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한국의 두바이 새만금 국제공모 당선작

천년전주(220.87) 2008.08.18 14:02:09
조회 1022 추천 0 댓글 11

viewimage.php?id=city&no=29bcc427b48677a16fb3dab004c86b6f9a697bf10be1d1d76676420b2f5c35fe5122e43eea0164afa423746334deede315895dc1f216f6f7a31088b221b6efcd01e82fd82aab12cebec1dc4970d3a134bc&f_no=7fed807eb58068f53fed86e74684746b213d4ee41c1b5550bb99f47f2239

내로라하는 세계적 도시설계 전문가들이 창의력을 총동원, 동북아 경제중심도시를 꿈꾸는 새만금의 미래를 그렸다.

전북도가 지난해 9월부터 1년간의 일정으로 실시, 최근 발표한 \'새만금종합개발 국제공모\' 출품작들은 모두 내부토지이용 기본구상의 연구범위를 뛰어넘는 창의적 구상으로 평가받고 있다.

세계 7개 대학팀이 출품한 이번 공모에서는 미국 MIT대의 \'Roster and Diadem\'과 영국 런던메트로폴리탄대학의 \'Island City\', 미국 콜럼비아대학의 \'Fill the lake with wet lands\' 등 3개 작품이 당선작으로 뽑혔다.

전북도는 당선작뿐 아니라 출품작 7편 모두를 정부에 제출, 향후 내부토지개발 기본구상과 용도별 기본계획 및 실시계획 등 각 단계별 개발계획 수립과정에서 정책적으로 활용하도록 적극 건의할 방침이다.

이번 국제공모 출품작의 내용을 접근방식에 따라 △미래도시 시각적 이미지 도출과 △도시개발 종합전략 제안 △도시형태·개발 프로그램 분리 접근 등 크게 3가지로 나눠 소개한다.

▲ 거대도시 권역(Megalopolis/ 연세대 최문규 교수팀) - 7개지역 구분 테마별 특화

4-1-1.jpg

새만금 호수에 38만여명이 거주할 수 있는 별모양의 커다란 섬(STAR CITY)을 만들어 금융·무역 및 연구지역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또 이 섬의 인근에 색다른 형태의 작은 섬을 만들어 박물관 등이 들어서는 예술공간으로 활용하도록 했다.

별모양의 섬에 중심기능을 두고 외곽에는 다양한 특성을 지닌 여러개의 도시를 조성, 이를 연결해서 거대도시를 만들자는 제안으로 매립토의 양을 줄이고 수변공간을 최대한 확대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전체 토지는 금융·업무지구와 예술·문화공간, 식품·바이오산업 직접지, 농업지구, 고군산군도 관광개발지, 골프·레저타운, 방조제 관광구역 등 크게 7개 지역으로 구분, 테마별로 특화시킨다.

선도산업으로는 식품 클러스터와 고부가가치 농업을 선정했다.

▲ 인간·자본·지식 복합도시(Flux Ciyu /일본 동경공업대 츠카모토 요시하루 교수팀) - 페리호로 카지노·공항 연결

4-2-1.jpg

새만금 내수면에 꽃 모양의 섬을 조성, 문화·의료·관광 등 중심 업무시설을 만들고 외곽지역에는 각각의 특성에 맞는 기능을 배치하자는 방안이다.

인간과 상품·자본, 그리고 지식의 흐름이 기존의 제조업과 관광산업·농업·항공우주산업과 같은 새로운 산업부문으로 파생, 새만금이 신규산업의 선도 역할을 하자는 게 목표다.

이에따라 호수 내부 섬을 중심으로 북쪽은 제조업, 동쪽은 농업 및 식품산업, 남쪽은 국립공원 중심의 자연친화적 개발을 추진하게 된다. 또 관광산업으로 이용되는 서쪽은 방조제를 확장, 고군산군도와의 연결통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정부안을 기본틀로 응용하고 부분적으로 디자인 개념을 도입, 선형을 변경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새만금 내부 호수에 페리호를 운영, 카지노 및 공항시설과 연결하자는 제안도 독특하다.

