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생태발자국을 계산해주는 사이트

만남의광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10.18 11:58:49
조회 61 추천 0 댓글 0

https://www.footprintnetwork.org/">https://www.footprintnetwork.org


기후 악당, 남 얘기가 아니라 내 얘기였다

https://news.v.daum.net/v/20201213142700097


[최소한의 소비 31] 최소한의 탄소발자국 남기기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최다혜 기자]

스타일 있는 미니멀리스트가 되고 싶다. 하지만 그건 10년 뒤 즈음에나 가능할 것 같다. 충동구매를 일삼던 미혼 시절 동안 사둔 물건들이 아직 너무 튼튼하기 때문이다. 이 물건들이 망가지고 해지려면 10년은 걸리지 않을까?

결국 나는 멋없는 미니멀리스트가 되어 버렸다. 스타일의 완성은 10년 뒤에나 꿈꿔본다. 어쩔 수 없다. 돈을 우습게 알고 '지금 당장'의 기분에 휩싸여 물건을 고른 대가니까. 점퍼 하나를 살 때도 고민은 짧았고, 결제는 빨랐다.

"이 점퍼가 질리면, 그때 새 점퍼를 사면 되니까."

옷이나 신발, 가방과 액세서리가 망가지거나 해져서 새로 산 적은 없었다. 그저 지겨워지면 쇼핑했을 뿐이다. 막 샀고, 대충 골랐다. 덕분에 지금은 100% 마음에 들지 않는, 스스로도 조금은 스타일 없게 느껴지는 그런 옷과 가구들을 끌어 안고 산다.

이제라도 알았으니, 마음에 안 드는 물건을 버리고 튼튼한 새 물건들과 미니멀하게 살아 볼 기회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런 스타일 쯤은 10년 뒤로 양보하기로 했다. 더 나은 물건이 있다고 해서 지금 충분한 물건을 미워하지 않는 태도가 절약의 기본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한 가지 더. 소비를 할 때마다 죄책감이 들었다. 기후위기와 코로나, 미세먼지 그리고 플라스틱 팬데믹의 시대. 이 엉망진창인 시대에 경악했기 때문이다. 살던 대로 살 수가 없었다. 새 옷을 살까 고민하다가도 기후위기가 걱정돼서 올해까지만 더 입어보자며 버티게 됐다.
 

20201213142705826koih.jpg

🔼  스타일 쯤, 10년 뒤로 양보하는 미니멀리스트.
ⓒ 최다혜
 
한국인처럼 자원 소비를 하면 지구 3.5개 필요

내 얘기인데 남 얘기 같을 때가 있다. 초대 국립기상과학원 원장 조천호 박사가 '한국인은 지구 3.5개어치 자원을 소비하고 있다'(2018년 기준)라고 알려준 때가 그랬다. 이 기사를 읽는 순간에도 '나는 지구 1개어치 일 거야'라는 한가한 생각을 했다.

궁금했다. 집안 전구들도 LED로 교체했고, 우유를 살 때에도 비닐 사용을 최소화한 기업의 제품을 구매했다. 비닐도 여러 번 씻어 쓰며 식비도 4인 가족 하루 15000원으로 제한한다. 이런 내 삶을 유지하는 데는 몇 개의 지구가 필요할까? 

생태발자국을 계산해주는 사이트(https://www.footprintnetwork.org)로 들어가 직접 계산했다. 총 11가지 질문에 답을 해야 했다.

① 육식 비중 ② 로컬 음식(음식 생산 거리 320km 이하)과 가공 식품의 비중 ③ 주거 형태 ④ 집을 지은 주재료 ⑤ 가족 수와 평수 ⑥ 가정 내 에너지 효율 ⑦ 재생 에너지 비율 ⑧ 물건을 얼마나 많이, 자주 사는지 ⑨ 일주일 차량 주행 거리 ⑩ 연비 ⑪ 카풀 비중 ⑫ 대중교통 이용 거리 ⑬ 비행기 이용 시간. 

