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성글) 히틀러는 어떻게 정권을 장악했나 -1-앱에서 작성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17 21:25:02
조회 18365 추천 78 댓글 162

7fe9f575c0f760f523e785e0409c706a1f31f1ee425989df34b8d52468575be4d41c587b6c6980de4fc2478f153d5d7e8fcce431

아돌프 히틀러 하면 대중적인 이미지는 ‘민주주의의 결함’, ‘민주적으로 선출된 독재자’라는 것이다.

지금도 한국의 여러 TV 교양 프로그램에선 이런 시각을 가지고 대중들에게 이 사실을 전파하며, 그 이전 바이마르 공화국의 복잡한 정치 상황은 도외시 한다.

히틀러 같은 독재자는 우리가 과연 그런 자들에게 표를 던지지 않기만 하면 절대 탄생할 리 없는 ‘민주주의의 이단아’일까?

이 글은 실제 독일에서 바이마르 공화국의 역사를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취득한 유튜버 "함께하는 세계사"님의 영상을 보고 제작되었다.

7ae48402b5876ef123e783e3359c70687c4a31cbbbc856a6e88b79d709ddceb9e82e59c3c579095ccf2d31ec479fb1cd6f1a7976

1918년, 독일제국의 상황은 최악 그 자체였다. 4년을 이어간 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독일에서 200만 넘는 군인들이 죽었고, 상이군인은 421만 명에 달했다.

군부의 전시경제 체제로 인해 궁핍과 극심한 기아가 독일 전역에 만연했고, 이는 11월 혁명을 촉발시켰다.

11월 혁명으로 인해 독일 전역은 공산 혁명을 외치는 극좌 공산당과 이를 막는다며 날뛰는 퇴역 군인 출신 극우 준군사조직들로 인해 심각한 진통을 겪었다.

이 상황에서 바이마르에 모인 독일의 주요 정치인들이 새로운 헌법을 제정하고 공화국을 선포하며 혁명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우선 히틀러의 등장을 알기 위해서는 당시 바이마르 공화국의 헌법과 정치 체제를 살펴보아야 한다.

7be88302b0f660f723eef4e14e9c701c67a23b7cab9976ee2553f312977d119d6f56ca9f2e1cdbe9dae60271a38c4f592d3886eb

일단 형식상으로 바이마르 헌법은 가장 진보적인 헌법이었다. 20세 이상 모든 성인에게 보통선거권을 부여했으며, 공화국이지만 비상사태를 제외하고 의회에 더 많은 권한이 있는, 이원집정부제~의원내각제 쯤 되는 국가였다.

우선 행정부의 수장은 국민 직선으로 선출된 대통령으로 임기 7년에 중임이 가능했다. 대통령은 총리를 임명하고, 총리가 추천한 후보들 중에서 장관을 임명하여 내각을 구성하였다. 또한 의회해산권도 가지고 있어서 의회 해산 이후 6개월 이내에 재선거를 실시할 수 있었다.

입법부는 국민 직선으로 선출되는 하원과 주의회에서 선출하는 상원이 있었는데, 하원의 경우 의원의 임기는 4년이었고 내각불신임을 결의할 수 있었다.

행정부와 입법부의 관계 속에서 향후 가장 중요하게 작용했던 게 헌법 제48조였다. 이 조항에선 대통령이 ‘국가 비상사태’시 긴급명령을 통해 의회를 무시하고 통치권을 행사할 수 있었다.

74ec8773c4876b83239d87e5339c706f063b09b068073d2db60dd928a1d60f9602dc4b3993a9f2c72c767441cda18852aa52af14

물론 바이마르 헌법을 처음 만든 사람들의 의도는 이 사람처럼 긴급조치를 남발하며 통치하라는 게 아니었을 것이다. 실제로 헌법에는 대통령 긴급명령 남발을 걱정했는지 의회 과반수가 이를 승인하지 않으면 그 즉시 효력을 잃는다고 적어두었다.