인간과 자본의 흐름을 위한 관광산업이 선도산업으로 설정돼 우선 추진된다.


▲ 장대하고 아름다운 경관 새만금(Roster and Diadem /미국 MIT대 나더 테라니 교수팀) - 단위별 사업…용도변화 능동 대응

4-3-1.jpg

북쪽 군산지역 경제자유구역을 중심으로 제조업과 물류·영화 등의 산업군을 블록단위로 배치하고, 남쪽(부안)에는 다이아몬드형 구조에 리조트와 헬스케어시설 등 친환경 휴양단지를 조성한다.

또 배후지역은 농지 및 습지로 조성, 농지와 마을·투어리즘을 연계해서 개발하도록 제안했다.

정주 인구 50만∼60만명을 목표로 \'관광을 통해 산업발전을 이끈다\'는 원리를 적용, 북쪽 지역 4개와 남쪽 3개 등 총 7개의 프로젝트로 세분화해서 각각 독립적 개발이 가능하도록 했다.

내부 토지필지 규모를 다양하게 구획, 기업이 연계산업과 함께 기반시설 개발비용 일부를 부담하면서 입지하도록 한 점도 독특하다. 이와함께 각 단위별로 사업이 추진될 수 있는 구조를 제안, 개발수요가 불확실한 상태에서 초기 기반시설 투자에 부담을 줄이면서 용도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점도 특징이다.

▲ 습지조성을 통한 물의도시 (Fill the lake with wet lands /미국 콜럼비아대학 제프리 이나바 교수팀)

- 100~200m 좁고 긴 토지·수로 번갈아 배치

4-4-1.jpg

새만금호에 동서 방향으로 폭 100∼200m의 좁고 긴 띠모양의 토지와 수로를 번갈아 배치, 수변공간을 최대한 확보하자는 구상을 담고 있다. 내부 호수의 특성을 살린 습지에 자연생태적 요소를 부가, 수질개선 시스템과 도시개발을 연계하자는 제안으로 \'물의 도시\'이미지를 최대한 부각시켰다.

담수와 해수유통 구역을 제방겸 도로로 분리하고 각 수로에 발전설비를 두어 전혀 다른 형태의 도시를 구상했다. 또 띠모양의 토지가 반복돼 지루하다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내부 호수를 수질에 따라 5개 권역으로 나눠 각 구역 중앙에 배치된 물과 핵심활동을 중심으로 공간을 구성했다.

호수 북쪽은 산업 및 주거지역, 동쪽은 농업· 바이오 에너지, 남쪽은 농업, 중심에는 관광 및 상업·해수 담수화 발전설비가 들어선다. 또 선형으로 조성된 토지에는 주변지역 산업의 성격에 어울리는 쇼핑몰과 예술의 거리·숲의거리 등 문화공간이 조성된다.

▲ 삼각주 도시 프로젝트(Delta City Project / 네덜란드 베를라헤대 브라니미르 메딕 교수팀)

- 9개의 랜드마크…물 관리·가용토지 확보 연계

4-5-1.jpg

새만금호 중심부에 섬을 배치하고 방조제를 포함해서 모두 9개의 랜드마크를 건설, 친환경 경관을 관광자원화하자는 취지다.

호수내 여러 개의 섬을 방조제로 연결, 2개의 바닷물 호수와 3개의 담수호를 새로 만들어 새만금 내부의 물 흐름을 관리하자는 제안도 눈길을 끈다.

토지는 주거 및 업무단지를 중심으로 산업과 바이오테크·농업용지·관광용지 등으로 이용된다. 특히 내부 토지보다 더 높은 가치를 갖는 수변지역을 조성, 매립토의 양을 정부 기본안의 55% 수준으로 줄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선도산업은 북쪽과 남쪽에 각각 조성되는 바이오산업을 택했다.

물관리와 가용토지 확보 문제를 연계·해결하는 방안을 도시개발 전략과 함께 제시하고 있어 출품작중 가장 독특하다는 평을 받았다. 그러나 과도한 개발목표와 물관리 방식에 문제점이 노출돼 새만금 개발계획에 적용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다.