59㎡ 콘크리트 아파트, 4인 가족, 일주일에 자동차로 100km 주행하는 우리집 기준으로 지구 1개어치의 살림을 계산해봤다. 지구 2.2개였다. 기후 악당. 남 얘기가 아니라, 내 얘기가 맞았다. 세계인의 자원소비 평균은 지구 1.7개어치 만큼이라던데, 평균치를 갉아먹는 축에 속하다니! 오기가 생겼다.

그렇다면 지구 1개어치로 살려면 어떻게 살아야 하는 걸까? 사이트의 첫 질문으로 다시 돌아가, 지구 1개어치가 나올 때까지 생활 양식을 조절해봤다. 결국 어떻게 살아야 지구에 덜 해롭게 살 수 있는지 알 수 있었다.

첫째, 식탁을 바꿔야 한다. 채식을 지향하고 육식을 때때로 가끔만 먹어야 했다. 그리고 320km 이내에서 생산된 음식을 먹고, 가공식품과 포장음식을 식탁에서 10% 이하로 줄여야 했다.

나는 일단 고기를 좋아해서 난감했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육식 비중에 대한 답으로 '매일'도 해보고, '일주일에 몇 번'도 넣어봤다. 소용 없었다. 고기 비중이 늘어날 때마다 내게 소모되는 지구가 0.4개씩 늘어날 뿐이었다.

결국 남편과 나는 고기를 줄이기로 했다. 회사에서 먹는 점심이야 어쩔 수 없다 해도, 최소한 우리집에서 만큼은 내 돈 주고 붉은 고기(소고기, 돼지고기)를 사지 않기로 했다.

대신 일주일에 한 두 번 닭고기를 먹기로 했다. 단백질 100g당 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을 봤을 때(2018, poore and Nemecek, 사이언스), 소고기가 단백질 100g당 약 50kg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할 때, 가금류는 5.7kg만 배출하는 덕이었다(인용 기사 : 기후위기 시대, 채식이 지구를 살린다). 물론 내 생각만 할 수는 없어 남편에게도 의견을 물었다. 

나: "괜찮겠어? 고기 정말 좋아하잖아."
남편: "지구가 미쳐 돌아가는 꼴을 보니 안 할 수가 없네."

우리는 그렇게 내돈내산 붉은고기를 없애고, 일주일에 한두 번 닭고기를 먹는, 물렁한 채식 지향 생활을 3개월째 실천하는 중이다.
 

20201213142705996htkr.jpg

🔼  붉은 고기만큼은 내 돈 주고 사지 않는 물렁한 채식 지향인이 되었다.
ⓒ 최다혜
 
둘째, 물건을 거의 사지 말아야 한다. 새 옷, 신발, 가전, 가구를 1년에 한 두 번 살까 말까 해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중고는 괜찮다.

이건 자신 있었다. 이미 우리집 부부 의류 예산은 6개월에 10만 원이다. 한창 자라나는 아이들의 옷이야 어쩔 수 없지만, 웬만해선 사이즈가 변하지 않는 어른의 옷은 괜찮았다. 나는 아직 올해 7월에서 12월까지 의류 예산을 한 푼도 쓰지 않았다. 연애 때부터 입던 8년 된 패딩과 7년 된 백팩이 아직까지 튼튼해서 돈 쓸 일이 없었다.

건조기 대신 중고 빨래 건조대를 쓰고, 식기 세척기 대신 직접 설거지를 한다. 전기 사용을 줄이자는 다짐을 위해 멀쩡한 청소기 놔두고 하루 한 번은 일부러 빗자루로 바닥을 쓴다. 가전 제품의 힘을 빌리기보다 최대한 건강할 때 두 손, 두 발을 움직여 살림을 꾸려나가고 있다.

