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쿠키런 킹덤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쿠키런 킹덤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UFC 랭킹 4위가 추천하는 만화 3개 ㅇㅇ
- 천안함 생존자 "사과를 구걸했습니다" ㅇㅇ
- 리즈시절 스퀘어의 광기를 보여주는 일화 ㅇㅇ
- 교정직이 찐따에게 천직 신선인 이유.jpg ㅇㅇ
- 과속 단속 걸려서 억울하게 면허정지 당할뻔한 택시기사 근황 ㄷㄷㄷ..ne ㅇㅇ
- 요시다 파판16 인터뷰 몇개 요약...jpg 죽순
- 그레인키에 대한 10가지 이야기 천둥폭풍
- (여행기)우스이고개 철도문화마을 깜에가요
- 에티오피아가 6.25전쟁참여한 이유보면 정말 멋짐. ㅁㅁ
- 이강인 라리가 올해의 미드필더였노 ㅋㅋㅋㅋㅋ ㅇㅇ
- 마음대로 가는 무지성 일본 여행기 -7 Lazykyo
- 민주당 日오염수 서명운동, '홍길동' 적어도 접수 AZ3811
- 살인 후 경찰 출동 전까지 라면을 먹고 있던 범인 ㅇㅇ
- 스압)블라인드 공무원 헌터시리즈 #4편 기초연금.araboza 실시간기자
- 섬머 게임 페스티벌 2023 총정리 pt.1 으잌㉪
약혐) 민어 낫잿방어 우니 후기(씹스압)
(이런 개ㅅㅂ 다 써놨는데 뭔 버그인지 삭제됐네 심지어 임시글 저장했는데도 삭제돼서 처음부터 다시 씀 ㄹㅇ 현타온다) 오늘도 평화로운 노량진 뭐했는데 벌써 여름이 온건진 모르겠지만 더워 죽겠다 이번엔 왜 왔냐면 드디어 민어를 구했기 때문이다 이전 글들에서도 알 수 있듯이 2달 전부터 찾던거임ㅋㅋㅋ 대리경매 예약 3번을 넣었는데 모두 실패하고 심지어 새벽에 개고생해서 갔다가 칼만 갈아갖고 온 날도 있었음 정확히는 2~3kg짜리 활민어를 노리고 있던거임 아무래도 시즌 초반에는 물량이 적어서 상품성 좋은 큰 애들만 들어오니까 작은건 구할 수가 없었음 암튼 간만의 예약 성공에 신나게 달려가서 이것저것 사왔다 활민어 2.7kg짜리 물량 따라 시세는 바뀌지만 대략 kg당 3만원 초반이 경매가라고 생각하면 될듯 나는 운좋게 kg 2.9만에 샀음 비싸도 민어는 무조건 활어임 방혈 신케지메 제대로 안된 거 잘못 먹으면 맹맛에 푸석거림 극혐) 내장나옴 . . . . . . 간이 상당히 특이하게 생겼다 내장지방이 별로 없어보이지만 얘는 지방을 어디에 저장하냐면 부레에다 저장한다 배가 불룩하길래 설마 알인가 했더니 부레였네 다행이다 이거 말고도 저기 신장 양 옆에 기름이 많이 찰 수록 좋은 거 부레 뜯어내고 신장 제거할라고 칼집 넣으면 보임 사진은 동맥에 염수 들어간 주사기 집어넣어서 방혈하는 중 간 위 창자 빼놓은거 위랑 창자는 굵은 소금으로 빡빡 문대서 점액질 제거 간은 소금 탄 청주에 담가서 피 빼기 나중에 하면 또 귀찮으니까 머리 반갈죽 조기 종류들은 이렇게 머리 속에 돌 같은 뼈가 들어있음 수조기도 이거 있더라 그 다음 재료는 이거 생긴건 잿방어인데 살짝 짧뚱하고 지느러미도 독특함 얘는 하와이에서 온 낫잿방어임 우리나라랑 일본에서 사는 잿방어랑은 종이 다른거 이게 그렇게 맛있다길래 궁금해서 큰맘먹고 사와봤다 이거랑 국산 우니도 사왔음 일단 첫 날은 낫잿방어 뱃살을 먹어보자 탈피 걍 시마아지 하듯이 하면 될듯? 