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부산인천대구광주대전울산창원 제외 한 최고도시 마산◀◀◀◀◀◀◀

창원광역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9.02.02 17:09:41
조회 500 추천 0 댓글 2


YTN TV
인구 400만 거대 자치단체장 경남도지사 잇단 파격 발언 \'파장\'
기사입력 2009-02-02 03:50 기사원문보기

PLAY
동영상 보기

[앵커멘트]

최근 김태호 경남도지사의 잇따른 파격 발언이 파문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부산과 울산, 경남을 통합하자는 주장인데요.

울산시는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반박하고 나서는 등 자치단체 간에 마찰 조짐까지 보이고 있습니다.

김인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김태호 경남도지사는 지난달 21일, 동남권 이른바 부산과 울산 경남을 한데 묶어 행정체제 개편을 포함한 실질적인 대통합을 논의하자고 주장했습니다.

설 연휴 하루 전에는 정부에서 진주 남강댐 물을 부산에 공급하는 광역상수도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하자, 홍수와 축산농가의 피해를 내세우면서 강력하게 막겠다는 의지를 보이며 스스로 급여를 감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인터뷰:조기호, 경상남도 행정안전국장]
"일본의 경우도 도도구현을 초광역화해서 도주 정부제 방향으로 가고 있습니다. 이런 추세를 볼때 우리도 초광역화 범위를 부산, 울산, 경남 통합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김 지사의 이 같은 돌출 발언에 울산시가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박맹우 울산시장은 물을 나누어 쓰자는 광역상수도 사업에 반대하는 김 지사가 3개 도시를 통합하자고 제안하는 것은 한마디로 자가당착이며 다분히 정치적 발언이라며 깎아 내렸습니다.

부산시는 일단 김 지사의 돌출발언에 대응을 자제하며 향후 추이를 지켜보고 있지만 불쾌한 감정은 떨칠 수 없습니다.

이 때문에 10여 년째 이어오던 3개도시의 협력체제에 차질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지난 99년 출범한 지역발전협의회와 지난해 정부의 5+2 광역경제권 방침에 따라 출범한 동남 광역경제권 추진에 난항이 예상됩니다.

인구 400만의 거대 자치단체장의 파격적인 행보.

10여 년째 이어오는 인근 도시와의 공동보조와 협력체제에 찬 물을 끼얹고 있다는 걱정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YTN 김인철[kimic@ytn.co.kr]입니다.








서울경제
[BIZ 플러스 영남] \'동남권 협의체\' 추진 싸고 논란



기사입력
2009-01-29 16:06 기사원문보기


김태호 경남지사 연두기자회견서 통합 제안

"경쟁력 강화 기대" 주민·경제계 긍정적 반응

부산시 "묵묵부담"·울산 "정치적 발언 불과"

김태호 경남도지사가 지난 21일 새해 연두 기자회견에서 ‘동남권 대통합 추진을 위한 협의체 구성’을 제안, 그 배경과 향후 전망을 둘러싼 논란이 확대되고 있다.

김 지사의 제안에 대해 허남식 시장이 자매도시인 시카고 방문으로 자리를 비운 부산시는 묵묵부답이고 울산시는 “김 지사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정치적 발언에 불과하다. 일고의 가치도 없다”며 불쾌한 반응을 보였다.

김 지사의 제안은 부산, 울산과 사전 논의 없이 발표했다는 점에서 \'정치적 의도\' 등 순수성을 의심받고 있다. 하지만 이미 부산과 울산, 경남의 주민과 경제계, 그리고 행정 실무자들은 경제 통합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준비 작업을 해오고 있다. 특히 김 지사가 통합의 당위성으로 내세운 경쟁력 확보 및 지방분권 실현이란 명분도 있다.

정부와 정치권, 부·울·경, 지역민들의 이해관계가 얽혀 당장 추진되진 않겠지만 끊임없이 논란이 지속될 것만은 확실해 보인다


◇동남권 대통합으로 지역 경쟁력 제고=지난해 ‘남해안시대’를 주창해 특별법 제정 등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둔 김 지사는 올해 연두 기자회견에서 “동남권은 수도권에 비해 ‘세 마리 토끼’ 신세에 불과하다. 동남권이 동북아 핵심경제권, 한반도 제2경제권으로 성장하려면 한 마리의 호랑이가 돼야 한다”고 기치를 올렸다.

