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부산 산동네 롯데 떠나라

ㅋㅋ(118.41) 2011.12.02 21:19:09
조회 54 추천 0 댓글 0

롯데 ‘부산 기업’ 옛 말…시민들 “롯데 떠나라”
‘정신차려 롯데! 부산시민운동본부’ 부산 경실련 차진구 사무처장 인터뷰
newsdaybox_top.gif2011년 12월 01일 (목) 10:08:19변주리 기자 btn_sendmail.gifjuriworld@naver.comnewsdaybox_dn.gif

[시사서울 변주리 기자] 부산 시민들의 무한 애정을 받던 롯데가 홈구장에서 ‘미운털’이 박혔다.

대기업의 기업형슈퍼마켓(SSM) 진출로 영세 자영업자들이 설 자리를 잃고 있는 가운데 롯데가 초대형 마트 입점을 추진하는가 하면, 공공매립지에 아파트를 짓게 해달라며 떼(부산롯데타운 주거시설 허용 요구)를 쓰고 있어 지역 주민들의 따가운 눈총을 받고 있다. 특히 롯데는 부산의 허파인 백양산의 환경생태를 위협하는 골프장 건립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서면 롯데백화점이 문을 연 이듬해 1997년 부산 향토 백화점인 서면 태화쇼핑이 부도가 나는 등 이미 부산의 상권은 모두 롯데의 영향력 하에 들어간 상황이지만, 롯데는 지역 경제에 이바지를 하기는커녕 부산에서 벌어들인 자금을 고스란히 서울 본사를 살찌우는데 사용하고 있다.

이에 부산 지역 시민단체들은 롯데 기업을 감시하고 지역에 이바지하는 기업으로 거듭나게 하겠다며 지난 7월 ‘정신차려 롯데! 부산시민운동본부’를 발족하기에 이르렀다. <시사서울>이 운동본부 참가 단체인 부산 경실련의 차진구 사무처장에게 자세한 얘기를 들어봤다.

부산에서 번 돈 고스란히 서울 본사로

마트·아파트·골프장…돈 되면 뭐든지

향토업체 입점비율 타사의 절반 수준

  
 ▲ \'정신차려 롯데! 부산시민운동본부\' 발족 기자회견 <사진=민주노동당 부산시당> 
 

△ ‘정신차려 롯데! 부산시민운동본부’가 발족 된 이후 롯데측의 반응은 어떠했나.

- 롯데측에서는 여전히 별로 신경 쓰지 않는 분위기다. 운동본부를 발족하기 이전에도 개별 시민단체들이 현지법인화와 대형마트 및 SSM 입점 저지를 요구해왔지만, 지금까지도 롯데측에서는 “고용측면에서 부산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고 장학사업도 하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고 주장한다.

△ 부산시의 ‘뜨거운 감자’인 ▲부산롯데타운에 주거시설 도입 ▲롯데마트 입점 ▲백양산 골프장 건립 등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

- 부산롯데타운에 주거시설을 도입하려는 움직임과 관련해선 권한이 있는 해양항만청에서 허가를 내주지 않아 보류상태에 있다. 한때 부산시와 중구가 ‘부산롯데타운’에 아파트들이 대거 들어설 수 있도록 지구단위계획을 변경을 허용, 롯데가 초대형 아파트를 대거 지을 수 있게 됐다는 언론 보도가 났지만, 최종 권한은 해양항만청에 달려있다.

롯데는 부산롯데타운 기공식만 2,3차례나 했는데, 이는 주거시설을 허용해주지 않으면 2014년 완공 예정인 100층 이상의 초고층 건물을 짓지 않겠다는 압박용으로 보인다. 지금은 어쨌든 롯데마트 입점을 위한 엔터테인먼트 건물을 짓고 있는 상태다.

백양산 골프장 건립과 관련해서는 롯데건설은 그동안 어떤 사업을 시작하면 본사에서 이사급에 준하는 담당자를 내려 보냈는데, 지금은 공석인 상태다. 최근 롯데건설이 인천에 건설하려고 했던 계양산 골프장이 사실상 백지화 되면서 함께 주춤한 상황이다. 하지만 롯데의 숙원상업인 만큼 여론의 추이를 지켜보며 조만간 움직임을 보이지 않을까 한다.

△ 최근 롯데백화점 부산 본점이 ‘향토기업 기(氣)살리기’ 프로젝트를 몇 차례 진행했다.