기름기 미쳤네 한 접시 완성 앞쪽 뱃살 와 이거 개맛있다 오면서 숙성돼서 그런지 기름은 잘 퍼져있는데 식감은 또 꽤 남아있음 분명히 기름이 많긴 많은데 느끼하진 않음 밸런스가 좋음 그리고 양식 냄새가 하나도 없음 신기하게도 조금 더 뒷쪽 뱃살 대뱃살 역시 등푸른 생선들은 뱃살이지 쥑여주는 대뱃살 마블링 이건 국산 우니 하나도 이상한 냄새 안 나고 쓴맛도 거의 없었음 이 조합은 어떨까 궁금했는데 음 별로임 따로따로 먹는게 맛있다 민어 내장 수육 아 역시 민어 간은 내 취향이 아님 위랑 창자는 식감이 개좋음 초고추장이나 기름소금장에 찍어먹음 꿀맛 그 다음 날 드디어 민어 까봤다 꼬리는 별로 회로 맛이 없어서 전 부쳐먹어야됨 이건 그래서 저렇게 분리해낸거 와우 민어 2.7kg짜리가 피하지방층이 제법 있네 대뱃살은 저거 껍질도 잘 안 벗겨지는거 그냥 칼집내서 유비끼함 그냥 안 먹고 시오지메 하면 더 좋다 걍 별거 없고 소금 쳐서 수분 뽑는거임 나온 수분이랑 안 닿게 트레이 기울이면 됨 근데 이 방법이 생선 특유의 냄새 제거에 가장 효과적인듯 한 접시 완성 무지개빛 등살 난 민어는 등살이 최고로 맛있음 감칠맛도 좋고 찰진 식감에 살짝 고소하게 도는 뒷맛 하루 숙성이라 아직 식감도 살짝 남아있었음 얘는 대뱃살에 기름이 그다지 없고 대신 지느러미살이 기름지다 꽤 맛있는 특수부위임 대뱃살+갯무래기살 뭐랄까 딱히 특징은 없음 기름기도 등살이랑 크게 차이가 없음 특수부위 한 접시 부레랑 대뱃살 껍질 이런 구성 저기 부레는 참기름 소금장에 찍어 먹는데 안 그래도 기름덩어리가 둘러싸고있는 구조라 좀 먹다보면 느끼함 그래서 깻잎 다져서 놨는데 잘 어울리더라 호다닥 슈퍼 뛰어가서 김밥김 사온 뒤에 남은 우니로 군함도 만듬 인생 첫 시도 와 이거 ㅈㄴ맛있다 우니 솔직히 찾아먹을 맛은 아니라고 생각했는데 군함이 답이었음 근데 이거 김 너무 빨리 눅눅해지는데 어케해야됨? 원래 그런건가 그 다음 날은 낫잿방어 등살을 꺼내서 탈피 이제 썰어보자 낫잿방어 판초밥 완성 야 이거 개지린다 식감은 샤리랑 잘 어울리고 맛도 딱 밸런스 있는 기름짐 생선 냄새는 전혀 안 남 간 마늘 올려먹으면 더욱 맛있음 등살 짜투리 이런거 그냥 모아다가 샤리 남은거랑 비벼먹었음 등에서 제일 위쪽 살 참치로 따지면 그 등살 중에도 토로 부위 있잖아 거기임 나름 별미 낫잿방어 반 마리 사온거 다 먹었으니 이제 대가리 반갈죽 카부토와리 할 때마다 무서움 손 잘릴까봐 뼈도 버리지 않고 다 쓸거임 비싸 얘 그 다음 날은 간단하게 민어 뱃살만 등살은 하루 더 숙성 후에 초밥으로 반 남은 부레와 함께 앞 쪽 뱃살 길게 썰었음 역시 고소하고 맛있음 중간 쪽 뱃살 두툼하게 썰었음 3일차부터는 이제 식감보다는 감칠맛이더라 꼬리 쪽 뱃살 자연산 특일수도 있는데 빛 비춰보면 회 색깔이 참 투명해서 예쁜듯 초밥용 민어 등살 탈피 후 시오지메 초밥 완성 이거 진짜 개맛있다 샤리랑 잘 어우러지는 식감이고 감칠맛도 강한데 뒤에 살짝 고소한 단맛이 도는게 최고 맛있으니 한 번 더 초밥으로 쓰기에 사이즈 안나오는 남은 짜투리 회들은 50개 제한때문에 2편에서...