그는 “국가와 민족, 동남권의 미래를 생각한다면 모든 기득권을 포기하고 행정구역 개편을 포함한 실질적인 동남권 대통합 논의를 지금부터 시작해야 한다”며 대통합의 시작 단계로 정치계와 관계ㆍ언론계ㆍ학계ㆍ시민단체가 모두 참여하는 ‘동남권 대통합 추진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김 지사는 또 이명박 정부가 ‘5+2 광역경제권’을 통해 경제적 통합과 이를 수행할 독립 행정조직 설치를 추진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경제자유구역청과 유사한 형태의 느슨한 연대에 불과하다. 지역이기주의로 인한 갈등과 경쟁ㆍ대립 구도만 심화시킬 것”이라고 평가절하했다.

그는 “대구 경북권과 수직적 연계를 강화하고 남해안 선벨트를 통해 호남권과 수평적 연계를 추진한다면 국토 남부권이 명실상부한 한반도 제2경제권으로 발돋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대해 부산경제살리기시민연대 박인호 공동대표는 “부ㆍ울ㆍ경 지역의 진정한 발전을 위해서는 경제권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행정 통합이 이뤄져야 한다”며 김 지사의 동남권 통합 발언에 지지를 표명했다.


◇3개 지자체 그동안 협력성과=부산 울산 경남도는 지난 1999년 부ㆍ울ㆍ경 발전협의회를 구성했다. 그동안 3개 지자체는 1년에 한 차례씩 협의회를 열고 지역 공통 현안들에 대한 합의로 사업들을 추진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부산항 신항이 있으며, 최근 2년 사이 ▲울산-경남간 광역 경전철 구축 ▲동남권 핵심산업 공동 연구개발 ▲남해안 고속화 철도 건설 ▲함양-울산간 고속국도 건설 ▲동남권 광역관광 공동 마케팅 ▲동남권 첨단의료 복합단지 조성 ▲동남권 BT지원기관 공동이용 ▲동남권 주력산업 전문인력 구축공동활용 등이 있다.


◇부산ㆍ울산시 반응=김태호 경남도지사의 동남권 통합 발언에 대해 부산시는 아직 반응이 없다. 허남식 부산시장이 24일 귀국 후 27일 첫 출근을 했지만 이에 대해 아직까지 아무런 언급이 없다. 다만 내부적으로 신중하게 대응하라는 지시만 있을 뿐이다.

그러나 부산시의 한 고위 관계자는 “무반응도 반응”이라며 “아무런 언급할 가치도 못 느낀다”고 개인적인 견해를 밝혔다.

울산시는 김태호 지사의 발언이 나오자 ‘어이없다’는 공식 반응을 보이는 등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울산시는 김지사의 발언이 있던 날 공식 입장이 담긴 보도자료를 내고 “동남권 통합주장은 아무런 사전 협의 없이 김지사 개인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정치적 발언에 불과한 것이며, 지난 12년간 울산광역시의 눈부신 발전 역사를 부정하는 발언이다”며 불쾌한 반응을 나타냈다.

울산시는 김지사의 발언이 개인적 주장인 탓에 더 이상의 공식 대응은 자제하기로 했지만 향후 이와 관련된 주장이 되풀이 될 경우 정치적 대응도 불사한다는 강경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창원=황상욱 기자 sook@sed.co.kr