- 자세한 내용은 잘 모르지만 부산에 적을 두고 있는 중소업체를 한시적으로 입점 시켜 특설 매장을 꾸린 것이다. 최근 부산에서 롯데가 부산 영세상인을 힘들게 한다는 비판 여론이 일자 부산 민심을 무마하기 위한 홍보 효과를 보기 위한 것이라 생각한다.

롯데백화점과 롯데마트가 최근 비판 여론에 따라 부산 향토업체 입점수를 늘리기는 했지만, 다른 백화점과 대형마트의 향토업체 비율이 50~60%인데 반해 롯데는 10~20% 정도 밖에 되지 않아 아직까지 턱없이 부족한 수치다.

△ “롯데가 부산지역 소비상권을 장악하면서 알맹이는 본사로 올려 지역 경제를 고사시키고 있다”는 주장이 있다.

- 법인이 서울에 있는 롯데는 부산에서 얻은 매출을 모두 서울로 보내고 있다. 주거래 은행도 신한은행을 사용하고 있는데, 최근 카드사용이 늘어나면서 결제 금액도 모두 서울로 가고 있다. 만약 롯데가 부산 지역의 은행을 이용했다면, 그 많은 결제 금액으로 부산 지역 은행들이 중소기업에 대출을 해 줄 수도 있는데 그렇지 못해 아쉽다.

△ 인터넷 게시판을 보면 특히 부산 시민들 중 롯데자이언츠 팬들이 롯데에 대한 실망이 큰 것 같다.

- 롯데자이언츠에 대한 부산시민의 애정이 큰 만큼, 롯데가 구단에 투자를 하지 않으니 불만이 생길 수밖에 없다. 부산 시민들은 롯데가 워낙 연봉 협상을 짜게 하니까 이대호 선수가 이적 결심했다고 생각하고 있다.

부산에 적을 둔 롯데 기업은 롯데호텔밖에 없다. 롯데가 롯데호텔을 부산법인으로 둔 것도 정부의 외국인투자유치 활성화 방침에 따라 지방세를 면제받기 위해 일본 롯데 자금을 끌어다 쓴 것이다. 이렇듯 롯데는 부산 기업도 아닌데 사회적 기여도 없으면서, 부산 시민들의 롯데자이언츠에 대한 애정을 등에 업고 생색을 내고 있다.

△ ‘정신차려 롯데! 부산시민운동본부’는 지난 7월 발족했지만, 토론회 개최 이외에 공식적 활동이 뜸한 상태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 처음 운동본부를 발족할 당시, 민주당을 비롯한 야4당의 부산시당이 주도를 하게 됐다. 기존에는 시민 세력이 주도해서 운동본부를 이끌어 가려고 했으나, 정치인들이 개입을 하면 운동본부의 활동에 더욱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게 ‘중소상공인살리기협회’의 생각이었다.

