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IT 허브 한국, 부산에 최대 데이터센터 건립

+Cano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1.11.04 23:04:33
조회 471 추천 0 댓글 6



 


 
-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 내 8만 9710㎡에 ‘글로벌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단지’건립





○ 데이터센터, 지역적 위치 중요

LG CNS가 건설하는 데이터센터는 완공되면 국내 최대 규모의 단일 데이터센터가 된다. 이 데이터센터는 총면적 13만3000m² 규모로, 지금까지 국내 최대였던 KT 목동 데이터센터의 규모(총면적 6만4076m²)를 훌쩍 뛰어넘는다. 이에 앞서 KT는 최근 일본 소프트뱅크와 손잡고 올해 10월까지 이 지역에 서버 1만 대가 들어가는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설치할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는 외국 기업이 한국을 데이터허브로 인정하는 첫 사례로 화제를 모았다. 이처럼 최근 부산 부근에 대규모 데이터센터가 속속 들어서면서 앞으로 이 지역이 아시아의 데이터허브로 성장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데이터허브가 주목받는 건 글로벌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때도 지역적 위치가 여전히 중요하기 때문이다. 구글이나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기업들은 인터넷 서비스를 전 세계에 제공하는데 이때 해저케이블을 통해 국가 간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하지만 이는 최대 용량이 제한돼 있어 미국에서 운영하는 서비스를 아시아에서 요청할 경우 서비스의 속도와 품질이 크게 떨어질 수 있다. 또 지진이나 폭우에 따른 침수, 건물 화재 등 데이터센터에 물리적인 피해가 생길 때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곳에 있는 데이터센터가 ‘백업’ 역할을 한다면 피해도 최소화한다.

이런 이유로 대규모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부분의 회사는 세계 각국에 데이터센터를 분산한다. LG CNS는 이번에 새로 짓는 데이터센터를 100% 외국 기업에 임대할 계획이다. 지경부 정보통신산업과 강창묵 사무관은 “부산을 데이터허브로 만들기 위해 인프라를 조성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 한국이 유리한 이유

지금까지 아시아에서 데이터허브로 주목받았던 곳은 일본과 홍콩, 싱가포르, 대만 등이었다. 모두 정보기술(IT) 산업이 일찍 발달하고 지리적으로 태평양과 맞닿아 있는 지역이란 특징이 있었다.

하지만 최근 수년 동안 대만과 일본에서 연이어 발생한 지진이 이런 구도를 뒤흔들었다. 데이터센터를 운영하기 위해선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이 필수적인데 이 두 나라가 해저 케이블 단절로 인터넷 연결에 수차례 지장을 겪었기 때문이다. 또 홍콩과 싱가포르는 땅값이 비싸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새로 건설하기가 쉽지 않다.


반면 부산은 1990년 이후 규모 3.0 이상의 지진이 전국적으로 183번 발생할 동안 단 한 번도 지진이 일어나지 않았을 정도로 지반이 안정돼 있다. 또 국내로 들어오는 해저케이블 11개 중 10개가 이 지역으로 유입되고 일본과는 불과 250km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데다 중국 및 동남아시아와 태평양을 연결한다는 지리적 장점도 갖췄다. 김대훈 LG CNS 사장도 “부산은 그야말로 천혜의 입지조건을 자랑한다”며 지리적 위치가 가장 큰 장점이라고 강조했다. 땅값도 상대적으로 싼 데다 한국의 통신 인프라가 세계적인 수준이라는 것도 장점이다.

부산은 해저통신케이블 육양국(해저 광 케이블이 육지로 올라오는 지점)으로써 국제 IX(Internet eXchange) 노드가 위치하고 있어 사실상 우리나라 해외 입출 데이터 트래픽의 90%가 넘나드는 글로벌 네트워크 흐름상의 길목이다. 이 때문에 부산은 해외 기업들이 가장 눈여겨보는 지역이다.