작성자 : 금태충고정닉
[군?수글]/[사진많은글] 아주 간단하게 알아보는 PLS체계
군붕이들이 팔렛트에 있어 평판랙과 헷갈려하는 것 같아서 이참에 간단하게 써봄. + 쓰다보니 PLS가 더 중심이 되버림. 우선, 우리가 생각하는 팔레트는 위와 같다. 일단 가장 널리쓰이는 건 T11(1,100mm × 1,100mm) 규격과T12(1,200mm × 1,000mm)규격임. 그외에도 다른 규격들도 쓰이는 중이다. 일단 PLS란 것부터 이해가 필요한데, PLS는 단순 팔레트가 아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화물을 팔레트에 올려 포장하는 팔레트화(Palletized)하여, 적재(Load)하는 체계(System)이며, 이것들이 적재 취급 장비(Load Handling System)와 함께 어우러져 조화를 이뤄낸다. 그러면 우리가 관심있어하는, (우리군을 제외한)군에선 어떤식으로 적재를 하면, C-130과 C-141을 위해 1957년에 만들어져, 지금은 항공화물표준 및 미군 보급체계의 표준 팔레트인 463L 팔레트(물론 아공군을 포함한 수송기에 싣는 서방 팔렛트가 보통 이거다.)에 이런식으로 일반 팔레트를 겹겹이 쌓아서 포장하거나, 벌크화물을 비닐로 잘포장하거나 탄약을 포장하여 결속하는 등으로 적재를 해주고 이런식으로 평판랙(Flat Rack)에 실은 뒤에 랙 자체를 실어간다. 즉,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팔레트 체계란 거는 사실 저 평판랙을 의미#한다. 그런데, 사실 팔레트라는 단어로 인해, 우리 군은 팔레트를 안사용하는 거 아님? 이미 사용중 인거 모름? 등 오해의 소지가 생길 수 있다. 사실은 우리군은 팔레트를 사용중이며, 정확히는 가장 위의 일반적인 팔레트와 공군 수송기용으로 463L 항공 팔레트는 운용중에 있다. 허나 그것을 야전에서 현대적인 PLS체계로 확대시키진 못하였다. 여태까지 그래왔고, 앞으로도 갈려나갈 바이오로봇들과 5톤 유압크레인들에게 X를 눌러 JOY를 표하자. 아무튼, 이야기가 좀 샜는데, 군붕이들이 흔히 팔레트라 말하는 평판랙은 일반적으로 금속강으로 만든 20피트 ISO표준 컨테이너 규격과 호환되는 대형 판으로서 미군의 경우 M3 CROP라 부르고 있다. 미군의 평판랙의 경우, 최대 중량 16.5t에 463L 팔레트는 2개가 들어간다. PLS의 장점은, 빠른 적재/하화를 통한 수송속도 및 수송량 증가도 있지만, 대부분의 파생형 트럭들을 하나의 체계로 호환시켜 군수지원 효율성을 압도적으로 끌어올린다는 점이다. 가령 예전의 다양한 군수지원용 파생형트럭들을, 이제는 어떤식으로 하냐면.... 평판랙에 차량등 벌크중장비와 각종 화물 및 공병 부교나 팔레트를 싣고 수송도 하고, LHS(Load Handling System)을 통해 컨테이너화가 필요한(우천을 피할 필요가 있는 화물등) 화물을 컨테이너째로 옮기거나(물론 저기도 컨테이너 내부에 팔레트 적재를 위한 맞춤 틀도 부가장비로서 따로 존재한다.) Modular Fuel System을 통해 20피트 ISO 표준 규격으로 제작된 연료 보급 체계를 싣고 다니며, 연료 보급도 가능하다. (펌프, 발전기, 접지등 저 체계에 다 갖고 있음) 또한, 2000갤런의 청수를 -25°C의 환경에서도 액체상태로 보관가능하며, 교류 발전기, 펌프, 호스를 갖추고 있는 ISO 표준 20피트 컨테이너 규격과 같은 규격의 물탱크랙인 HIPPO. M4 Bituminous Distributor(Asphalt Module)란 이름으로 도로 정비, 준비를 위해 아스팔트 살포 및 물 분사장비도 PLS랙으로 들어올려서 장비될 수 있고, M5 Concrete Mobile Mixer(EMM-CMM)란 이름으로 사용중인 콘크리트 믹서기도 있으며, 저것도 20피트 ISO 국제 표준 규격이다. PLS 장비로 슥삭 올려서 장비 가동하면 콘크리트 믹서차가 된다. M6 Dump Body(EMM-DB)란 이름으로 덤프랙도 존재하여 덤프트럭 임무도 수행가능하다. 이것역시 규격표준화 제품. 그밖에 전방 수리 체계(FRS)를 탑재하여 정비샵밴도 됨. 이걸, 우리같은 경우에는 출시당시에 파생형내고 축간 거리 늘려가면서 장축형이네 뭐네 따로 파생형트럭 나눠서 보급해놓고 전시상황에 특정 종류 트럭 터지면 대체할 트럭 구하다가 시간소비 할 시간동안에 임마들은 잠깐 싣고 있던 화물 30초~5분만에 내려놓고 필요한 파생형 부품만 화물칸 장비로 슥삭 올린다음 가서 지원해주면 된다 ㅋㅋㅋㅋ + 463L 팔레트가 육상에서 쓰인다고 해서 무조건 저 형태로 쓰이는 건 아니다. 그냥 일반 팔레트째로 운용하기도 하고, 또는 463L 팔레트 위에 바로 올려버리기도 한다. (참고로 막짤의 지게차처럼 미군과 영국군은 개조한 야전 지게차를 많이 굴리고 있다.) 압도적인 보급의 힘이 느껴지십니까 코리안? - dc official App
작성자 : 155mmAPFSDS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