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영국군으로 복무한 홍콩인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31 17:10:02
조회 19951 추천 82 댓글 69

7ded8519cdf915954d80f0bc04c23070a2a6f5c8f490c0be74491e9f722730601b8c8c26dcd5


28e98527b6803bf13fef83b342d57d3bf81d41d3bbaec5a0b5f171a59337b1ac2856c87083002f13d1c1535baa2798e58d303f


7ae88976b2d33eff6bba87b14288716bdbb021a352c5df90bab5f3f7bd70c62b7229dd426ed29c0f9f28a1abe2b7b8476cbb7e


a04424ad2c06782ab47e5a67ee91766dc28ff1ecd6acc6c8bf10dac25ad5d0210a9cb4c13f07cf65f1f786422ffa28



홍콩 군사복무단 Hong Kong Military Service Corps (HKMSC, 香港軍事服務團)


중국인들이 영국군에 복무한 역사는 꽤 오래됐다. 1857년 2차 아편전쟁 당시, 세포이 항쟁으로 인해 인도인 병사들에 대한 불신도가 높아진 영국 원정군이 광둥성에 살던 객가인들을 쿨리로 고용하여 병참부대를 운영했던 것이 시초다. 2차세계대전 때는 수백명의 홍콩인들이 영국군에 협조하여 일본군과 싸웠고 일부는 말레이 반도와 버마까지 가서 싸웠다.


1945년 2차 세계대전이 종료되고 냉전이 시작됐을 때, 영국은 더 이상 해가 지지 않는 제국이 아니었다. 전후복구 때문에 군축은 확정됐고 그동안 키워온 군사력은 줄어들었다. 그 많던 식민지들은 하나둘 씩 독립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극동의 진주인 홍콩은 1997년까지 영국령으로 남아있어야 했다. 중국대륙이 공산화될 것이 확실시되자, 영국 정부는 홍콩방위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중 현지 중국인들을 모병하여 전투부대를 만들자는 의견이 나왔고, 이것이 HKMSC의 시작이었다.


홍콩 영주권이 있는 홍콩인들은 누구나 입대신청이 가능했다. 18주의 훈련기간을 거쳐 '대영제국의 군인'이 되는 순간부터 4년 의무복무를 해야했다. 장기신청으로 최대 22년까지 복무할 수 있었다. 이들은 구르카처럼 단일부대로 운영된 것이 아니라 카투사처럼 홍콩 주둔 영국군 각부대에 소대 단위로 배치됐다. 광둥어와 영어가 능통했던 HKMSC 대원들은 영국군이 현지인들과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과정에 반드시 필요했다. 특히 소요사태가 많았던 50~60년대에는 HKMSC는 홍콩주둔 영국군의 귀중한 인재풀이었다.


1960년대 HKMSC의 총 병력은 약 6,000명에 달했다. (주: 참고로 당시 홍콩에 주둔하던 영국군은 최대 4~6만명에 달했다.) 이후 중공과의 화해무드가 진전되자 홍콩주둔 영국군의 규모가 점차 줄어들었고 HKMSC의 인원수도 조금씩 축소됐다. 이후 70년대를 거쳐 HKMSC 부대규모는 1,500~1,600명 가량으로 고정됐다.








09bfdf33f69f1f935f9effa405e10c735aa7aee8189151b9d51513d63e82


7cec8075b3836ef051e780e44682746a48f6755444f4507ff1f9021ce3853de5a866218628baeeaf3bae39656285856cdf5b5ffe2520fb98f5446506


7feb8773bd8468f351ee80e64e83716ba8f2e7ea770206357c13fbae22e88d30c2a1c62e75b1f3d975b0ca02fd9c33fbcffe99fba3ae0fd02ab756b67d1cff


7feb8773bd806af551ee80e64f807164fe5db68c062faf724e82b2dc2f7dc64ab667e2e269e4fe3553d02d8e5c5b76e5037f2f28b11a6358c741a175a0276f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980fa11d02831e6e7be0ee814d24c60dd3cb980d0ba2af303fa8ad8efa69d9cfd5e29fc3c9c3f99f9788c260b971af31c






7eea8075b1816cf23aece9b617822138412cda5392097f5e9ada2dbd727fd536e0e061de0fb8d2


07bcdd23f69214a767fffeba18d66416c4bc5dc3dee642fb569416cdc03091b6c0202ceab4742dd93f56b4bc892fe275870139a1308804ee070813afcf36c69da97137890960e45a5cae