하지만 정치인들은 정치 이슈가 있을 때만 활동을 하는 경향이 있어 운동본부 활동이 뜸해졌다. 주관사가 정당인만큼 우리가 나서기는 어려움이 있고 개별 단체별로 현지법인화 운동과 대형마트 및 SSM 입법저지 활동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285876 대구 부산 가지고 싸우는데 객관적 비교하면!! [3] 대구인(58.234) 12.01.12 258 0
285875 [기사] 해운대가 죽는다. [3] 흙먹는아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2 163 0
285874 광주는 아직 한번도 안가봤는데 시골 아니냐? [12] 마시스포(125.137) 12.01.12 237 0
285873 전주 촌년이 또 깝치네 [11] z(220.88) 12.01.12 169 0
285872 뭐야뭐야 무슨일이야? [18] I♡B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2 161 0
285871 개념도갤인들아 철갤가서 방어 좀 해주자 [4] 온고을전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2 103 0
285869 철갤에 부산 산동네 엄청 까이고 잇는갑네 [2] ㅋㅋ(220.88) 12.01.12 83 0
285868 철갤은 이거 머 반응이 없냐 [3] 김태군(220.88) 12.01.12 89 0
285867 나도 철갤에서 놀아볼까 ㅋㅋ [4] 김태군(220.88) 12.01.12 92 0
285866 나 철갤에서 똥푸산 테러하고있다. [3] 신분당선(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2 103 0
285865 목포는 광주 위성도시지 [7] ㅎㅎ(220.88) 12.01.12 159 0
285863 대도시 대구가 보기엔 전라도 전주 목포 이런 시골이 덤비면 신경안쓴다 [10] ㅎㅎ(220.88) 12.01.12 131 0
285862 전주 목포 이런 시골에 사는 애들은 대도시 광주 잘 모셔라 [7] (220.88) 12.01.12 168 0
285861 서울 효성그룹 신사옥 [5] ㅌㅁㄹㄱ(14.63) 12.01.12 372 0
285860 전라도 전주 목포 이런 시골 도시가 대도시 대구에게 덤비는게 말이되냐? [12] (220.88) 12.01.12 223 0
285859 [서울] 삼청 가회 [3] SEOUL(124.197) 12.01.12 225 12
285858 전라도 도시들 중에서 광주 말곤 나머지 다 시골 아니냐? [9] (220.88) 12.01.12 198 0
285857 전주가 도시가 못크고 발전을 못하고 잇는게 [6] 하하(220.88) 12.01.12 239 0
285856 부산인이 본 전주시 [4] ㅇㅇㅇ(180.182) 12.01.12 199 0
285855 전주에 비하면 포항은 대도시 지 [3] ㅋㅋㄹ(220.88) 12.01.12 181 0
285854 전주는 구미 보다도 작은 도시 더라 [10] ㅋㅋㄹ(220.88) 12.01.12 249 0
285852 청주 전주 둘다 가봣는데 전주가 확실히 작더구만 [13] ㅋㅋ(220.88) 12.01.12 343 0
285851 전주는 청주 보다도 작은 도시 아니냐? [2] ㅋㅋ(220.88) 12.01.12 140 0
285850 전주 가보니까 진짜 시골 이던데 [10] ㅇㅇ(220.88) 12.01.12 264 0
285849 목포는 광주 위성도시고 전주는 광주에 비하면 졸라 작은 소도시 잖아 [8] ㅇㅇ(220.88) 12.01.12 157 0
285847 대구 중심부의 포쓰! 25층의 웅장한 오피스 [1] 앗뜨거대구(27.1) 12.01.12 193 0
285846 지방 일반시 재정자립도 현황... [20] ㅁㅁ(115.31) 12.01.12 367 0
285845 목포 촌년 이나 전주 촌년 이나 둘다 전라도 시골 촌구석에 사느라고생한다 [1] ㅇㅇ(220.88) 12.01.12 67 0
285844 근데 광복로랑 남포동이랑 같은동네냐? [1] ㅇㅇ(112.140) 12.01.12 55 0
285843 전주 같은 전라도 촌구석 시골에 백화점은 커녕 아울렛은 있냐? [3] ㅇㅇ(220.88) 12.01.12 183 0
285841 부산사진정리3 어어(110.10) 12.01.12 70 0
285840 갤이 왜 자꾸 병신갤이 되냐? I♡B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2 35 0
285839 전주 촌년아 이건 어떻게 설명할래? [3] ㅇㅇ(220.88) 12.01.12 160 0
285838 부산 사진정리2 어어(110.10) 12.01.12 49 0
285837 전주 촌구석은 백화점도 없잖아? [8] ㅇㅇ(220.88) 12.01.12 341 0
285836 부산 사진들 정리 어어(110.10) 12.01.12 43 0
285834 전주 촌년이 대구가 백화점 매출 꼴찌라네? [9] ㅇㅇ(220.88) 12.01.12 138 0
285833 부산 남포동 젊음의 거리 부산인(110.10) 12.01.12 74 0
285832 전주 촌년 한마리가 설치네 [6] ㅇㅇ(220.88) 12.01.12 92 0
285830 노령화 속도 부산이 최고 (110.10) 12.01.12 21 0
285829 그래 동성로는 명동보다 크지. [4] (211.234) 12.01.12 115 0
285828 고담부산 (110.10) 12.01.12 33 0
285826 '늙은 도시' 부산 결혼하기도 힘드네 [4] (220.88) 12.01.12 100 0
285825 천안 방죽안오거리 주변 [4] 펠씹콜(1.247) 12.01.12 447 0
285824 '소비도시' 대구 무색…백화점 판매액도 '전국 꼴찌' 온고을전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2 193 0
285822 대구는 일자리 관련 3개다 꼴찌네 온고을전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2 69 0
285820 대구 동성로가 명동 3배 규모라는건 서울인들도 인정함 [2] ㅋㅋ(220.88) 12.01.12 101 0
285817 동성로가 조아서 동성로에 살고싶다는 창원인 ㅇㅇ(112.140) 12.01.12 59 0
285815 대구 동성로가 명동 보다 더 크다는 확실한 증거 [1] ㅋㅋ(220.88) 12.01.12 95 0
285812 대구의 자존심을 지켜주고싶었으나 이거하나로 처참하게 무너짐ㅠㅠ 대박 ㅋㅋ 대구산다(110.10) 12.01.12 117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