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부러우면 지는 거야.

대구만쉐이(211.179) 2011.11.26 14:17:30
조회 451 추천 0 댓글 64

개 코나   마츄피츄............  사람이사는곳이라기보단 . 개들사는 개집만도 못한곳..
지난 6월부터 2011년 <오마이뉴스> 지역투어 \'시민기자 1박2일\'이 시작됐습니다. 이번 투어에서는 기존 \'찾아가는 편집국\' \'기사 합평회\' 등에 더해 \'시민-상근 공동 지역뉴스 파노라마\' 기획도 펼쳐집니다. 이 기획을 통해 지역 문화와 맛집, 그리고 \'핫 이슈\'까지 시민기자와 상근기자가 지역의 희로애락을 자세히 보여드립니다. 어느덧 여섯 번째, 이번엔 부산경남입니다.  <편집자말>
< type=text/>                </>
IE001372709_STD.jpg
btn_rcm_s.gif btn_blog_s.gif btn_detail_s.gif
부산 사하구 감천2동 감천 문화마을 전경. 20년 동안 인구가 1/3로 줄어들 정도로 낙후된 마을이었지만, 지금은 외국 관광객까지 찾아오는 명소가 됐다.
ⓒ 선대식
icon_tag.gif감천 문화마을

 

산꼭대기에 마을이 있다. 산 아래에서 가파른 경사의 도로를 따라 한참이나 올라가야 한다. 빨간 불에 멈춰 선 차량은 파란 불이 되자 뒤로 밀린 후 힘겹게 움직였다. 마을 들머리에 닿자, 산자락을 감싸 안은 마을이 보였다. 집집마다 알록달록한 색을 입은 모습이 이채로웠다. 이런 첫인상은 마을 내부로 들어서자 곧 뒤집혔다.

 

가구 하나 옮기기 어려워 보이는 좁은 골목을 따라 집들이 이어졌다. 골목도 미로처럼 갑자기 끊기기 일쑤였다. 16.5㎡(5평) 정도의 집들이 다닥다닥 붙어있었고, 한 뼘의 마당도 허용되지 않았다. 가파른 골목은 젊은 사람도 금세 지치게 만들었다. 곳곳에 공동화장실이 눈에 띄었다. 시간이 수십 년 전에 멈춰버린 듯했다.

 

마을 들머리에 있는 돼지국밥집에 들렀다. 이곳 주인인 박수경(53)씨는 이 마을에 시집을 와 30여 년을 살았다. 박씨는 "예전에 이 마을에 산다고 하니까, 정말 못사는 동네라고 놀림을 받은 적 있다"며 "너무 부끄럽고 자존심이 상해서 그 다음부터는 이곳에 산다는 말을 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하지만 마을이 이렇게 바뀔지 꿈에도 몰랐다"고 했다. 벽에는 유명 배우의 사인과 중국어로 된 방명록이 적혀있었다. 박씨는 "주말이면 200명이 넘는 관광객이 마을을 찾는다, 노인들만 살던 낡은 동네가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이 마을에 무슨 일이 있었을까? 부산 사하구 감천2동 감천 문화마을 이야기다. 지난 17~18일 이곳을 찾았다.

 

[과거] 건설사도 재개발 포기한 마을... 인구 1/4이 소외계층

 

< type=text/>                </>
IE001372711_STD.jpg
btn_rcm_s.gif btn_blog_s.gif btn_detail_s.gif
감천 문화마을에는 사람 1명이 지나갈 수 있는 좁은 골목길이 미로처럼 이어져있다.
ⓒ 선대식
icon_tag.gif감천 문화마을

감천 문화마을은 부산의 대표적인 산복도로 마을이다. 산의 중턱을 지나는 도로가 있는 마을이라는 뜻이다. 한국전쟁 직후 부산 원도심이 피난민으로 가득차자, 1955년부터 이곳 천마산 능선까지 주거지가 확대됐다. 이곳 토박이인 김문생(66)씨는 "주민들이 곡괭이 하나만 들고 널빤지와 기름먹인 종이로 집을 만들고 마을을 세웠다"고 전했다.

 

1960~70년대 벽돌을 구할 여건이 되지 않자 마을 주민들은 속이 빈 시멘트 블록을 쌓아 집을 개조했다. 단열이 안 돼 겨울엔 춥다. 집이 좁아 화장실을 갖추기도 어려워, 공동화장실을 이용해야 했다. 현재 마을의 모습은 이때와 크게 다르지 않다.

 

1990년대 들어 마을은 더욱 쇠락해갔다. 인근 공단의 신발공장 등이 해외로 이전하면서, 젊은 사람들은 일자리를 찾아 타지로 떠났다. 마을엔 노인들과 돈이 없어 떠나지 못한 사람들만 남았다. 1990년대 후반 주민들이 재개발을 추진했지만, 사업성이 부족해 건설사들도 손들고 나왔다.

 

손창민 감천2동장은 당시 마을 분위기에 대해 "정부나 부산시, 건설사조차 어떻게 해볼 수 없을 정도로 너무 낡고 활력이 사라진 마을이었다"며 "수십 년 동안 공공의 혜택을 받지 못했고, 앞으로도 개발이 이뤄지기가 어려워 보였다"고 밝혔다.