행정부-입법부 다음으론 사법부가 있었는데, 당시 바이마르 공화국 사법부는 매우 보수적이고 엘리트주의적인 법관들이 장악하고 있었다. 실제 이들은 1923년 히틀러의 뮌헨 폭동에 대해 판결하며 ‘히틀러의 동기가 애국심이니까’라는 황당한 이유로 징역 5년만 선고했다.[당시 형법상 내란죄는 최소 징역 10년이고, 히틀러는 그마저 9개월만에 가석방된다.]

이렇게 정치체제를 들여다보고 나면, 히틀러가 정권을 잡는 것에 두 가지 방법이 있음을 알 수 있다.

1. 대통령 선거에 출마해 당선되기.

2. 나치당이 하원에서 단독 과반, 혹은 연립하여 과반 차지.

그러나 히틀러는 두 개 다 실패했다. 1932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전직 육군 원수였던 전쟁영웅 파울 폰 힌덴부르크에게 패했고, 총선에서도 과반 확보에 매번 실패했다. 다른 정당들이 극단적인 주장만 일삼는 나치와 연정할 생각이 없었기 때문이었다. 

0bea8203b6f11d8323e7f3ed419c7065c80b6372dcf6c4b10b8853838e69fbbeea749c0e57b2d10a445bf09da4fdcfad4964e8db

히틀러가 정권을 잡는 과정을 이해할 때 필수적으로 짚고 넘어가야 할 인간이 바로 사진 속 인물, 파울 폰 힌덴부르크다.

힌덴부르크는 1차 대전 당시 열세였던 동부전선의 타넨베르크 전투를 승리로 이끈 전쟁영웅으로, 이때의 명성에 기반해 대전 후반기 독일의 군부 독재자로 떠올랐다. 독일이 전쟁에서 패배한 뒤에도 명성은 대단해서 공화국 출범 이후 지속적으로 우익 세력이 대통령으로 모셔가려 했던 인물이었다.

그러나 그는 전형적인 19세기 프로이센 군인으로 군주에 대한 충성과 극심한 보수성 말고는 딱히 공화국과 어울리지 않았다.

계속 출마를 고사하던 힌덴부르크는 보수 정당들의 거듭된 요구에 1925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 대통령으로 당선된다. 초반 임기는 꽤 성공적으로 수행했지만 이내 대폭풍이 바이마르 공화국을 덮치게 된다.

7f9ff100c4f31bf6239c84ec419c701814ce7f6cf526ca725d7f61d7880d2c4f19b576dc5985d61abb70b6df3bb1d57f0908ad55

대공황이 독일에 닥쳐오자 힌덴부르크는 그 책임을 물어 연립내각을 이끌던 사민당 출신 총리 헤르만 뮐러를 경질하고 의회와 사전 협의 없이 중도 우익 정당인 중앙당 출신 하인리히 브뤼닝을 임명한다.

내각 구성에 의회가 동의한 적이 없었으므로 브뤼닝의 입지는 위태로웠다. 그는 결국 힌덴부르크가 가진 무기인 ‘대통령 긴급명령’을 내세워 통치하려 했는데, 이마저도 의회가 번번이 무산시켰다.

힌덴부르크는 화가 난 나머지 의회를 해산시키는 강수를 두게 된다. 국가 비상사태시에 최소한으로만 쓰라고 부여된 긴급명령권을 남발하고, 경제 위기 속에서 의회를 무책임하게 해산하는 태도는 정치 혼란을 폭발시켰다. 이후 갑자기 극좌와 극우 세력이 약진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를 본 중도 좌파 성향의 주류 정당 사회민주당은 ‘행정부를 너무 견제해서 혼란만 가중시킨다! 차라리 그냥 놔두자!’며 의회 차원의 행정부 견제를 포기한다.

