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달리는 적자철' 부산~김해 경전철] 승객수 끝없는 추락…

김해 망햇따(118.41) 2011.12.13 15:28:22
조회 62 추천 0 댓글 3


<H3 id=articleTitle class=font1>[\'달리는 적자철\' 부산~김해 경전철] 승객수 끝없는 추락… 정부 보전안마저 자동폐기 기로</H3>
부산일보| 기사입력 2011-12-09 11:06 기사원문

20111209000119_0.jpg
20111209000120_0.jpg
20111209000123_0.jpg
부산~김해경전철의 \'MRG(최소운영수익보장) 폭탄\'이 현실화되고 있다. 김해시가 각종 수요창출 방안을 내놨지만 지난 9월 개통 이후 승객은 계속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정부 예산으로 경전철의 적자를 보전해 주기 위한 도시철도법 개정도 국회 파행으로 표류된 상태다.

법 개정안에 대해 정부가 여전히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는데다 국회 파행이 내년 총선까지 이어질 경우 법안 자체가 자동폐기될 수도 있는 상황이다.


수요 창출 백약이 무효

공무원 이용 의무화 등
시 활성화대책 무용지물


MRG 폭탄 째깍째깍

승객, 예측치의 20%도 안돼
연 350억 부담 현실로


정부지원안 헛바퀴

예산으로 경전철 적자 보전
국회 파행에 논의 중단



■승객수 \'끝없는 추락\'

9일 경전철 운영을 맡고 있는 부산~김해경전철운영㈜(BGM)에 따르면 개통식을 가진 지난 9월 한달동안 하루 평균 3만 723명이 경전철을 이용했다. 그러나 이후 계속 줄어 10월엔 3만 431명, 11월엔 3만 명으로 감소했다. 겨울에 접어든 이달 들어선 하루 평균 승객이 2만 명대로 줄어든 상태다. 지난 7일엔 2만 9천714명이었고 6일엔 2만 8천938명, 5일엔 2만 8천219명 등으로 계속 2만 명대에 머물러 있다. 이달 중순부터 중·고등학교 방학이 시작돼 승객수는 더욱 감소할 수 밖에 없다.

승객이 당초 수요예측치(하루 17만 6천명)의 20%인 3만 5천명일 경우 김해시가 연간 부담해야 할 MRG는 320억 원이다. 그런데 승객이 2만 명대로 떨어져 그대로 유지된다면 350억 원으로 늘어난다. MRG는 1년에 한번씩 정산되며, 첫 정산은 2013년 3월로 예정돼 있다.



■수요창출 \'백약이 무효\'

김해시는 개통 초기 승객 수가 당초 예측에 턱없이 못미치자 수요창출을 위해 경전철 운행구간에 거주하는 공무원들에게 경전철 이용을 의무화하는 등 서둘러 대책을 발표했지만 전혀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김해시는 경전철 개통 1년 안에 승객수를 하루 5만 명으로 늘리겠다며 역세권 개발 대책까지 내놨지만 승객 수는 오히려 시간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 경전철 시행사인 부산~김해경전철㈜(BGL)과 운영사인 BGM은 김해시와 비교하면 느긋하다.

BGL은 지난달 11일부터 10일까지 시민을 상대로 \'가족·연인·친구와 함께 하는 경전철 사진공모전\'을 연 것을 제외하고는 별다른 홍보활동을 않고 있다. 승객유치에 적극 나서야 할 BGM도 소극적이기는 마찬가지다.

결국 김해시는 내년에 1억 2천만원을 들여 경전철 활성화를 위한 용역을 실시하기로 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이 나올 수 있을 지 의문이다.



■유일한 희망마저 가물가물

부산~김해경전철의 적자보전을 내용으로 하는 \'도시철도법 일부 개정법률안\'이 국회에서 지난달 9일 격론을 벌였지만 해답을 찾지 못하고 있다. 국토해양위원회 법안심사소위는 이날 상임위 소회의실에서 김희국 국토해양부 제2차관이 출석한 가운데 이 법안에 대한 심사를 벌였으나 소위 위원들 사이에 "김해 경전철의 경우 정부주도 시범사업이었던 만큼 정부가 최소한의 책임을 져야 한다"는 논리와 "지자체 사업을 정부가 적자보전 하는 것은 문제"라는 입장이 팽팽히 맞섰다.

합의점을 찾지 못한 소위는 개정안을 추후 재심의키로 했지만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동의안의 한나라당 강행처리로 여야가 대립하면서 논의조차 못하고 있는 상태다.

김해시 관계자는 "승객이 줄어든 만큼 MRG 부담은 더욱 커져 걱정인데, 정부 지원을 이끌어 낼 법률 개정안 논의마저 중단돼 답답하다"면서 "MRG 폭탄이 현실로 닥친 상황에서 더이상 내놓을 대책조차 없으니 큰 일"이라고 말했다.