 

1992년 2만9000명에 달했던 감천2동 인구는 현재 1만207명으로 1/3로 줄었다. 주택 4466호 중 300호가 빈집이다. 인구의 1/4인 2342명은 기초생활수급자, 독거노인 등 소외계층으로 분류된다. 인근에서 \'아트팩토리 인 다대포\'라는 예술창작스튜디오를 운영하는 금속공예가 진영섭(53)씨는 "이 마을의 쇠락을 보여주는 숫자들에 가슴이 아팠다"고 말했다.

 

진씨는 "문화 콘텐츠를 통해 이 마을을 알리고 활력을 불어넣고 싶다"며 마을 살리기에 나섰다. 2009년 문화체육관광부 공모에 당선돼 사업비 1억 원을 따낼 수 있었다. \'꿈을 꾸는 부산의 마추픽추\'라는 이름으로 10점의 예술작품을 설치하는 작업이었다. 이듬해에도 예술작품 12점을 설치하는 \'미로미로 골목길 프로젝트\'가 진행됐다.

 

당시 주민들은 예술가들의 작업을 못마땅하게 여겼다. 김문생씨는 "관광객들을 오게 한다는데, 우리가 동물원의 동물도 아니고 구경거리가 된다는 데 거부감을 가진 주민이 많았다"며 "또 일회성 사업으로 마을이 바뀌겠느냐고 반신반의하는 사람들도 많았다"고 전했다. 손창민 동장이 "지속적인 사업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주민들을 설득했다.

 

[현재] "어르신들이 헌팅을 시도한다"... 인구도 증가

 

< type=text/>                </>
IE001372712_STD.jpgbtn_rcm_s.gif btn_blog_s.gif btn_detail_s.gif부산시와 사하구는 감천 문화마을에 적지 않은 예산을 들여 서민주거환경개선 사업을 벌이고 있다. 사진은 최근 폐가 3채를 철거하고 만든 공원이다. ⓒ 선대식icon_tag.gif감천 문화마을

 

이후 마을에 변화가 생기기 시작했다. 20~30대 젊은이들이 마을을 찾았다. 마을의 이국적인 풍경으로 인해, 사진가와 건축학도들에게 입소문이 났다. 마을의 분위기는 이들로 인해 한층 밝아졌다. 또한 지역 정치인들과 공무원들도 큰 관심을 나타냈다. 2010년 부산시는 산복도로 르네상스 사업에 10년간 1500억 원을 투자하겠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감천마을에서는 도시재생을 위한 서민생활환경개선 사업이 올해 본격적으로 진행됐다. 공동화장실을 개선하고, 골목길을 단장했다. 폐가를 사들여 공원으로 만들었다. 집수리를 못하는 주민을 위해 주택을 수리했다. 내년에는 커뮤니티 센터도 설립된다.

 

주민들에게 마을은 부끄러운 곳에서 자랑스러운 곳으로 변했다. 지난 7월 전 세계에서 온 학생 20여 명이 참가한 유네스코 국제워크캠프가 열렸다. 진영섭씨는 "주말에 마을 어르신들이 관광객들을 상대로 \'헌팅\'을 시도한다, 어르신들이 서로 마을 구석구석을 직접 보여주려 한다"고 전했다.

 