7ce58773c6866ef423eff4e7459c701ba8a0ac307a9c836985be093a3c9404328114797a978e1eea3b5d9e3cf50f50c0b73063bc

정치혼란이 방치되자 나치당은 점점 세력을 키워나가 1932년 7월 총선에선 제1당이 된다. 그러나 이는 득표수로 보면 과반에 한참 못미치는 결과였고, 사민당을 포함한 다른 정당들이 나치와 연정을 거부하고 있었다.

게다가 상술했듯 1932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상성이 극악이었던 사민당이 히틀러를 낙선시키기 위해 후보도 내지 않고 힌덴부르크를 지지하면서 히틀러의 대권 도전은 물거품이 된다.

이렇게 되자 나치당의 지지율은 점점 흔들렸다. 실제 당시 뉴욕 타임스는 ‘히틀러의 기회가 사라졌다’고 보도했으며, 1932년 11월에 열린 총선에선 다수당 지위는 지켜냈지만 34석이나 되는 의석을 털리며 위기를 맞이했다.

이런 혼란 속에서 대통령 긴급명령만 남발하던 브뤼닝은 국민의 인기도 잃고, 뒤늦게 실시한 대공황 극복 정책이 기업계로부터 ‘너무 좌파적’이라는 비난을 받자 사임한다.

그리고 공화국의 신임 총리로 프란츠 폰 파펜이 등장한다.

7b9ef205b48760f723ef8e914e9c7069768b7ff49884c757340b62feecd32cc3e359e0bdafd6585a2046c1331caade7ad25e8502

1932년 6월, 힌덴부르크 대통령에 의해 총리로 임명된 프란츠 폰 파펜은 재계의 요구를 수용하여 실업자 복지 대책, 노동자 보호 대책들을 대거 후퇴시켰다. 이는 기업들에겐 만족스러운 결과였지만 국민 대부분은 이에 동의하지 않았고, 이는 정권 지지율 폭락으로 이어진다.

이 상황에서 파펜은 나치와 연정하여 지지율을 흡수할 목적으로 히틀러에게 내각의 몇 자리를 제안했지만, 히틀러가 ‘총리 아니면 받지 않는다’며 초강수를 두는 바람에 무산된다.

게다가 파펜 총리는 독일 공산당의 주도하에 치러진 내각 불신임안 상정에서 511:42라는 압도적 표차로 불신임을 맞게 된다.

파펜은 의회 해산 후 선거 무기한 중단이라는 쿠테타를 일으키려 했고 평소 공화주의에 관심 없던 힌덴부르크도 이에 동의했으나, 국방장관이었던 쿠르트 폰 슐라이허가 내전이 발생할 수 있다며 반대하자 무산되었다.

군대를 동원할 수 있던 슐라이허가 반대하자 힌덴부르크는 총리직을 슐라이허에게 넘겨준다. 이 일로 파펜과 슐라이허는 권력을 두고 투쟁을 벌이게 된다.

0ce4f305c6f66bf023eb83e4379c706c9b9e75d8d2f4228db233475cb8e733a14c8121e8f99c9a43f5aebf3abd3f1abbbac80287

힌덴부르크의 총애로 인해 개인적인 정치고문 역할을 지속하던 파펜은 슐라이허를 실각시키기 위해(+ 정권을 되찾기 위해) 힌덴부르크에게 히틀러를 총리로 임명할 것을 권유한다.

그런데 의외로 힌덴부르크가 히틀러를 마음에 들어하지 않았다. 그 이유는 첫째로 힌덴부르크가 전통 보수 우익이라 신흥 세력인 나치를 곱게 보지 않았으며, 둘째로 감히 육군 상병 놈이 육군 원수인 자신과 맞먹으려 한다고 여겼기 때문이었다.

파펜은 힌덴부르크를 설득하기 위해 ‘사실 히틀러는 얼굴마담으로 하고 우리가 그를 통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파펜은 히틀러와 만나 ‘자본주의 경제체제를 변경하지 않는다’는 약속을 받아내어 재계의 지지를 얻었고, 부총리 자리에 본인이, 그리고 경제정책 전권은 그간 독일 보수세력을 대표해온 국가인민당 소속 후겐베르크에게 쥐어주기로 한다.

