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배틀필드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배틀필드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논란의 6600번 버스사고 싱크로율G
- 싱글벙글 초코파이 돈까스에 도전한 후기 솔방울비장탄
- 레이디 가가 <조커2> 할리퀸은 가짜 광기임 ㅇㅇ
- 싱글벙글 3d 모델링의 이면 ココネンネ
- 중소기업 마스터가 알려주는 '피해야 할 중소기업' 1부 운둔형도토리
- 외국에서 보는 한국 모양.jpg ㅇㅇ
- 싱글벙글 살인일기 ㅇㅇ
- 야요이 생일파티를 준비해보자.jpg 푸우이짐
- 싱글벙글 요식업 의외의 고충 ㅇㅇ
- AV 배우.. 몸 ..jpg 3dd
- 싱글벙글 ok 이모지의 불편한 진실 ㅇㅇ
- (장문 자료, 토론) 벼농사 재배면적 감축정책 관련. Imperishable
- 어제자 공무원 현직 블라인드 "토목직이랑 근무하기 싫다" 시설관리직목표
- 스압)천안함 보고 왔다 KNTDS
- 싱글벙글 AskReddit 시리즈) 가장 끔찍했던 환자 상태 Parker'sMood
[생프 이벤트] 스마트폰 충전 및 쿨링 거치대
안드로이드폰을 전원 상시 연결에 구글포토 백업용으로 (구글 픽셀폰) 사용하려고 만들어본 생프.목표1. 자동 충전 관리배터리 항상 만충 되어있으면 배터리 부풀어 오르는 현상때문에, 배터리 구간을 30~80% 정도만 유지되도록 함목표2. 발열감지 된 상황에서 적절한 쿨링무거운 작업이 돌아가거나 하는경우 발열이 좀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 쿨링팬을 작동시켜 온도를 내리도록 함쓰로틀링이 걸리기도 하고 배터리 차원에서도 과열된 경우는 좋지 않다고 생각했음초기 구상안휴대폰 케이스에 대략적으로 부품들 배치해 봄전원 입력, 아두이노, 릴레이 두개, 쇼핑몰에서 주문한 팬1개 (팬은 대략.. 60mm 에 12v 스펙으로 주문)실제 부품 배치를 위한 테스트 바닥 출력원래는 정중앙에 팬을 두려고 했으나, 부품들 위치를 조합해보니 팬을 하단에 두기로 결정12V 전원 받아서 usb 두개 포트로 내보내주고, usb1 은 아두이노, usb2는 릴레이 거쳐서 휴대폰 충전케이블로 사용, 12v 전원 들어오는거 하나 따서 릴레이에 팬 연결..(리셋 스위치는, wifi 연결같은거 세팅 초기화 용도로 넣어둠. 아래쪽 아두이노 코딩쪽에서 추가 설명)공기 빠져나갈 수 있도록, 거치대 바닥 발판 추가함.. 각 부품들 연결을 모델링 잘 해서 뽑아볼까 고민하다가, 그냥 볼트 네개로 고정하기로 결정. 적층식으로 거치대 쌓아서 조립하는편이, 모델링 설계하는데도 편할것 같았음부품들 적당히 고정되도록, 지지대 출력해서 얼추 고정함간단하게 아두이노 테스트 코드 넣어서, 릴레이 동작이랑 충전 되는지 테스트 해봄.최종 완성본 아두이노 보드는 컴팩트한(?) d1 mini 라는 녀석을 쓰는데, esp8266 기반에 wifi 도 지원하고 기판 크기도 작고 저렴해서 조그만한데 활용하기 좋은듯. reset 버튼 일부러 넣어둔 이유는, 와이파이 세팅 초기화 해야되는 경우가 있을것 같아서, (코딩 다시 올릴때마다 usb 연결하라면 매우 매우 불편),wifi 연결 안되는 경우라면 켜질때 soft ap 모드로 동작해서, wifi 세팅할 수 있게 만들어둠. http get 방식으로 api 만들어서, /fan/on , /fan/off, /usb/on, /usb/off 방식으로 릴레이 제어하게 만들어 둠안드로이드 쪽으로 와서...매크로드로이드라는 앱을 이용하면, 특정 조건일때, 정해진 행동을 할 수 있음배터리 30% 아래로 내려갔을때 충전시작 배터리 85% 이상이면 충전 종료 배터리 온도 (폰 온도는 안보이는듯?) 38도 이상 올라가면 팬 가동, 30도 이하면 팬 꺼짐 세팅 해둠아래는 동작 영상배터리 충전량 조절만 하는거면, 스마트 플러그에 타이머 걸어 놔도 되긴 되는데, 무거운 작업 좀 돌리면 발열도 꽤 나오는 상황이라, 쿨링도 한번에 되는 걸로 계획해서 보게 되었음.
