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서울의 랜드마크는 개독교인데 이건 내가 아니고 외국인들의 주장이라니까ㅋ

メ부산해적단メ(39.113) 2011.12.10 18:33:24
조회 73 추천 0 댓글 0










서울을 상징하는 것이 ‘십자가?’ bt_bookmark2.gif
2011년 12월 02일 (금) 16:19:54 강은영 기자 <U>kkang@newscj.com</U>


[천지일보=강은영 기자] 세계 도시를 표현한 그림이 인터넷에서 화제다.

해당 게시물 작성자는 “대부분 각 도시를 대표하는 상징물이나 건물로 도시를 표시하고 있다”며, 각 도시에 관련된 그림을 소개했다.

예를 들어 뉴욕의 경우 ‘자유의 여신상’을 표현했으며, 샌프란시스코는 ‘금문교’, 리오 데 자네이루는 ‘(거대) 예수상’ 등이 그 도시를 대표하는 상징물로 표현됐다.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은 과연 무엇으로 표현됐을까. 조선시대의 궁궐도, 광화문이나 동대문과 같은 4대문도, 청와대도 아닌 바로 ‘십자가’다.

외국인들이 대한민국을 방문할 때 비행기 아래로 본 서울의 야경을 보고 놀라는 일이 많다고 한다. 빼곡하게 들어찬 높은 건물들과 휘황찬란한 불빛들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보다 더 외국인들을 놀라게 하는 것은 바로 수도 없이 많은 붉은색 ‘십자가’ 때문이다.

걸어서 10분 거리마다 교회가 있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대한민국 교회는 이미 포화상태다.

이에 서울의 상징을 십자가로 표현한 그림을 두고 일부에서는 ‘검증 없이 들어서는 교회와 자격 없는 일부 목사’들을 향한 무언의 메시지라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또한 일각에서는 서울을 상징하는 건물이 없는 것 같다며,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을 상징할 만한 건물을 찾아야 한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H3 id=articleTitle class=font1>세계적인 건축가 아론 탄 “서울 야경은 십자가예요"</H3>
헤럴드생생뉴스| 기사입력 2011-03-28 07:01 | 최종수정 2011-04-01 07:06


"서울 밤 하늘 십자가 일색"

"워커힐호텔 피자힐이 특색"

세계적인 거장 아론 탄 일침


의외였다.

지난 24일 갑작스런 연락을 받고 밤늦게 눈과 비가 섞여 추적추적 내리는 짖궂은 날씨에 서울 어느 한 변두리, 찾기도 쉽지 않은 스튜디오에 들어서자 세계적인 건축가 아론 탄(47)이 나와 있었다.

“서울의 건축물을 지역에 따라 특성화하고, 좀더 컬러풀하게 지었으면 좋겠다.” SK텔레콤이 여수엑스포에 참여해 제작하는 건축물 디자인 관련 논의를 하기 위해 방한한 세계적인 건축가 아론 탄(47)은 아직도 서울은 여전히 회색도시라고 지적했다.

홍콩인으로, 미국 콜럼비아대학교에서 도시공학을 공부하고 하버드대에서 건축학을 전공한 그는 세계적인 건축 설계회사 RAD(Research Architecture Design)의 설립자이자 대표다. 국내에서도 SK텔레콤 본사 건물, W호텔과 쉐라톤그랜드워커힐 호텔의 설계자로 더 잘 알려져 있다. 홍콩 중심가 어디에서나 보이는 AIA 빌딩, 인도 하얏트 호텔, 중국 베이징 국제학교 등, 그의 활동 범위는 한국, 홍콩, 싱가포르, 타이완은 물론이고 중국, 인도, 사우디 아라비아, 호주까지 경계를 넓혀가고 있다.

“저는 홍콩 사람입니다. 홍콩에 가 보셨다면 아시겠죠? 홍콩은 초고밀도로 집적된 도시로 땅값이 엄청나게 비싼 도시죠. 최첨단 기술이 접목된 아름다운 건축물이 많고, 그런 건축물이 이뤄낸 화려한 야경은 홍콩의 대표적 관광상품이죠. 그곳에서 주로 활동하는 저에게서 한국 사람들은 한차원 앞선 도시적 건축물 디자인의 경향을 기대하는 것 같습니다. 저도 저의 특성을 Urbanism(도시성)이라고 생각해요.”