▲ 유기체 도시(The Fluid Territory /스페인 유러피안 마드리드대 호세 루이스 에스테반 교수팀) - 지속가능한 개발 지향

4-6-1.jpg

새만금 내부의 건축물들이 살아있는 유기체로 작용, 시작과 끝이 없이 서로 하나로 연결돼 용도별로 연계와 변화가 가능한 공간으로 개발하자는 구상이다.

새만금 내부를 4개의 영역으로 나누고 주요 거점을 동시에 개발, 이 거점들이 상호성장·연계·침투를 통해 도시를 완성하게 된다. 변화에 대한 유연한 적응과 용도의 다양화를 강조한 점이 돋보인다.

불필요한 개발은 가급적 억제하고 환경을 보전하기 위해 최대한의 녹지를 조성, 지속가능한 개발을 지향하고 있다는 점도 눈길을 끈다. 내부에 풍력과 조력·태양광 발전시설 등을 건설, 신·재생에너지산업의 메카로 성장시킨다는 계획도 같은 맥락이다.

선도산업으로는 관광과 의료레저·영상미디어·바이오산업의 가능성을 높게 점쳤다.

또 새만금 신항만은 크루즈항과 어선항·레저용 항만 등 3개 구역으로 나누어 개발하고 산업용은 군산항을 확장하여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 섬도시 (Island City·영국 런던메트로폴리탄대학 플로리안 베이겔 교수팀) - 5개의 섬에 특화기능 배치

4-7-1.jpg

새만금 내부 호수에 다양한 형태의 섬도시(Island City)를 조성, 수변공간을 최대한 활용해서 부가가치가 높은 토지를 조성하고 각 섬마다 특화된 기능을 배치하여 관광자원화 하자는 구상을 담았다.

섬은 모두 5개로 구성되며 제방도로와 수상버스 등 다양한 교통수단으로 이를 연결, 독특한 경관을 갖추게 된다. 3단계에 걸쳐 동시 개발하게 되는 이들 섬에는 세계 각국 주요도시의 형태를 도시구조에 반영, 도시 자체를 장소 마케팅으로 활용하자는 방안도 포함됐다.

5개의 섬은 고군산 항구도시(호수·항구)와 내측 공항도시(항공우주산업·화훼단지)·진봉 갯벌도시(식품클러스터·농업 및 주거용지)·동진 호수도시(생태습지)·만경 호수도시(고밀도 주거용지)로 구분된다.