슐라이허 총리는 파펜이 자신을 노린다는 걸 알고 있었기에 이를 막기 위해 나름대로 움직였다. 그도 히틀러를 제외하고 나치당 일부 세력과 연합하려 했고, 후겐베르크를 파펜과 떼어놓으려고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군부에선 슐라이허에게 쿠테타를 일으킬 것을 요구했으나, 슐라이허는 거절하고 총리직에서 사임한다.

그렇게 히틀러는 파펜을 비롯한 보수우익 세력의 야합에 의해 총리로 진출한다.

-2편에서 계속-

- dc official App


출처: 새로운보수당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78

고정닉 31

43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238346
썸네일
[이갤] 노벨상을 받은 의외의 국가들
[51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27287 181
238344
썸네일
[야갤] 오늘자) 백종원 홍콩반점 2탄, 재교육과 재점검.jpg
[57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33176 288
238342
썸네일
[싱갤] 대한민국 역대 최강의 스펙 1탑.jpg
[770]
ㅇㅇ(221.143) 06.10 64757 1075
238340
썸네일
[야갤] [단독] "게임 레벨업해드릴게요", 돈만 뜯은 사기범 검거.jpg
[39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31892 122
238339
썸네일
[부갤] 임금 격차가 인구소멸 이끌어“..일본, 역대급 저출산에 충격적인 상황
[618]
라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33329 160
238336
썸네일
[카연] 높고 어두운 뱀파이어 성 탐험하는 만화
[103]
전기톱장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18871 219
238334
썸네일
[야갤] [단독]'보좌진 채용 대가로 돈거래'..검찰, 초선 의원 수사.jpg
[12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15669 190
23833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19세기 유럽 선교사들이 본 조선.jpg
[637]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33443 316
238331
썸네일
[기갤] 등 번호 10번, '영원한 캡틴'.. 마지막도 김연경다웠다.jpg
[10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15963 23
238330
썸네일
[이갤] 한국의 사회 문제 원인은 한국교육이다...jpg
[926]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32366 256
238328
썸네일
[야갤] [단독] "북한군, 대남 확성기 설치 중".. 군, 도발 대비.jpg
[42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24940 86
238327
썸네일
[국갤] [단독] 탈북 어민 강제 북송 재판, 7개월 만에 공개로 전환
[306]
...(118.235) 06.10 18074 384
23832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맨손으로 만져도 되는 1200도 물질.jpg
[243]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43580 121
238324
썸네일
[메갤] 실질 실효 환율로 보는 한일간 격차
[57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23549 134
238322
썸네일
[야갤] '어라 뭐지?'봤더니 '질질질','멈춰야' 번뜩인 남성.jpg
[20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24045 225
238319
썸네일
[F갤] 오늘자 페라리의 역대급 도다리쇼
[73]
원주역새마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23127 100
238318
썸네일
[야갤] 교감 뺨 때린 초등학생, 그 후 학교에 퍼진 "놀이".jpg
[53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38071 348
238316
썸네일
[이갤] 교제하던 여성 살해한 20대 남성 ㆍ월 평균 6천건 가량 발생하는 범죄
[1386]
산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32098 159
238315
썸네일
[싱갤] 훌쩍훌쩍 한국 정치계가 미래 답도 없는 이유
[811]
신진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44548 733
238313
썸네일
[대갤] 日, 요코하마 역 앞 번화가에서 여성이 가슴 등 수차례 칼에 찔려 사망
[379]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30443 293
238312
썸네일
[이갤] 한국에 들어왔다가 철수한 일본기업...jpg
[489]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37924 138
238310
썸네일
[기갤] 정부 "7월 중 동해 시추 위치 결정…작업 40일 정도 걸려".jpg
[57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14709 73
23830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포르두갈 로컬 식당에 동양인이 가면 생기는 일