김길수 기자 kks66@busan.com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285659 부산 사진들 정리 어어(110.10) 12.01.12 55 0
285658 - 대구 직찍사진들 정리 [4] +Cano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2 167 0
285656 “해운대가 부자 앞마당이냐” 주민들 해수욕장 주변 난개발 막기 팔 걷어 [5] ㅇㅇ(220.88) 12.01.12 275 0
285655 '늙은 도시' 부산 결혼하기도 힘드네 [6] ㅇㅇ(220.88) 12.01.12 188 0
285654 동대구로 '경제벨리'로 뜬다 [4] zz(110.10) 12.01.12 179 0
285653 부산 산 꼭대기 아파트 [2] ㅇㅇ(220.88) 12.01.12 234 0
285652 밤새는데 심심하네 [2] zz(110.10) 12.01.12 48 0
285650 - 밤새는데 심심하네.. 사진정리 [8] +Cano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2 125 0
285649 용두산 타워에서 부산시가지전경찍었음 [10] zz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2 155 0
285645 대구위성도시들 총정리 [4] zz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2 157 0
285643 태군이 이각도로 찍어주길원함? [2] zz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2 59 0
285641 부산 산동네 촌년 주제에 깝치지 마라 [4] (220.88) 12.01.12 60 0
285636 대구 동성로 맨해튼 919 이름 멋지기만 하구만 [6] ㅇㅇ(220.88) 12.01.12 322 0
285635 서울인들이보기엔 서울부산vs 대구 거리는거 자체가 웃길뿐이겟지 [1] ㅋㅋㅋ(123.199) 12.01.12 104 0
285633 남포동은 번화가라면서 대낮에 왜 사람하나 안다니냐? [17] 누네띠네(175.201) 12.01.12 241 0
285632 대구 동성로 20층이상 빌딩 짓는곳 맨해튼 919 [27] ㅇㅇ(220.88) 12.01.12 690 0
285631 === 부산에는 왜 초고층빌딩이 많은걸까? 종결편 (애정남) === [4] 애정남(116.126) 12.01.12 301 1
285629 울산 부산 대구는 포항한테도 부자비율 발리면서 깝 ㄴㅇ [19] 거북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2 373 0
285628 대구 위성도시 울산 [4] ㅇㅇ(220.88) 12.01.12 120 0
285627 서울, 부산, 대구의 잘나가는 지역들 [29] ㅇㅇㅇ(1.177) 12.01.12 396 0
285625 부산에서 살기좋은곳중 하나.. [3] +Cano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2 405 0
285624 작년 7월에 찍었던 BIFC 사진있네.. [2] +Cano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2 205 0
285623 대구 동성로 40층 높이 173미터 오피스텔 건축심의 통과햇네 [35] ㅇㅇ(220.88) 12.01.12 515 0
285620 대구 동성로 중앙파출소 근처에짓는 20층이상 빌딩 동성로 최고 높이 라네 [9] ㅇㅇ(220.88) 12.01.12 300 0
285619 대구 동성로 로드샵 거리에 어떻게 20층이상 빌딩을 지을수가 있냐 ㅋ [10] ㅇㅇ(220.88) 12.01.12 321 0
285617 그런데 동성로가 한국에서 가장 방대한 크기인것은 맞다. [7] 누네띠네(175.201) 12.01.12 160 0
285616 대구 동성로 중앙파출소 인근에 20층이상 상업용 빌딩 짓는다고? [12] ㅇㅇ(220.88) 12.01.12 208 0
285615 서울 인구가 한창증가하던 6~70년대엔 1년에 인구가 30만명이상 증가 [2] ㅇㅇ(220.88) 12.01.12 167 0
285614 고양 화성 이런데 90년대까지만 해도 전형적인 군 농촌 지역이었는데 [1] ㅇㅇ(220.88) 12.01.12 130 0
285613 근데 아파트 높은데 살면 안좋지 않냐? 공기도 부족하고 [17] (220.88) 12.01.12 260 0
285612 화성·김해 대도시 반열 올랐다…인구 50만 이상 [10] 창원人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2 480 0
285611 니들 근데 왜 높이에 그리 집착하냐? [2] (220.88) 12.01.12 78 0
285610 1990년대 중반.. 수도 서울의 풍경.jpg [18] ㅎㅎㅎ(59.30) 12.01.12 381 0
285609 내가 BIFC 높이가 얼마인지 [5] I♡B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2 276 0
285608 그러고보니 문현금융단지가 338m라는 증거가 없네...ㅡㅡ [4] ㅎㅎㅎ(59.30) 12.01.11 159 0
285607 일본인이 촬영한 부산 서면 지하가 [14] ㄴㅇㄹㄴㅇ(1.177) 12.01.11 456 1
285605 근데 BIFC 338m는 어디서 나온 예기?? [8] I♡B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1 210 0
285604 원주 단계택지 면 서면 정도는 떡실신 시키지 [5] 하하(112.214) 12.01.11 155 0
285602 근데 백화점은 대구가 부산에 앞서는 것 맞지 [2] 퐁퐁(112.214) 12.01.11 87 0
285601 서울과 부산의 후덜덜한 격차.jpg 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 [1] ㅎㅎㅎ(59.30) 12.01.11 274 0
285599 부산 산악지형 산동네 지형에 고층 건물이 어울림? (220.88) 12.01.11 69 0
285598 부산 지형이 산동네 산악지형이라 고층건물 지을수밖에 없는게 자랑은 아닌데 힘내(220.88) 12.01.11 190 0
285597 서울따위를 날려버리고도 남을 부산의 초고층건물들.. [6] 지존(119.67) 12.01.11 247 0
285596 서면 센트럴 스타 이게 서면 번화가라고? [38] 김정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1 1678 0
285594 현재 건설중인 대한민국 최고층 빌딩.. 지상으로 올라오다!!ㄷㄷㄷㄷㄷㄷㄷ [3] ㅎㅎㅎ(59.30) 12.01.11 337 0
285593 백화점으로 본 전국 주요 번화가 확정본 [20] 힘내(220.88) 12.01.11 355 0
285591 대한민국 최고층 오피스빌딩 1층 올라오다..(338m) [18] 지존(119.67) 12.01.11 407 0
285590 대구 이거 사실이냐? [6] ㅇㅇ(220.88) 12.01.11 274 0
285587 대한민국 지존 포스는??? [3] 지존(119.67) 12.01.11 142 0
285585 한국도시는 오직 서울수도권과 그외지방도시들로 나뉘어질뿐이다. [3] 뉴욕런던서울(220.73) 12.01.11 87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