작성자 : 메스1고정닉
우리나라에서 배타고 일본으로 가는방법을 알아보자(스압/밑에 4줄요약있음)
0. 왜씀 이거?현재 비행기가격이 싯가로 불릴만큼 천정부지로 뛰어오르고 있는 상황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일본을 갈수 있는 위대한 항로 또한 여러군데 있다. 뭐 사실상 부산 후쿠오카 거의 원툴이긴하지만...여튼 지금 우리나라에서 뜰 수 있는배는 다 한번씩 타본 배쳐돌이로써 이 위대한 항로를 하나씩 알아보자1. 출발지는 어디인가현재는 부산 원툴이다. 정확히는 코로나와 우러 전쟁이전 블라디보스톡발 동해경유 사카이미나토 도착 페리가 있었으나어째서인지 사카이미나토로가는 경로만 사라지고 블라디보스톡발 동해착 만 되돌아왔다.즉 우리는 배를 타기 위해서는 이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로 가야한다. 그래도 부산역에서 걸어서 10~15분거리라 접근성이 좋아 그나마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일본항구는 어휴)난 기차를 탈수 없는데 어떡하지? 미안하다 여기서 가장 가까운 시외버스터미널은 사실상 서부산시외버스터미널인데 대중교통이용시 약 1시간이 소요된다.개인적인 말이지만 항상 나는 배를타려는 친구들한테 그냥 아침일찍 부산와서 부산 구도심 관광좀하고 야간페리 타러가라고 추천한다.2. 현재 운행중인 노선은 어디이고 무슨배를 탈수 있는가 현재 운행중인 노선은 후쿠오카(퀸비틀, 뉴카멜리아) 시모노세키(부관훼리) 오사카(팬스타) 대마도(소규모 운항사)로 나뉜다.이제 여기서 대마도는 사실상 제외시키고 후쿠오카 기타큐슈 오사카만 설명하겠다2-1 후쿠오카사실상 가장 많은 여행객이 배로 방문하는 도시이자 유일한 쾌속선 노선이 있는 도시이다. 2-1-1 퀸비틀한일 본토를 잇는 항로중 유일한 쾌속선으로 JR큐슈소속의 선박이다.기존의 비틀의 경우 바다위를 떠서 간다는 신기한포인트와 이로인한 멀미 감소와 2시간 50분만에 대한해협을 주파하는 이점이 있었으나비틀의 퇴역후 그자리를 대신한 퀸비틀의 경우 선박의 사이즈와 탑승객수는 늘었으나 3시간 40분으로 늘어난 주파시간과 여타 다른 쾌속선과 같이바다의 파도를 선체에 데미지가 바로오도록 설계된 삼동선의 특징으로 인해 멀미가 많아졌다는 후문이 있다.일반요금: 편도 스탠다드 굿(일반)요금제 80,000원 유류세 항구이용료 세금 별도2-1-2 뉴카멜리아부산과 후쿠오카를 잇는 야간카페리로서 아시안 하이웨이의 한축을 담당하고있는 야간페리이다주로 이갤에서 나오는 "코로나전에 배타고 왕복 5만원"의 주인공인만큼 정말로 시즌만 맞다면 정말 저렴하게 다녀올수 있는 주역중 하나그러나 한국귀항편의경우 하카타 11시출발 부산 18시30분 도착이라는 괴랄한 타임테이블을 가지고있어 시간이 빌게이츠인 백수들도 고민하게 만드는 배이다일반요금: 편도 90,000원 유류세 항구이용료 세금 별도2-2 시모노세키(부관훼리)부산과 일본 혼슈 최남단지역인 시모노세키를 잇는 지역으로 1905년 부관연락선부터 시작된 다녔던 전통있는 항로이기도하다.