[191]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29344 273
238307
썸네일
[수갤] ㅇㅎ)꼴잘알이 만든 식용유 광고
[192]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53195 147
238304
썸네일
[디갤] 수전증 환자 스위스 여행사진쪄왔는데 봐주시나요?
[44]
찍찍찍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6885 44
238303
썸네일
[야갤] 지금 밀양 신상 폭로 유튜버들 큰일남..(경찰청장 등장).jpg
[76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46170 451
238301
썸네일
[싱갤] 재미로 보는 한국, 일본 대학 순위
[517]
ㅇㅇ(223.38) 06.10 33860 99
238300
썸네일
[기갤] 유재환, 죽을 고비 넘겼다…중환자실→"회복 중".jpg
[44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30871 22
238297
썸네일
[야갤] 여성징병제 도입하는 북유럽 근황
[488]
라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27115 444
238296
썸네일
[자갤] KGM "강릉 급발진 의심사고 재연시험 결과는 객관성 결여"
[441]
차갤러(91.207) 06.10 19373 97
238294
썸네일
[야갤] 입주 한달 전 아파트 가보고, "아내는 울고..치가 떨리죠".,jpg
[60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28756 178
238293
썸네일
[러갤] (장문, 스압주의) 1944년의 독일과 2024년 우크라이나의 비교
[359]
포르쉐티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12651 202
23829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코카인에 버금가는 도파민 증폭 행위.
[574]
흰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42168 220
238290
썸네일
[부갤] 보일러 점검사기 하루에 다섯집이 당했습니다.
[185]
부갤러(149.34) 06.10 26854 152
238289
썸네일
[카연] 본인 20살때 여사친이랑 텔간 썰 .manhwa
[413]
슈퍼사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43047 487
238288
썸네일
[무갤] [속보] 훈련병 얼차려 사망 사건 중대장 정식 입건...
[767]
ㅇㅇ(1.231) 06.10 39722 646
23828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백종원이 보고 놀란 육개장 비주얼
[325]
뽁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33421 208
238284
썸네일
[야갤] 프랑스인 와이프가 이해못하는 한국 문화
[454]
야갤러(146.70) 06.10 37174 318
238282
썸네일
[주갤] 네이트판 : 결혼전 재산을 부모주겠다는 남친
[437]
허경영(175.223) 06.10 28954 291
238281
썸네일
[이갤] 이원일 셰프가 식당을 운영하는 전략.jpg
[284]
슈붕이(185.114) 06.10 25088 137
238278
썸네일
[이갤] 아이스크림맛 떡볶이 먹고 놀라는 일본인 유튜버.jpg
[13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28024 106
238277
썸네일
[대갤] 일본 보육교사, 여아 대상 성범죄로 체포... 피해아동 7명 이상
[218]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14531 185
238276
썸네일
[디갤] [5월달결산]우승자 발표
[24]
12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6312 19
238274
썸네일
[싱갤] 안싱글벙글 반성 안하는 소년교도소 수감자들
[386]
운지노무스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25372 374
238273
썸네일
[야갤] "동의 안 한 영상 삭제해달라", 밀양 피해자의 호소.jpg
[28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22750 140
238270
썸네일
[야갤] 현재 판에서 반응 갈리는, 카리나 민지 스티커 사건.jpg
[26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31736 230
238269
썸네일
[전갤] '전산 오류' 투자자들 황당 사고…키움, 미래에셋 '비상'
[160]
몽쉘통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19315 107
238268
썸네일
[기갤] "며느리는 쉬는날 티비 좀 보면 안되나요? ㅋ".jpg
[38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25192 67
23826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인천 층간소음 런 한 경찰 근황
[381]
ㅇㅇ(175.194) 06.10 26406 478
238265
썸네일
[이갤] 민주당,최고위서 "당 대표 사퇴시한" 예외규정 의결
[369]
잼붕이(14.6) 06.10 12161 6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