74b98271b1866bfe37b98fec42d4276ae79404eeb58b7ea7c0638afaa07acfded66668e7ad18ba069a93a3efc74ce816dbc886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980fa11d02831e6e7be0ee814d24c60dd3cb980d0ba2af303fac484bdce9291fc5e2f97699b376759a059916040bc907723ff27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980fa11d02831e6e7be0ee814d24c60dd3cb980d0ba2af303fac484bdce9291fc5e2f97699b376708f40dc96610b9967723ff27


7ee88771b5856cf53e8080e14289756890cfa0a72fa46bdf2203e20cf5177d4e85789bd75023550a02d31db73fc4d34cb4e6fb2eb70712374a71c218d3af21



HKMSC는 당대 홍콩경제 수준에 비해 매우 좋은 조건의 직장이었다. 일단 병사들의 월급은 홍콩인들의 평균월급보다 30~40% 더 많았다. 대표적인 예로, 70년대에 입대한 한 기수는 18주의 훈련을 견디다 못해 일부 훈련병들이 첫휴가 때 나가서 복귀하지 말자고 모의를 했었다. 하지만 수료식과 함께 받게 된 첫 월급봉투에 담김 480 홍콩달러(주: 당시 홍콩 사회초년생의 평균월급이 350 홍콩달러.)를 보고선 'God save the Queen!'을 연창하며 유니언잭에 대한 충성심이 폭발했다고 한다.


게다가 홍콩인들에게 영국군의 이미지는 엘리트집단이라는 의식이 강했다.(주: 반대로 홍콩경찰은 부패문제로 인해 인식이 좋지 않았다.) 군병원의 복지수준도 민간병원보다 훨씬 좋았다. HKMSC 전역자들은 금융권 보안업계에서 0순위 스카웃 대상이었다.


하지만 이와 다르게 인지도와 입대 경쟁률은 생각보다 낮았다고 한다. 일단 홍콩인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국계 인구의 문화적 차이 때문이었다. 많은 중국인들은 자녀들이 군인이 되기 보다는 평범한 회사원이 되길 원했다. 과거 그들이 보아온 군인들, 청나라나 내전기 군벌들의 모습이 투영된 결과였다. 그들의 눈에 군인이란 사람이 할 짓이 못됐다.


그리고 높은 수준의 영어실력도 필요했다. 영국군은 구르카병들에게는 명령을 이해하는 최소한의 문해력만 요구했으나, 현지 통역이 주임무였던 HKMSC 대원들에게는 중급 이상의 언어구사력이 필요했다. 그래서 HKMSC 입대 자원자들은 대부분 학교에서 영어성적이 높은 이들로 이뤄져 있었다. 보통 이정도 영어실력을 가진 홍콩인들은 금융권 같은 화이트칼라 직업군으로 갔다. 당시 학교 선생들은 공부는 잘하는데 집안 사정으로 인해 대학진학을 포기하고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취업을 하려는 학생들에게 차선책으로 HKMSC에 입대하는 것을 권하곤 했다.






35bcda72bdc321af7aebc6e4479f3338fa9bb98a743944af27c32e8816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980fa11d02831e6e7be0ee814d24c60dd3cb980d0ba2af303fac484bda3f491f5592e956c9d30309d07a74f7ce9fadd137a38d03a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980fa11d02831e6e7be0ee814d24c60dd3cb980d0ba2af303fac484bdce9291fc5e2f97699b376752a75e916446e0917723ff27



HKMSC에 문제가 있다면 훈련시절이 부족했다는 점이었다. 이는 홍콩이 워낙 좁아서 군인프라 시설을 많이 확충하지 못한 탓이었다. 그래서 HKMSC대원들은 상당수의 주특기 훈련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브루나이까지 날아가서 교육 받고 왔다. 일부 성적 우수생들은 사관후보생이 되어 샌드허스트 단기입교 기회도 받았다. 헌병대의 경우 런던 경시청에서, 의무 주특기들의 경우 런던 의과대에서 부검을 실습했다. HKMSC는 홍콩방위 뿐만 아니라 1990년 걸프전에도 영국군 소속으로 소수가 참전했고 키프로스에 PKO 활동을 하러 가기도 했다. HKMSC에 입대한 대부분의 홍콩인들은 매우 열성적으로 복무했다. 영국군 내부에서도 HKMSC에 대한 평판은 꽤 좋은 수준이었다.