LG CNS의 한 관계자는 "해저케이블이 올라오는 육양국와 익스체인지 노드들이 부산지역에 있다"면서 "거기에 저렴한 국내 전기료와 우수한 네트워크인프라, 일본과 중국 사이의 지리적인 이점, 우수한 인재 등 아태지역 데이터센터 허부로 상당히 매력적인 곳이 부산"이라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IT기업이 공조해 부산시를 글로벌 IT 허브로 육성하는 사업이다. 이는 지난 5월 정부가 발표한 ‘클라우드 정책 5대 과제’의 하나인 ‘글로벌 IT 허브’로써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를 육성하겠다는 정책의 일환이다. 이를 위해 지식경제부는 부산 미음지구에 ‘글로벌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단지’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행정적, 재정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LG CNS 부산데이터센터는 2012년 12월에 완공될 예정이다. LG CNS와 부산시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기존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글로벌 데이터센터 강자인 홍콩, 싱가포르를 뛰어넘는 경쟁력 있는 글로벌 데이터센터를 구축함으로써, 일본 기업과 글로벌 인터넷 기업을 비롯한 국내외 고객들에게 클라우드 서비스와 재난복구(Disaster Recovery) 서비스 등 IT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러한 LG CNS와 부산시의 노력은 지역 균형발전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LG CNS 김대훈 사장은 “LG CNS 부산데이터센터는 LG CNS의 클라우드 서비스 역량과 부산이 가진 천혜의 입지조건을 바탕으로 명실공히 대한민국 국가대표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며, “우리나라가 글로벌 IT의 중심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국내는 물론, 글로벌 기업에 차별화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278775 삼성생명 삼성화재 대구 울산 건물비교 [3] 김정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12 121 0
278774 울산 삼성생명 사옥은 대구 삼성증권 사옥 보다 작아 보이는데 [11] ㅇㅇ(118.41) 11.12.12 198 0
278773 지역별 삼성화재 사옥 중에서 대구 삼성화재 사옥이 유일하게 20층이상이네 [3] zz(118.41) 11.12.12 274 0
278772 끝이 안보이는 대구대평원 [3] ㅋㅋ(180.182) 11.12.12 152 0
278771 각 지역별 삼성화재 사옥 [19] 밀리오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12 315 0
278769 분당AK 명품관 입점 브랜드 [1] (58.140) 11.12.12 316 0
278763 부산은 산동네인구 제외하면 ㅇㅇ(118.41) 11.12.12 34 0
278762 부산 vs 대구 이딴것좀 그만해라 ㅎㅎ(61.38) 11.12.12 72 0
278753 수도권에만 있는 백화점 AK플라자 [8] (58.140) 11.12.12 226 0
278750 전주로 놀러오세요 (사진 有) [19] 리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12 265 0
278747 7대도시 대형소매점 판매액 [26] 해울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12 353 0
278745 파고다타워? [4] SEOUL(124.197) 11.12.12 204 0
278743 방금 청계천 [1] SEOUL(124.197) 11.12.12 164 0
278740 해울아 대구에 신세계 백화점 오픈하면 구경올꺼야? [8] ㅇㅇ(118.41) 11.12.12 334 0
278738 자갈치 시장 전망대에서 직찍(필카) [6] DV-36(180.68) 11.12.12 175 0
278737 동대구 환승센터 고도제한은 해제했는가? zz(118.41) 11.12.12 96 0
278735 웽 성님 목포자주오신당가? [16] 빵스(118.40) 11.12.12 128 0
278734 한미글로벌 CM 수주-부산 용호만 복합시설 프로젝트 [12] FUKUOK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12 317 0
278732 보성녹차밭으로 놀러오세요 (사진 有) [11] 리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12 182 0
278731 365일 축제같은 목포평화광장 [2] 빵스(118.40) 11.12.12 79 0
278730 전국 환승센터중 유일하게 동대구 환승센터만 백화점 들어오냐? [8] (118.41) 11.12.12 201 1
278728 백화점 매출액 1년간 변화 비교 [94] (118.41) 11.12.12 511 0
278726 근데 왜 대구 혼자만 41프로 증가냐? [6] d(118.41) 11.12.12 175 0
278724 롯데월드타워 최근 모습 [1] 잠실(112.161) 11.12.12 346 0
278723 2010년 (1~11월) 11개월간 매출순위 2011년은? [15] 서울부산인천(114.70) 11.12.12 236 0
278722 영화속 한장면같은 목포 북항 [42] 빵스(118.40) 11.12.12 336 0
278721 서울타워 vs 부산 용두산타워.jpg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 [17] ㄷㄷㄷ(222.113) 11.12.12 368 0
278719 인간이 살만한 라스트 MAGINOT LINE [4] 진짜웽(116.38) 11.12.12 198 0
278718 대전 으능정이 거리앞 ユドンフン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12 150 0
278716 목포광양고속도로 무영대교 [6] 빵스(118.40) 11.12.12 231 0
278714 여기가 어디게? [45] ユドンフン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12 308 0
278712 목포는 환승센터 건설 불가능이다 [1] (118.41) 11.12.12 110 0
278710 광주 송정역 환승센터에 백화점 들어올 가능성은? [2] (118.41) 11.12.12 137 0
278709 환승센터 광주만건설하는게아님 [6] 빵스(118.40) 11.12.12 186 0
278707 충청도는 왜 환승센터 건설 안하냐? [2] (118.41) 11.12.12 108 0
278706 해울아 이건 머야??? [1] (183.101) 11.12.12 107 0
278705 광주시, 국가복합환승센터 투자유치 본격 시동 [36] zz(118.41) 11.12.12 287 0
278704 광주광역시 대기 깨끗한 날 (사진 有) 리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12 218 0
278702 대구 9대메이져 아파트 거주인구 ' 30만명 육박 ' [46] 대구G20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12 401 0
278698 근데 광주에는 왜 버스정거장을 그렇게 크게 만든거냐? [2] 전기요금(175.201) 11.12.12 174 0
278696 광주에서 젤 비싼 아파트가 얼마야 [2] 카미사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12 153 0
278695 오늘찍은 송도 [8] (119.197) 11.12.12 365 0
278694 포항 , 구미 어디가 경북 甲이냐? [2] 전기요금(175.201) 11.12.12 259 0
278693 광주가 청주보다 나은건 맞는데 날조는 하지 말자 [9] 으엉(1.246) 11.12.12 188 0
278691 세계 국제도시 탐방 [부산6편] [34] 남교수(59.27) 11.12.12 487 0
278683 뉴욕도 서울에 처발릴듯 ad(182.210) 11.12.12 225 0
278681 우리가 주적으로 삼아야 할 놈들은 순수갤러들이 아니니라 [1] ㅇㅇㅇㅇ(183.101) 11.12.12 66 0
278679 혁스가 좋아하는 지랄시티 [1] 밀리오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12 108 0
278676 세계 국제도시 탐방 [부산5편] 김삿갓(59.27) 11.12.12 262 0
278675 세계 국제도시 탐방 [부산4편] [1] 김삿갓(59.27) 11.12.12 242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