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디아블로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디아블로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우리끼리 싸우지 말자는 중앙대 에타녀 ㅇㅇ
- 훌쩍훌쩍 스케일도 남다른 천조국의 동물원 탈출 [//]푸르덕
- 여성시대 안 하는 여자들도 많지?....blind ㅁㅁ
- 오늘자 번X장터 진상....jpg Yoko
- 싱글벙글 꼴려서 저지른 가장 멍청한 실수는 뭔가요? LizDebicki
- 고퀄 스노우볼 제작과정 및 최종작품(+수정의견 16시까지) 10주년드랍총대
- 훌쩍훌쩍 상아없는 코끼리, 뿔 없는 코뿔소 [//]푸르덕
- 싱글벙글 팬티를 잘 안 입는 일본 아이돌 ㅇㅇ
- 군병력 부족 특단의 대책 떴다!! ㅇㅇ
- 전랑으로 보는 아프리카에서 중국 영향력 밀리터리맨
- 디아블로 시리즈에 있는 의외의 머꼴설정들...jpg ㅇㅇ
- 넷플에서 나온다는 히어로 영화 존나 흥미롭네ㅋㅋ ㅇㅇ
- 기기괴괴 우연히 컵이 똥꼬에 들어간 남자.jpg 란피스
- 급한 30살 한녀.jpg 휮자
- 개인 권한으로 외모평가를 금지해버리는 여자.JPG ㅇㅇ
2021년 내가 찍은 야생동물 사진 top50
- 선정 기준: 내 맘 주요 분류군: 육상 척추동물(양서류와 양막류) 1. 참새 5월 8일, 전주 부모를 기다리는 둥지에서 갓나온 어린 참새 2. 큰오색딱다구리 5월 9일, 전주 ㅇ 3. 중백로 5월 12일, 전주 해질녁 야식을 채집하는 중백로 한마리 4. 물까치, 딱새 5월 14일, 전주 꽃보다 새 5. 딱새 5월 19일, 전주 육아의 목표는 아이의 완전한 자립, 금쪽같은 딱새끼 6. 청개구리 6월 1일, 전주 ㅇ 7. 금개구리 6월 4일, 익산 ㅇ 8. 노랑배청개구리 6월 11일, 익산 노랑배청개구리 세대의 끝자락 9. 맹꽁이 6월 11일, 익산 개발지 접경지역에서 섹스하고 있는 위태로운 한 쌍 10. 노랑배청개구리 6월 12일, 익산 언제 개발되어 사라질지 모르는 서식지에서 지구상에 몇남지 않은 암컷을 부른다. 11. 원앙 7월 1일, 전주 한번에 약 10개의 알을 낳는 원앙이 유일하게 살아남은 새끼 한마리를 보호하고 있다. 12. 꾀꼬리 7월 4일, 전주 이름의 이미지와는 다르게 숲튽훈식 창법을 구사한다. 13. 되지빠귀 7월 21일, 전주 낙엽을 뒤지며 지렁이를 찾는 되지빠귀 14. 두꺼비 7월 23일, 전주 야행성인 두꺼비가 날이 밝기 전에 은신처를 찾고 있다. 15. 쇠살모사 7월 23일, 전주 야행성인 쇠살모사가 아침이 될 때까지 은신처를 찾지 못해 사람에게 발각되어 경계하고 있다. 16. 까치살모사 7월 30일, 전주 고도가 높은 산의 깊은 산기슭에서나 볼 수 있는 숲의 정령 17. 무당개구리 8월 6일, 전주 계통분류학적으로 가치가 있는 종이다. 18. 큰유리새 8월 15일, 전주 ㅇ 19. 참개구리 8월 19일, 전주 웃는 상이다. 20. 원앙, 쇠백로 8월 21일, 전주 쇠백로가 눈을 부릅뜨고 카메라를 쳐다본다. 21. 흰날개해오라기 9월 4일, 전주 더이상 설명 쓰는게 귀찮다. 22. 큰산개구리 9월 11일, 전주 ㅇ 23. 무당개구리 9월 11일, 전주 ㅁㄷㄱㄱㄹ 24. 호랑지빠귀 9월 12일, 전주 새벽에 산에서 귀신 소리를 들었다면 이 녀석의 울음소리 25. 다람쥐 9월 12일, 전주 람쥐썬더 26. 무자치 9월 13일, 전주 똥뱀 27. 뒷부리도요 9월 21일, 서천 파도타기를 즐기는 나그네새들 28. 쇠백로와 노랑부리백로 9월 21일, 서천 왼쪽은 동네 고랑 똥물에서도 볼 수 있는 종 오른쪽 둘은 전세계에 단 2000마리 남은 종 하지만 똑같은 생명이다. 29. 청다리도요와 흰뺨검둥오리 9월 25일, 전주 ㅇ 30. 무자치 10월 3일, 익산 ㅇ 31. 노랑부리저어새 10월 16일, 전주 ㅇ 32. 왜가리, 노랑부리저어새 10월 16일, 전주 왜가리가 자신의 더듬이를 뽐내고 있다. 33. 왜가리, 민물가마우지, 쇠백로 10월 16일, 전주 시강 34. 누룩뱀 10월 23일, 전주 ㅇ 35. 살모사 10월 24일, 전주 이 살모사는 자전거길을 횡단하려다 사람들을 마주쳐 당황해 얼음이 되었다. 36. 검은딱새 10월 24일, 전주 ㅇ 37. 살모사 10월 31일, 전주 늦은 가을, 체온을 올리기 위해 볕에 나온 어린 개체 하지만 탁트인 곳은 천적에게 발각될 위험이 높다는 것을 어려서 몰랐을 것이다. 까치가 아닌 나를 먼저 만나게 된 것은 이 녀석에게 천운이다. 38. 유혈목이 10월 31일, 전주 ㅇ 39. 개리 11월 14일, 서천 풀뜯 40. 