7ded8719cdf915954d80dab405c56934eda3482e5331d0252f60eea3fcf36f31f71d54d243d8818553a73724c4



HKMSC는 1993년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새로운 기수를 받지 않았다. 1997년 홍콩반환이 예정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1996년 12월이 되자 HKMSC는 공식적으로 해체됐다. 일부 대원들은 다른 영국군 부대에 개별로 복무하였으나 이들 역시 1997년 6월 30일, 홍콩주둔 영국군이 완전히 철수하면서 전부 전역처리 됐다.


당시 HKMSC 전우회는 영국법원에 자신들도 구르카병들처럼 영국 시민권을 취득하게 해달라는 청원을 했다. 마지막 홍콩 총독이었던 크리스토퍼 패튼도 영국의회에서 '이들도 대영제국에 충성을 바친 이들이니 부디 외면하지 말아달라'고 요청했다. 하지만 영국국적 선발제도(BNSS)에 따라 HKMSC 전역자들 대부분은 이 국적취득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 1997년 당해 영국국적을 취득한 HKMSC 전역자들은 15년 이상 복무했던 노병 159명 뿐이었다. 이후로 약 10여년에 걸쳐 HKMSC 전우회는 지속적으로 HKMSC 전역자들의 영국국적 취득 캠페인을 펼쳤다. 하지만 2019년까지 고작 350여명만이 영국 여권을 발급받았을 뿐이었다.


이후 홍콩 민주화 운동을 기점으로 영국정부가 이민법을 파격적으로 개정하여 홍콩인들이 영국국적을 취득하는 절차를 간소화해주면서 HKMSC 재향군인들도 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하지만 이 날이 오기까지 너무 오랜 시간이 걸렸다. 그 사이 많은 재향군인들이 세상을 떠났고 상당수는 호주나 캐나다, 뉴질랜드 같은 다른 영연방 국가로 이민을 떠났다.


세월이 흐르면서 중국으로 반환된 홍콩에서 HKMSC 흔적은 점차 사라져갔다. 이들이 쓰던 부대병영은 헐리거나 다른 용도로 쓰이고 있다. 이들의 역사를 기록하는 곳은 HKMSC 전우회 말고는 아무 곳에도 없다. 이들의 경력은 현재 중국에서 제대로 된 군복무로 취급되지 않는다.