선도산업으로는 관광과 연계된 식품산업 및 농업·첨단산업·재생가능한 에너지 산업을 꼽고 있으며 2020년 기준, 도시 예상인구는 38만8000명으로 분석했다. 관광과 비즈니스·주거지역 결합을 통해 투자를 유인할 수 있고 식품클러스터 산업을 선도산업으로 육성, 위험요소를 줄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AD 아고다 호텔 8% 할인쿠폰 받기 !! 운영자 24/06/19 - -
192949 공사중인 인천타워대로 [17] 인촌인(211.195) 09.07.03 1273 0
192947 해지는 퍼스트월드 [17] 인촌인(211.195) 09.07.03 830 0
192946 백화점부지 첨과끝에서본 컨벤시아컴플렉스 [20] 인촌인(211.195) 09.07.03 922 0
192942 무한도전에 나왔던 인천.. [7] Mc(217.218) 09.07.03 970 0
192937 인터내셔널 이코노미 시티 송도국제도시 [10] ㅇㅂㅇ(121.154) 09.07.03 946 0
192935 해운대, 1인칭 시점으로 바라본 [7] 피카추(58.236) 09.07.03 865 0
192920 원주 다녀 왔는데 도심이 크긴 크더라 [14] 채팅(58.140) 09.07.03 929 0
192917 [청주] 부유한 두꺼비 동네, 산남동 (上) - (직찍) [2] 지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7.03 689 0
192916 [청주] 부유한 두꺼비 동네, 산남동 (下) - (직찍) [1] 지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7.03 526 0
192913 쾌적하고 깔끔한 서울 풍경~ [2] 서울k(118.32) 09.07.03 556 0
192910 맑은 바다, 넓은 평지 [14] 대구올림픽(211.35) 09.07.03 552 0
192906 광화문광장 건설...지금은???(동영상) [10] 최남진(210.115) 09.07.03 606 0
192902 포항 구도심 [19] 대구올림픽(211.35) 09.07.03 780 0
192899 영도의 봉래산에서 바라본 부산 구도심,부산항,바다.. [6] 클레멘스(125.135) 09.07.03 464 0
192896 세계적 금융, 문화 도시 뉴욕의 풍경 [24] 정통파(59.0) 09.07.03 901 0
192893 [마린시티] 알바야? 게시물 왜지우나? 확인은하니?ㅉㅉㅉ [12] @신천지개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7.03 574 0
192886 해운대 대우자판 이안 에서본 마린시티 [8] 신천지개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7.03 1057 0
192883 광안대교.. [7] 루니(211.109) 09.07.02 650 0
192879 6.25 이사진 서울로 오해하는 분들이 많은대 [14] (222.251) 09.07.02 1111 0
192878 광안리 이틀전 낮과 오늘 오후 0000(122.37) 09.07.02 378 0
192877 [군산] 세계에서 제일 큰 크레인을 보유한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모습 [9] 하마스(61.39) 09.07.02 1460 0
192868 말뫼 (malmo) [25] ddd(116.120) 09.07.02 458 0
192863 비행기에서 본 대구 달서구 서구 수성구 상공 [49] 부산인(220.122) 09.07.02 1398 0
192858 김해시 내외동 [12] 김해인(119.195) 09.07.02 795 0
192853 부산 어딜까요? [7] 신천지개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7.02 700 0
192833 환경재앙 부르는 해운대 주복건립이 우선이냐 부산 산동네 정비가 우선이냐 [7] 부산인(220.122) 09.07.02 791 0
192828 집들- [부산] [11] 엠씨우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7.02 736 0
192818 대학 서열은 곧 지역 서열 [100] 예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7.02 1821 0
192816 美 보잉 송도 진출 [6] ㅇㅇ(210.111) 09.07.01 958 0
192814 송도 인천대학교 [59] ,ㅡ(115.140) 09.07.01 1408 0
192795 경의선<일산역>개통현장!! [171] 뀨우뀨우(115.139) 09.07.01 1494 0
192791 오픈이 다가오는 코스트코 [47] 뿅뿅뿅(59.20) 09.07.01 1380 0
192752 해양도시 코베로 눈정화나 하자 [21] 노노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6.30 958 0
192708 해운대 밤에 찍은 사진들.. [13] wizzzar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6.30 1647 0
192707 우리 동네(?)를 소개합니다.. [8] 뀨우뀨우(115.139) 09.06.30 696 0
192704 부산.jpg [6] (211.176) 09.06.30 743 0
192703 산비탈, 그 골목엔.. [부산] [57] 엠씨우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6.30 1107 0
192702 베스트 1컷 + 메이킹필름. [23] 엠씨우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6.30 656 0
192701 에메랄드 바닷가 물고기 납치사건 [26] 신천지개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6.30 794 0
192700 해운대 유람선 [3] 신천지개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6.30 581 0
192691 아하하~-[부산] [17] 엠씨우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6.30 815 0
192690 해운대 고래가... [10] K(203.243) 09.06.30 1145 0
192683 어제..광안리해변,, [11] 0000(122.37) 09.06.30 810 0
192681 인천에서 바라본.. [6] ㄱㅇ(159.213) 09.06.30 728 0
192680 부산시가지가 가장 잘 보이는 황령산 봉수대에서 바라본 부산 [4] QWERT(125.135) 09.06.30 746 0
192673 인천의 인구는 실제보다 많다 [24] 배용준(210.111) 09.06.29 1227 0
192672 울산 도심속 공원 [15] 우월한-울산(61.75) 09.06.29 763 0
192670 [美都] 대구의 어느 골목 [14] 미도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6.29 836 0
192659 저도 울산사진...(직찍) [3] 181cm70k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6.29 619 0
192654 울산 태화강 [23] 아아아앙(121.176) 09.06.29 1006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