나갈지도 몰라도 결국에는 기초부터 닭고 쌓아올린 사람을 못이김. 애초에 윗글이 강조하고 있듯이 감각자체도 과정을 거쳐 제대로 된 훈련으로 쌓은 거랑 야매로 쌓은 것이 다를 때가 많고. 그게 윗글의 요지고 나도 그렇다고 본다.

추천 비추천

17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23490 중국기사들 전적 들춰보다가 알게 된 놀라운 사실 ㅇㅇ(207.244) 14.06.16 357 0
23489 구리의 밥 저우루이양, 저우루이양의 밥 천야오예...... [6] ㅇㅇ(207.244) 14.06.16 398 0
23488 김지석은 올해가 기회다 ㅇㅇ(207.244) 14.06.16 148 0
23487 나는 씹선비다 ㅇㅅㅇ(221.161) 14.06.16 176 0
23483 퇴근길에 최정사범 목격 [6] 털없는털남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6.15 525 1
23481 박정환까가 많다는 건 그만큼 관심이 많다는 반증임. [4] ㅇㅇ(211.226) 14.06.15 202 0
23480 국가대표/상비군 제도는 확실히 좋은 것 같음. [8] ㅇㅇ(211.226) 14.06.15 301 0
23479 미위팅과 판팅위의 특징 [3] ㅇㅇ(175.206) 14.06.15 292 0
23478 중국의 연승대항전 '홍통배' [2] ㅇㅇ(175.206) 14.06.15 184 2
23477 표현의 자유라고 하니 할말이 없는데... [7] KBS바둑은행(221.161) 14.06.15 266 0
23476 학교에 실전파워5단 들어옴 [2] ㅇㅍㅇ(182.215) 14.06.15 381 1
23475 1212는 프로가 뭔지 모르는듯 [6] 1(58.142) 14.06.15 272 0
23474 바둑책추천리스트. 기보편. [14] 바둑책헌터(39.7) 14.06.15 6753 21
23473 1212 논리 수준 [11] ㅇㅇ(112.165) 14.06.15 278 0
23472 바둑에 대한 예의와 올바른 태도를 갖추되 ㅂㅂ(211.33) 14.06.15 128 0
23471 바둑이 아무리 노땅 취미라지만 [2] ㅇㅇ(125.135) 14.06.15 256 0
23470 허용불가한 수준의 맹목적인 지랄은 오로바둑(112.159) 14.06.15 116 0
23469 바둑기사 좀 깔수도 있지 [48] 홍띵보 (112.165) 14.06.15 575 0
23467 바둑학원 다니고 있는데... [4] 에이18급(116.126) 14.06.15 274 0
23466 기본수법사전 살건데 어느 정도 인가요?? [1] 오잉(121.65) 14.06.15 394 0
23465 보통 상대방이 센지 약한지 몇 수 만에 알 수 있나요? [5] 자충수(119.67) 14.06.15 271 0
23464 박정환 계속 까는 놈은 무슨 심리일까? [8] KBS바둑은행(221.161) 14.06.15 281 1
23463 미위팅 퉈지아시 대국중 질문 [3] ㄴㅁㅇㄹ(112.152) 14.06.15 166 0
23462 바둑책 추천리스트다. 개론,사활,맥 [20] ㅇㅇ(175.195) 14.06.14 18013 25
23461 박정환하고 스웨랑엮지말아야 [12] 귀접힌고양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6.14 383 0
23460 안해수 읽기야 [4] ■x(117.111) 14.06.14 284 0
23459 내가 생각하는 체감 세계랭킹 Top 10. [9] ㅇㅇ(211.226) 14.06.14 495 0
23458 발양론보다 귀수마수가 더 어렵지 않음? [1] ㅇㄴ(176.10) 14.06.14 3197 0
23457 여자 바둑기사하면 조혜연이 생각남. [2] ㅇㅇ(211.226) 14.06.14 561 0
23456 사람들이 관심있는 프로랭킹은 [3] ㅇㅇ(218.238) 14.06.14 252 0
23442 이세돌 9단을 시청자의 입장과 아마추어의 입장에서 보면 대단한것이.. [6] 나눔과배려(182.221) 14.06.14 642 0
23441 저는 바둑진행자중 정다원 진행자가 다크호스라 봄 .. [6] 나눔과배려(182.221) 14.06.14 8329 3
23440 최정4단의 가능성은 어느정도로 보나요? [8] 소신산박영훈(110.35) 14.06.13 448 0
23439 재미로 생각해본 이세돌스타일 이창호 스타일 .. [6] 나눔과배려(182.221) 14.06.13 935 1
23438 제1회 응씨배 4강 결과 [2] ㅇㅇ(175.206) 14.06.13 754 0
23437 박정상9단이죠 지금 바둑리그 해설? [2] asdf(112.152) 14.06.13 280 0
23436 영화 스톤후기 [1] 일지매(223.62) 14.06.13 350 0
23435 제1회 응씨배 8강 결과 ㅇㅇ(207.244) 14.06.13 556 0
23434 제1회 응씨배 16강 결과 [1] ㅇㅇ(207.244) 14.06.13 466 0
23433 레전드(P) [9] 황선희..(14.52) 14.06.13 514 0
23432 제1회 응씨배 참가자 명단 [3] ㅇㅇ(207.244) 14.06.13 669 0
23431 올해 박정환vs천야오예 대회전이 향후 주도권을 가를듯 [4] ㅇㅇ(207.244) 14.06.13 320 0
23430 녜웨이핑의 중일 슈퍼대항전 [1] ㅇㅇ(207.244) 14.06.13 1533 0
23429 박정환이 바둑 배우고 8개월만에 전국어린이대회 우승한건 전설 [2] ㅇㅇ(207.244) 14.06.13 1204 8
23428 영화 스톤 보신분? Haru(210.219) 14.06.13 284 0
23427 방학맞이 이벤트 대학교류전 하실학교... [4] 동국핫도그(210.94) 14.06.13 394 0
23426 박정환은천재형기사가아니죠... [7] 귀접힌고양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6.13 1005 1
23425 바둑tv 2인 해설 체제 정말 별로임. [5] ㅇㅇ(211.226) 14.06.13 311 0
23424 90년대랑 지금 비교하니 확실히 판세가 역전됐다는게 느껴진다 [2] ㅇㅇ(141.255) 14.06.13 426 0
23423 천야오예가 현재 세계바둑 4천왕중에는 가장 천재성이 두드러졌음 [1] ㅇㅇ(141.255) 14.06.13 711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