셋째, 여가는 집 근처에서 보내야 한다. 자동차 주행거리를 줄여야 하고, 비행기를 타지 말아야 한다. 고기도 많이 못 먹고, 눈독들이던 무쇠 프라이팬 구입도 미뤄야 한다. 1년에 한 번 씩, 양가 어른들을 번갈아 모시고 해외 여행 하려던 효심도 접어야 한다! 이쯤 되면 대체 무슨 재미로 사나 싶지만, '소비하지 않아도' 재밌게 살아지더라.  

21세기는 얼마나 덜 소비할 수 있는지를 가늠해야 할 시대

한편으로 우리에겐 너무 당연했던 고기, 새 옷, 주말 나들이가 세계의 절대 다수들에게는 전혀 당연한 것이 아니었음을 깨달았다. 그동안 아주 많이 누렸음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우리의 평범한 일상이 지구 3.5개어치 였다.

기후 위기를 극복하고 오래 살기 위해 내가 더 불편해져야 한다. 하지만 더 불행해지진 않을 것이다. 그동안 더 많이 소비해야 해서 더 많이 일하느라 바빠왔다. 누군가는 113만 원짜리 패딩을 입는다는데 나는 왜 못 입는 건지 괜히 위축되기도 했다. 겉보기에 화려하지 않은 내가 잘 살고 있는지 불안하기도 했다. 내 문제가 아니었다. 소비를 권하는 사회가 문제였다.

그러니 모두가 '덜 소비해야 한다'는 시대가 되면 한숨 돌릴 수 있지 않을까. 소비가 미덕인 시대에서 절약이 윤리인 시대로 바뀐다면, 아팠던 우리 일상도 회복될 수 있을 것이다. 생각해보면 삶의 기쁨이 소고기나 비행기를 타는 해외 여행에만 있지만도 않았다. 그러니까 우리는 충분히 덜 소비할 수 있을 것이다.

20세기가 더 소비해서 풍요로워지기 위한 시대였다면, 21세기에는 덜 소비해도 얼마나 풍요로울 수 있을지를 가늠하는 시대가 될 것이다. 최소한의 탄소발자국을 남기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자원을 소비하며 인간다운 삶을 누려야 할테니까. 
 