전 세계를 무대로 글로벌한 비즈니스를 펼치고 있는 그에게 이미 수십회째가 된 한국 방문은 일상인 듯 했다.

“1970년대에 한국을 처음 방문했고, 미국 유학시절 룸메이트도 한국 사람이어서 한국을 잘 알죠. 한국에 오면 홍대앞이나 신촌에 가서 노는 게 좋아요. 에너지가 넘치고, 흥겹고, 즐거운 분위기죠.”

그러나 그에게 한국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의외다.

한국에 오면 항상 인상적인게 도시 야경 속에 빛나는 십자가예요. 교회가 정말 많죠. 올 때마다 십자가는 더 늘어나는 거 같아요.”

건축가로서 그에게 가장 인상적인 한국의 건축물을 묻자 잠시 머뭇거리더니 워커힐호텔의 ‘피자힐’이라고 했다. 또 그는 “서울의 건축물을 지역에 따라 특성화하고, 좀더 컬러풀하게 지었으면 좋겠다”고 조언했다.

최근 그는 전북 전주의 전주대학교 도서관 복합건물 스타센터 설계로 또 한번 한국과 인연을 맺었다. 지방대의 인기가 갈수록 시들해지자 지방대 당국이 학교 경쟁력 제고를 위해 세계적 건축가의 최첨단 건물로 승부수를 띄우고 있는 것이다.

공사비 380억, 완공에 4년여가 걸리는 스타센터 얘기가 나오자 그는 스티브잡스 같은 투로 이렇게 말했다.
“미래 도서관의 모습은 어떤 것일까요? 손톱보다 작은 칩에 수만권의 책을 저장할 수 있게 된 오늘날 옛날같은 도서관이 필요한 걸까요?”

이 도서관에는 영화관, 체육관, 푸드코트 등 학생 생활 편의를 위한 시설이 총 집결됐다.

그는 “건축물은 그 사회의 생각이 표현되는 작품”이라며 “건축가는 설계할 때마다 사회적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며 말을 맺었다.