마을엔 카페도 생겼다. 연면적 64㎡(20평)인 3층짜리 집을 730만 원에 사서 지난 8월에 카페를 연 김정희(43)씨는 "수십 년 전 마을의 모습이 그대로 남아있고, 부산 시내나 낙동강에서 멀지 않아 관광객이 많이 올 수 있다고 생각했다"며 "낡은 마을이지만, 순수한 인간미가 남아있어서 정겹다"고 말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AD 아고다 호텔 8% 할인쿠폰 받기 !! 운영자 24/06/19 - -
285325 대구 광역권 위성도시들 [6] ㅇㅇ(118.41) 12.01.11 228 0
285324 부산권 위성도시들. [3] ㅇㅇ(121.145) 12.01.11 128 0
285323 캐논 부산 산동네 촌년이 잰 방식으로 부산 산동네 거리 재봣음 [3] ㅇㅇ(118.41) 12.01.11 105 0
285322 하긴 산만디 넘어갈려면 2시간 가지고 되겠냐 (221.157) 12.01.11 31 0
285321 타이페이의 등급은? [9] 멋진쾌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1 244 0
285320 캐논 부산 산동네 촌년 대구 시가지가 작데 ㅋㅋ [15] ㅇㅇ(118.41) 12.01.11 188 0
285319 비수도권도시들중 가장 살만한 도시.... [10] 뉴욕런던서울(220.73) 12.01.11 263 0
285318 대구시가지가 평지긴한데 진짜 작다.. [17] +Cano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1 348 0
285317 부산의 딸.... [5] ㅇㅇ(121.145) 12.01.11 163 0
285316 도갤 대구넘들 유일한 레퍼토리 3개 [8] 씝썌들아반갑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1 116 0
285315 부산 산동네 지형이 더럽긴 더럽지 [2] gg(118.41) 12.01.11 58 0
285314 세운상가는 어케되는거야... [8] 몰롸몰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1 185 0
285313 올리브와 치킨이 만나 I♡B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1 51 0
285312 진짜 부산 시가지 대부분인 산동네 산과 고층 건물이 어울린다 생각함? (118.41) 12.01.11 38 0
285311 근데 현재 지은 부산 고층 아파트로 산동네 가릴수있냐? [4] (118.41) 12.01.11 67 0
285310 솔까 부산 같은 산악지형에 높은 건물은 안어울린다 [14] 호랑이(118.41) 12.01.11 115 0
285309 부산 산동네는 기본적인거 조차 갖추지 않았다 [2] 호랑이(118.41) 12.01.11 48 0
285308 대구 부산 딱 3가지 도시에서 중요한점 비교해보면 [8] ㅎㅎ(118.41) 12.01.11 217 0
285307 우리집 삼십층엔 포항스틸러스 선수삼 ㅇㅇ [2] 서글어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1 133 0
285305 솔직히 벤틀리 마이바흐급.차는 [5] 서글어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1 175 0
285304 순수 15층이상 오피스빌딩은 대구가 부산 산동네 보다 더 많다 [3] ㅎㅎ(118.41) 12.01.11 118 0
285303 한국은 역시 서울, 부산, 대구 3축 체재로 가야됨 [7] ㄴㅇㄹㄴㅇ(1.177) 12.01.11 197 0
285302 동대구 환승센터를 더 기대하는 사람들은 [3] ㅎㅎ(118.41) 12.01.11 112 0
285301 지방 4대도시 빌딩(연면적10000제곱이상 10층이상)현황-관공서제외 [33] ㅇㅇ(14.43) 12.01.11 414 2
285300 한반도에서 부산 산동네 위치 [4] (118.41) 12.01.11 87 0
285299 서울역 버스환승센터 [4] 都市計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1 249 0
285298 부산은 지방이라고 해도 한국산업후방기지역활을 하기땜에 안망하지만 대구는 [2] 1(110.46) 12.01.10 137 0
285296 해울이는 보거라 세계최대 증거 [32] dd(118.41) 12.01.10 318 0
285295 3년뒤 동대구 환승센터 세계최대 백화점 동양최대 규모로 개장하면 [5] dd(118.41) 12.01.10 189 0
285294 태군이랑 베를린대구 호흡이 짝짝맞네 씝썌들아반갑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0 46 0
285293 국가철도망계획보니깐 나중되면 동대구역은 더 망할거같은데 [11] +Cano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0 208 0
285292 씝썌들아반갑다 부산 산동네 촌년 열폭 쩌네 [7] (118.41) 12.01.10 82 0
285291 대구촌닭들 오늘 단체로 LSD 빨았네 씝썌들아반갑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0 56 0
285290 수원 촌년한테 한가지 물어보자 [11] 하하(118.41) 12.01.10 140 0
285289 동탄2신도시 [22] ㄹㄹ(118.218) 12.01.10 450 1
285288 전국으로 부터 미움을 받고 있는 대구사람들.. [1] 1(110.46) 12.01.10 82 0
285287 나 베를린대구를 수장으로 해서 수원촌것들을 물리치자 대구인들아 [2] 베를린대구(59.20) 12.01.10 48 0
285286 나 여친때문에 나간다 수원촌것들아 내일 저녁 8시에 뜨자 빈민것들아 베를린대구(59.20) 12.01.10 43 0
285285 수원 촌년아 수원역은 환승센터 지을 계획조차도 없는데 무슨 개소리야 [13] 하하(118.41) 12.01.10 137 0
285284 아니 대구가 수원보다 앞서는것좀 말해볼래 그럼? [4] 수원 = 런던(121.67) 12.01.10 100 0
285282 대구 동성로 메인스트릿 [1] 하하(118.41) 12.01.10 84 0
285281 수원 복합환승센터 좀 쩌네.. [13] +Cano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0 369 0
285280 부산의 지정학적인 위치.. [2] 똥푸맞니더.(183.101) 12.01.10 108 0
285279 대구 동성로 변두리 유흥가 하하(118.41) 12.01.10 66 0
285278 사실 나 베를린대구고, 수원촌것들아 말배틀 뜨려면 이글에서 뜨자 [1] 베를린대구(59.20) 12.01.10 38 0
285277 수원 대구 개발권역 비교좀 해보자 [3] 수원 = 런던(121.67) 12.01.10 104 0
285276 대구 동성로 변두리 로드샵 하하(118.41) 12.01.10 48 0
285275 우리모두 다함께 부산 CBD감상 [1] ㅁㅊ(112.158) 12.01.10 178 0
285274 범죄왕국대구 또하나 엽기 범죄한건했네 [4] ㅋㅋ(110.10) 12.01.10 130 0
285273 메인보드 대구광역시 [3] dd(118.41) 12.01.10 77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