흰점찌르레기 11월 15일, 익산 전세계에서 가장 흔한 야생 조류인 내가 한국에서는 초희귀종?? 41. 넓적부리 11월 24일, 전주 눈이 무섭다. 42. 밀화부리 12월 1일, 전주 ㅇ 43. 황조롱이 12월 3일, 전주 황조롱이 부부가 다음 사냥감을 물색하고 있다. 44. 노랑턱멧새 12월 3일, 전주 ㅇ 45. 때까치 12월 13일, 전주 꼬치살인마 46. 독수리 12월 20일, 전주 겉은 강해보여도 아직 애기 47. 물때까치 12월 23일, 익산 ㅇ 48. 큰고니 12월 25일, 서천 크기가 웰케 큰고니? 49. 재두루미 12월 25일, 군산 ㅇ 50. 재갈매기 12월 30일, 전주 날샷 ㅇ - dc official App
작성자 : 하지마고정닉
혐) 한국전때 학살당하신 민간인 시체 40구 발견
아산서 유해 40여구 발견…손목은 軍 '삐삐선'에 묶여있었다충남 아산시 배방읍 야산 방공호에서 한국전쟁 당시 학살당한 뒤 매장된 것으로 추정되는 유해가 무더기로 발굴됐다.28일 진실화해위원회가 공개한 충남 아산시 배방읍 성재산 방공호 유해발굴 현장. 사진 진실화해위원회2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원회)는 28일 아산시 배방읍 성재산 방공호에서 ‘아산 부역혐의 희생사건’ 유해 발굴 현장을 공개했다. 진실화해위원회는 “한국전쟁 당시 생생한 집단 학살 상황을 국민께 알리기 위해 이 자리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아산 방공호…소총 탄피·탄두도 발견발굴 현장에서는 70여 년 전 집단학살 정황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온전한 형태 유해(유골) 40여 구와 유품이 다수 발견됐다. 유해는 대부분 건장한 남성으로 나이는 20대 후반에서 40대 초반으로 추정되고 있다. 유해는 폭 3m, 깊이 14m의 방공호를 따라 빽빽한 상태로 묻혀 있었다. 유해는 무릎이 구부러지고 앉은 자세인 ‘L자 형태’를 보여 학살당한 뒤 좁은 방공호에 곧바로 매장된 것으로 발굴팀은 분석했다.머리 위에는 녹슨 탄피가 얹혀 있었고 손목은 군용 전화선인 ‘삐삐선’으로 감긴 상태였다. 일부 유해는 손목뼈에 삐삐선이 줄줄이 연결돼 있었다. 현장에서는 학살 때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A1 소총 탄피(57개)와 탄두(3개), 카빈소총 탄피(15개), 일제 강점기 일본군이 사용했던 소총 99식 소총 탄피도 발견됐다. 유품으로는 단추와 벨트(9개), 신발(39개) 등이 남아 있었다.28일 진실화해위원회가 공개한 충남 아산시 배방읍 성재산 방공호 유해발굴 현장. [사진 진실화해위원회]진실화해위는 지난해 5월 아산시와 아산유족회가 성재산 방공호에서 진행한 시굴작업에서 일부 유해와 탄피가 발견되자 발굴에 나섰다. 작업은 지난 7일부터 20여 일간 성재산 방공호에서 진행됐다.부역혐의 관련자·가족 학살 뒤 유기 추정유해 발굴지는 1950년 10월 온양경찰서(현 아산경찰서) 업무가 정상화하면서 좌익 부역혐의 관련자와 가족 40~50여 명을 학살한 다음 시신을 유기한 장소로 추정되고 있다. 1951년 1·4후퇴 때 ‘도민증을 발급해준다’며 배방면사무소 옆 곡물창고 2곳과 모산역 부속창고에 부역혐의 관련자와 가족을 구금한 뒤 한 집에 남자아이 1명만 남겨 놓고 며칠간 수백명을 집단 학살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이번에 발굴된 유해는 다음달 중순까지 세척 등 수습 작업을 마친 뒤 대전 산내 골령골에 조성 중인 산내평화공원에 안장할 예정이다. 진실화해위는 인근인 아산시 염치읍 백암리 새지기 2지점에서 유해를 발굴할 방침이다.28일 진실화해위원회가 공개한 충남 아산시 배방읍 성재산 방공호 유해발굴 현장. [사진 진실화해위원회]발굴작업을 진행한 한국선사문화연구원 우종윤 원장은 “희생자 유골 발굴은 국가가 유족을 위로하는 차원”이라며 “희생자 영혼이 편히 잠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진실화해위, 전국 7곳에서 유해발굴 진행한편 진실화해위는 지난해 7월 ‘유해 매장 추정지 실태조사 및 유해발굴 중장기 로드맵 수립 최종 보고서’를 발간하고 전국 6개 지역 7곳에서 유해 발굴을 진행 중이다.https://n.news.naver.com/article/025/0003268988?sid=102ㅠ
작성자 : ㅇㅇ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