부산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AD 아고다 호텔 8% 할인쿠폰 받기 !! 운영자 24/06/19 - -
206144 한국은 정말 예술적 감각이없는것 같다 [8] ㅁㅁㅁ(121.153) 09.12.04 687 0
206142 선진국의 포스는 지방소도시에서 답이 나온다 [13] 강릉올림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04 671 0
206140 아프리카에서도 막장인 콩고민주화국 수도 킨샤샤보차 평양보다 번화하네... [16] 비교분석(121.125) 09.12.04 1182 0
206138 마산 사진 1장.. [6] 경남(59.20) 09.12.04 487 0
206137 예상외로 번화한 에티오피아수도 아디스아바바.. 평양은 걍 쳐바를 듯 [10] 비교분석(121.125) 09.12.04 595 0
206136 어제 아이리스에서 언급했던 전곡항. 역시 수원은 2대도시 답다. [27] 수원토박이(218.209) 09.12.04 714 0
206135 1인당 GDP 1만달러에 근접한 카자흐스탄의 수도 아스타나의 건설붐 [9] 비교분석(121.125) 09.12.04 576 0
206132 10년 후면 한국 지방광역시 쳐바를 자원부국 아제르바이잔 수도 바쿠 [19] 비교분석(121.125) 09.12.04 634 0
206127 평양이 우리나라의 시하고 어느 정도의 경제적 격차가 날까? [7] HJ.Dioneut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04 715 0
206119 안산이 그렇게 할렘가냐?? [3] ㅇㅇ(221.168) 09.12.04 588 0
206117 최단기간에 최소의 비용으로 만든결과 ㅋ [8] 南韓國의首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04 637 0
206112 하다못해 섬까지 있는 '충주호' [10] 優越한忠州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04 368 0
206101 수성구 두산위브더제니스 실내사진공개.. [17] (116.45) 09.12.04 1251 0
206100 [부산직찍] 서울권 제외한 200m이상급 전국초고층 [75] 南韓國의首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04 1029 0
206093 부산권기행1 (마창대교) [57] 南韓國의首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04 936 0
206092 범어네거리 더 제니스 [40] 대구올림픽(211.35) 09.12.04 849 0
206087 대구 2.28기념공원&경상감영공원 [2] (116.45) 09.12.04 259 0
206086 새로 정비한 중앙로&반월당 풍경 [9] (116.45) 09.12.04 489 0
206085 원주의 가파른 인구증가세 [12] 江原道의秀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04 469 0
206084 원주인권영화제개막 [5] 江原道의秀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04 133 0
206080 장산에 올랐으니 [4] 南韓國의首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04 294 0
206077 여기 청주사시는분들 좀 있던데 ㅋ a5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04 157 0
206076 집앞에서 발견한 새로운 포인트..GBB [1] 메가마트짱(58.239) 09.12.04 251 0
206075 전주 폰으로 찍은 사진들.... [11] a5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04 413 0
206071 송도 해안산책로 [8] 南韓國의首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03 797 0
206070 충주시립도서관 [1] 갱생(211.211) 09.12.03 155 0
206069 안양 [3] 갱생(211.211) 09.12.03 365 0
206067 울산시 상공 사진들입니다. ( 동구, 남구,중구) [6] 갱생(211.211) 09.12.03 562 0
206066 아름다운 충주호암지★ [11] 優越한忠州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03 301 0
206065 경제와 마천루의 관계. [19] ddfs(94.30) 09.12.03 812 0
206057 국내 최초 금강 소나무 길 [5] 강릉올림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03 416 0
206047 페루의 한 아파트단지모습 [15] 오케이피시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03 913 0
206046 알흠다운 포항 [1] 연수도서관(219.248) 09.12.03 220 0
206045 듣보잡일반아파트높이 평균이 100미터이상인 나라 [12] 오케이피시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03 583 0
206042 상암동의 방송국들. [2] 서울이야기(124.63) 09.12.03 603 0
206040 이거 똥물 아니야? [28] 애국자(218.159) 09.12.03 761 0
206038 강원도의수도 힛갤올랐네 ㅊㅋㅊㅋ 빠따코코낫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03 181 0
206035 전주 롯데백화점, 덕진공원, 객사, 향교, 경기전 [5] a5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03 528 0
206034 IOC 평가 1위 평창의 시설을 한눈에 본다. [1] 강릉올림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03 310 0
206033 빌딩 = 경제력 ㅇㅇ? [14] 유인촌(218.38) 09.12.03 685 0
206032 전주의 두개의 천인 삼천, 전주천 주변입니다 [3] a5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03 271 0
206031 부산 평범한곳 몇장 [38] 南韓國의首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03 914 0
206027 용두산 팔각정 南韓國의首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03 204 0
206026 아이브리지 [3] 南韓國의首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03 414 0
206024 전주시 도시계획은 대체 누가 하는거지.... [6] a5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03 644 0
206022 나루공원 인근풍경 [1] 南韓國의首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03 200 0
206019 초절정풍광 달맞이언덕 [2] 南韓國의首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03 272 0
206017 대구시와 포스코 [4] 대구올림픽(211.35) 09.12.03 626 0
206016 우월한 동대구로 [4] ㅇㅇ(116.45) 09.12.03 647 0
206015 대구 동성로2 [6] ㅇㅇ(116.45) 09.12.03 606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