출처: 군사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82

고정닉 31

8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240068
썸네일
[이갤] 술자리 다툼에 자동차 끌고와 들이박은 30대여성...jpg
[164]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15529 50
240067
썸네일
[야갤] KBS 뉴스까지 짜집기? 선 넘은 리딩방 사기.jpg
[6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11762 45
240066
썸네일
[의갤] 경찰 "의사 1천명, 고려제약 리베이트 받아"…수사선상에
[348]
내란사범처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15890 279
240064
썸네일
[카연] 리워야단이 보우하사 (5)
[48]
날걔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7514 76
24006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특이한 이름을 가진 아이들
[197]
PGD-727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22940 52
240062
썸네일
[전갤] 통신비 잡겠다며 띄운 제4이통사 결국 '좌초'…예견된 결과?
[251]
몽쉘통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21567 67
240059
썸네일
[야갤] [단독] "선 넘지마라" 韓 대통령실, 러시아에 경고.jpg
[83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29981 311
240058
썸네일
[아갤] 신윤복 그림 도난당해서 신고했다는데
[179]
타카모리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18389 81
24005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스즈메의 문단속이 이랬다면...jpg
[244]
슨탈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40794 139
240055
썸네일
[중갤] 의외로 잘 모르는 엔씨소프트의 서브컬쳐 작품들
[27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20196 61
240054
썸네일
[대갤] 가난 때문에 죽어가는 일본 노인들... 끊이지 않는 비극
[413]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21835 153
240052
썸네일
[기갤] "2살 아들 살해, 갈아서 유기한 사이코패스, 40대 출소" 신상공개
[450]
긷갤러(45.84) 06.17 22318 160
240051
썸네일
[싱갤] 훌쩍훌쩍 북한 8살 어린이가 죽은 이유
[367]
ㅇㅇ(58.229) 06.17 37504 291
240050
썸네일
[메갤] 메이플 점점 미쳐가는거 같다는 팡이요 소신발언
[802]
메갤러(139.28) 06.17 32462 268
240048
썸네일
[메갤] 폭염에 시달리는 중국 선풍컨 등장
[49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29400 217
240047
썸네일
[야갤] 최근 숏폼타고 내한한, 유행 디저트들.jpg
[27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27476 43
24004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복원도가 완전히 뒤집힌 캄브리아기 고생물
[192]
ㅅ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29548 133
240043
썸네일
[야갤] "선생님, OO랑 잤죠?" 학생이 교사 성희롱…jpg
[97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38212 193
240042
썸네일
[이갤] 경규옹이 시작장애인과 술먹방 하는 이유.jpg
[20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22706 322
240040
썸네일
[야갤] 바 사장의 현실.jpg
[516]
야갤러(185.114) 06.17 33531 376
24003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은지원이 근래하는 게임
[50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41562 427
240038
썸네일
[야갤]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가라앉고있는 파나마의 섬….jog
[136]
고추안서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15878 27
240036
썸네일
[이갤] 고척돔이 최악의 돔인 이유를 설명하는 해설가.jpg
[22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19613 213
240035
썸네일
[야갤] "제가 장기연애해서 더럽대요".jpg
[136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44348 163
240034
썸네일
[새갤] '한동훈 명예훼손' 유시민 벌금 500만원 확정
[345]
포만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14857 330
240032
썸네일
[싱갤] 메이저리그의 야구장은 왜 이상하게 생겼을까?
[94]
Patronu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17424 82
240030
썸네일
[주갤] 나거한 국방 근황 jpg
[537]
ㅇㅇ(118.156) 06.17 28757 282
240028
썸네일
[기갤] 헬스장 결제할때.. 제가 쪼잔한건가요?
[582]
긷갤러(146.70) 06.17 29928 209
24002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모닝지구촌 0617
[82]
모닝지구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13367 79
240026
썸네일
[부갤] 도저히 불가" 강남도 송파도 비명…전국 재건축 아파트 무슨 일
[253]
나스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21967 133
240024
썸네일
[이갤] 걸그룹 리더였던 여배우.jpg
[29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40649 87
240023
썸네일
[야갤] 암 4기 환자에도 '진료 연기' 문자…jpg
[68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19782 164
24002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일본인들이 한국여행 정석 코스
[451]
아카식레코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26011 262
240020
썸네일
[중갤] 8~9월 이재명 선거법 유죄 판결 나오는 이유
[291]
찢죄명(114.207) 06.17 15355 336
240019
썸네일
[기갤] "하급자 '을'질 근절".."그게 갑질", 교육청 발칵.jpg
[18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13722 33
240018
썸네일
[싱갤] 실시간 학폭 폭로 뜬 오킹.jpg
[573]
섬마을대머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74024 521
240015
썸네일
[이갤] 20대 경비원에게 욕하는 20대 외제차주.jpg
[63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27273 395
240014
썸네일
[국갤] 예비군 홀대하는 대학 교수들한테 극대노 하는 서울시장 오세훈
[460]
OH카리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26174 196
240012
썸네일
[미갤] 6월 17일 시황
[27]
우졍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8530 33
240011
썸네일
[야갤] 이게 대체 무슨 뜻이지? 청주 시내 뒤덮는 낙서.jpg
[34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24199 237
240010
썸네일
[싱갤] 최근 일본 교토 호텔에서 이스라엘 관광객 숙박 거부 논란
[19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20357 106
240008
썸네일
[이갤] 카니발 측면 충돌 테스트 최악의 점수.jpg
[18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15893 108
240007
썸네일
[주갤] 주갤 영향력 씨다 씨,,, 블라형들 ㅈㄴ 무섭다 ㅋㅋㅋ
[928]
주갤러(121.160) 06.17 39627 1403
240006
썸네일
[대갤] 일본근황) 스시녀가 도로에서 차를 세워 화제... 21세기의 샤치호코?
[162]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21332 150
240004
썸네일
[해갤] 비문학) 후임에 성행위 연상 행위한 해병대원 집행유예
[211]
ㅇㅇ(118.235) 06.17 17745 146
240003
썸네일
[야갤] 치마길이 때문에 여초에서 논란인 걸그룹...gif
[532]
그로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39377 138
24000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의외로 우리를 즐겁게 하는 것....JPG
[168]
엘레베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30744 240
239999
썸네일
[A갤] 해피일본뉴스 140 (누가 아날로그인지 헷갈리네 ㅋㅋ)
[45]
더Inform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7076 72
239998
썸네일
[이갤] 한국인 유튜버가 몽골에서 만난 중국인.jpg
[43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29504 432
239996
썸네일
[미갤] 일본에서 난리난 백신관련 동영상
[1128]
흰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42297 70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