아나 이새키들 뉴스기사를 보여줘도 못믿나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개독디언 이색키들은 지들은 완전 국제적 또라이면서 나보고 맨날 또라이란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니들이 국제기준으로 비정상이야 새키들아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285371 대한민국의 심장, 서울특별시 [5] 과학도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1 226 0
285370 대구가 울산에게 공식적으로 밀린지는 오래지만 마산한테도 밀림 [3] 수도부산(110.10) 12.01.11 170 0
285369 부산의 내부와 업무지구 [2] 수도부산(110.10) 12.01.11 209 0
285366 부산의 실내에서 바라보는 조망들 (110.10) 12.01.11 141 0
285365 난 대구가 현존하는 대구자랑거리를 하나라도 보여줬음좋겠다 [1] 김태구운(110.10) 12.01.11 107 0
285364 1인당 GDP 7만불의 부자도시 마카오 [3]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1 314 0
285363 1인당 GDP 2만7천불의 그리스 아테네 [12]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1 579 0
285362 아직도 대구스타디움가면 매표소 기둥에 살비그림있음? ㅋㅋ(110.10) 12.01.11 76 0
285360 부산과 닮은도시 [2] ㅑㅕ(211.211) 12.01.11 128 0
285359 부산은 도시가아니라 산동네입니다 ㅋㅋ(110.10) 12.01.11 54 0
285358 대구 다음로드뷰 새사진새로찍었나보네 [7] ㅋㅋ(110.10) 12.01.11 260 0
285356 통일 후 제2의 도시는 부산? 평양, [18] 멋진쾌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1 553 0
285355 한국 일본 광역권 3대도시 비교 [14] 멋진쾌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1 502 0
285351 통일 후 10대 도시 예상 [5] 멋진쾌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1 491 0
285348 이번주나 담주에 부산 산동네 가서 사진 찍어와야지 [74] 김태군(118.41) 12.01.11 295 0
285347 부산이 나고야 보다 안되나요? [9] 멋진쾌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1 212 0
285346 대구 자가용 이용률이 왜 전국 최고인지는 대구 시가지 보면 알수있지 [11] ㅎㅎ(118.41) 12.01.11 283 0
285344 니들 같으면 부산 산동네 살면서 자가용 몰겟냐? [7] ㅎㅎ(118.41) 12.01.11 86 0
285343 대구는 자동차 교통이 제일 좋은 도시지 [15] ㅎㅎ(118.41) 12.01.11 219 0
285341 난 산동네 쳐발린 자칭 도시가 젤 싫다 [2] ㅎㅎ(118.41) 12.01.11 50 0
285340 [부산] 중앙동 도시전철역사내 모자이크.. [4] 오란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1 202 0
285339 대구는 산동네 없다 100%평지 도시다. [19] ㅇㅇ(118.41) 12.01.11 195 0
285337 지하철 비교 [9] 멋진쾌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1 347 0
285335 메인보드 대구 광역시 [5] ㅇㅇ(118.41) 12.01.11 181 0
285332 객관적인 부산의 국내와 라이벌도시들 [5] 뉴욕런던서울(220.73) 12.01.11 148 0
285328 대구=타이페이=후쿠오카 [9] 멋진쾌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1 239 0
285326 보통 작은산만디 넘어갈려면 2시간정도 걸리지 안냐 엉 [2] (221.157) 12.01.11 45 0
285325 대구 광역권 위성도시들 [6] ㅇㅇ(118.41) 12.01.11 225 0
285324 부산권 위성도시들. [3] ㅇㅇ(121.145) 12.01.11 125 0
285323 캐논 부산 산동네 촌년이 잰 방식으로 부산 산동네 거리 재봣음 [3] ㅇㅇ(118.41) 12.01.11 101 0
285322 하긴 산만디 넘어갈려면 2시간 가지고 되겠냐 (221.157) 12.01.11 29 0
285321 타이페이의 등급은? [9] 멋진쾌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1 240 0
285320 캐논 부산 산동네 촌년 대구 시가지가 작데 ㅋㅋ [15] ㅇㅇ(118.41) 12.01.11 186 0
285319 비수도권도시들중 가장 살만한 도시.... [10] 뉴욕런던서울(220.73) 12.01.11 259 0
285318 대구시가지가 평지긴한데 진짜 작다.. [17] +Cano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1 342 0
285317 부산의 딸.... [5] ㅇㅇ(121.145) 12.01.11 157 0
285316 도갤 대구넘들 유일한 레퍼토리 3개 [8] 씝썌들아반갑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1 112 0
285315 부산 산동네 지형이 더럽긴 더럽지 [2] gg(118.41) 12.01.11 54 0
285314 세운상가는 어케되는거야... [8] 몰롸몰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1 183 0
285313 올리브와 치킨이 만나 I♡B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1 48 0
285312 진짜 부산 시가지 대부분인 산동네 산과 고층 건물이 어울린다 생각함? (118.41) 12.01.11 36 0
285311 근데 현재 지은 부산 고층 아파트로 산동네 가릴수있냐? [4] (118.41) 12.01.11 64 0
285310 솔까 부산 같은 산악지형에 높은 건물은 안어울린다 [14] 호랑이(118.41) 12.01.11 112 0
285309 부산 산동네는 기본적인거 조차 갖추지 않았다 [2] 호랑이(118.41) 12.01.11 46 0
285308 대구 부산 딱 3가지 도시에서 중요한점 비교해보면 [8] ㅎㅎ(118.41) 12.01.11 214 0
285307 우리집 삼십층엔 포항스틸러스 선수삼 ㅇㅇ [2] 서글어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1 130 0
285305 솔직히 벤틀리 마이바흐급.차는 [5] 서글어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1 172 0
285304 순수 15층이상 오피스빌딩은 대구가 부산 산동네 보다 더 많다 [3] ㅎㅎ(118.41) 12.01.11 116 0
285303 한국은 역시 서울, 부산, 대구 3축 체재로 가야됨 [7] ㄴㅇㄹㄴㅇ(1.177) 12.01.11 193 0
285302 동대구 환승센터를 더 기대하는 사람들은 [3] ㅎㅎ(118.41) 12.01.11 109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