이 항로는 한국회사소유의 선박(성희호)와 일본회사소유의 선박(하마유호)가 번갈아가며 운행되기 때문에 뉴카멜리아처럼괴랄한 타임테이블이 아닌 두군데 모두 저녁출발 아침도착이라는 합리적인 시간 테이블을 제공한다. 일반요금: 2등실기준 95,000원 유류세 항구이용료 세금 별도2-3 오사카 (팬스타크루즈/소요시간18~19시간)부산과 오사카를 잇는 선박으로 현재 소개해준 선박중 가장 긴 항해시간을 자랑한다.항로가 세토내해를 지나치기 때문에 칸몬대교, 세토대교, 아카시 해협대교를 밑으로 지나가며 운행한다.또한 긴 항해시간 으로인해 매일 운항을 하지못하며 부산과 오사카 양도시 격일 운항이다.이용요금: 스탠다드 다인실 업체문의 /특이사항: 4월중순부터 5월말까지 선박의 점검으로 인한 휴항이 예정되어있다.3. 저렴하게 이용하는 방법글을 보다보면 이거 좀 비싼데 라는 생각이 들 것이다. 항공권과 비교해도 딱히 싼거같지도 않은데 시간도 많이 걸리고 말이다.하지만 선박편의 경우 여행사를 통해 풀려있는 티켓이 엄청나게 저렴한 경우가 많이 있다.네이버에 검색만해도 편도편이 39000원인게 있고 이게 아무리 미끼라고해도 추가금액은 2만원이고 왕복의경우 날짜만 맞는다면 총금액 왕복 11만원도 충분히 가능한 가격이다. 이정도만 해도 충분한 메리트가 있지 않은가?4. 선박편의 장점선박편의 장점의 경우 크게 2가지로 나뉜다. 첫번째 위에서 설명한 저렴한가격 두번째 시간적여유아니 하루종일 배타고 가서 시간적 여유라니 그게 무슨말이냐 라고 하면 생각해봐라전날 저녁에 배를 타고 출발하여 아침 8시에 일본에 입국하는것을 충분히 여행일정내에서 메리트가 있지 않은가솔직히 일관마-갤에서 가장 많이나오는 질문중 하나가 7시반 비행기 탑승가능? 인데 말 다했지 뭐5. 선박편의 단점단점도 크게 2가지가 있다. 멀미와 수면 멀미의 경우 바다가 사나우면 어쩔수 없이 쫒아오는 필연적 존재이고 멀미가 온다면 수면 또한 꼬이게 되는것도 사실이다. 또한 개인적으로 수면을 취하는 객실도 취향에 따라 문제가 될지도 모른다.이사진은 저렴한 2등객실의 전형이라고 보면 될듯하다. 물론 단체관광이 아닌이상 저방이 풀부킹 된 걸 본적은 없지만기본적으로 최소 3명 많으면 7명이서 사용하게 되는 방이다. 게하 캡슐에 익숙해져있지 않다면 조금 꺼려지는 것도 사실이다.6. 네줄요약부산에서 가는거 총 후쿠오카 2개 시모노세키1개 오사카1개 있는데 오사카는 4월중순부터 5월 까지쉼쾌속선 탈꺼면 후쿠오카 퀸비틀인데 예전 비틀만 못함싸게 갈꺼면 네이버쇼핑이나 티몬 검색해서 여행사끼고 예약하셈다른사람과 같이 잘(2등객실) 자신없다 멀미 자신없다 그럼 타지마
작성자 : 한큐페리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