20201213142706519hmwh.jpg

🔼  21세기에는 덜 소비하고도 얼마만큼 풍요로울 수 있을지를 실험하는 시대가 될 것이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AD 보험상담은 디시공식설계사에게 받으세요! 운영자 24/02/28 - -
342545 동성애다룬 알페스 같은거 보는 사람들 보면 ㅇㅇ(106.101) 21.10.20 39 0
342544 요즘엔 역학보단 뇌과학 had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20 46 0
342541 관다녀 특 지네 언니 오빠 동생이랑 사이 안좋음 [7] ㅇㅇ(223.62) 21.10.20 456 24
342538 난 관다녀가 먼저 시비털던데 ㅇㅇ(117.111) 21.10.20 59 7
342535 옮머스트 ㅍㆍ라다이 태양보다 더 족같은~ 에프포(223.62) 21.10.20 21 0
342533 정화들이 질투가 많긴 하나봄 [1] ㅇㅇ(223.39) 21.10.20 261 12
342531 내가 역갤을 하느니 덕질을 하고 말지 ㅇㅇ(223.38) 21.10.20 30 0
342529 남자들이 여자관심없다면서 여자쥰내언급하잖아 ㅇㅇ(223.62) 21.10.20 39 0
342527 비다녀 남자 싫어하긴 하더라 ㅇㅇ(112.171) 21.10.20 207 0
342525 동성이 관다녀 괴롭히니까 동성 트집잡지 ㅇㅇ(122.37) 21.10.20 57 1
342523 여자 밝히는 애들 특징 [1] ㅇㅇ(223.38) 21.10.20 104 3
342522 동성애자들 편집증임 ㅇㅇ(218.62) 21.10.20 40 2
342521 임수는 남자고여자고 다 못생기지않음? ㅇㅇ(211.36) 21.10.20 54 0
342520 지지에 암장이라도 돼 있어야 하는 글자. 캬라멜(211.36) 21.10.20 76 1
342519 게이좋아하는 여자들 대부분 ㅇㅇ(106.101) 21.10.20 46 0
342518 난 두순 호순 여욱보다 못났고 그녀는 날 모르지만 몰래 그녀를 사랑해.. 집밥맛나냐(223.62) 21.10.20 19 0
342517 요즘 영화자막에서 왜 여자들이 남자들한테 반말함 불편하다 ㅇㅇ(106.101) 21.10.20 21 0
342515 와오눌 물건 1억치팔았네 [2] ㅇㅇ(106.102) 21.10.20 72 0
342512 난 여자든 남자든 신금이 정말 정이 안 감 [7] ㅇㅇ(39.7) 21.10.20 183 1
342510 재생살은 남자안만나고 사람들한테도 재생살짓안하고있으면 ㅇㅇ(223.62) 21.10.20 198 12
342509 니네 다 씹 노잼이긔 ㅇㅇ(58.227) 21.10.20 20 0
342508 역갤련들아 이런남자 어떠냐..? 대메갓폭격기(14.5) 21.10.20 56 0
342507 나는 동성애자들 싫음 ㅇㅇ(106.101) 21.10.20 35 4
342506 내가 본 재다녀와 비다녀 [6] ㅇㅇ(223.39) 21.10.20 455 6
342503 재생살은 신강해야지 ㅇㅇ(39.116) 21.10.20 369 10
342502 계수는 안잡히는 일간 [5] (106.101) 21.10.20 1052 17
342500 관다녀들은 뭘해도 동성트집잡던데ㅋㅋ [4] ㅇㅇ(223.38) 21.10.20 338 28
342496 두순 호순 어리석군.. 그녀는 이미 나의 여자다.첫눈에 내게 반할운명이지 고영욱(223.62) 21.10.20 26 0
342494 김선호도 내년 인사신 삼형 걸리네 임인년기운 들어왔나 [1] ㅇㅇ(175.199) 21.10.20 666 4
342492 편재다가 미투하는 여자들 욕하던데 [2] ㅇㅇ(112.171) 21.10.20 119 0
342491 겨울 정유 일주 오인혜, 장자연, 그배우 여친, 김기덕 영화 배우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20 409 6
342488 니네가 김선호로 살아봐 ㅅㅂ [4] ㅇㅇ(125.179) 21.10.20 179 2
342486 임수녀들 다 못생겼는데 한지민만 이쁨 [3] ㅇㅇ(211.36) 21.10.20 456 14
342483 오늘은 신축일입니다. ㅇㅇ(223.38) 21.10.20 47 0
342482 표독스럽고 기쎈여자는 겉으로 무뚝뚝하고 그런게 아님 [1] ㅇㅇ(106.101) 21.10.20 242 2
342480 뿍구야 [3] 가이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20 61 0
342479 병먹금 병먹금 병먹금 병먹금 병먹금 병먹금 병먹금 병먹금 병먹금 병먹금 ㅇㅇ(117.111) 21.10.20 44 0
342473 오늘 두통오지네 ㅅㅂ ㅇㅇ(223.62) 21.10.20 86 0
342472 강호순!!!그 여자는 내꺼야 건들지마.. 조두순(223.62) 21.10.20 44 0
342471 이거 인성기신인가 좀 봐줘 [1] ㅇㅇ(223.39) 21.10.20 239 0
342469 내가본 무토나 임수는 [1] ㅇㅇ(106.101) 21.10.20 187 2
342468 임수중에서는 임진이 제일 낫지않냐? [1] ㅇㅇ(211.36) 21.10.20 310 5
342465 내주위 남자 보호해주고 편들어주던애들 [5] ㅇㅇ(117.111) 21.10.20 179 4
342462 관다녀인대 다가오는 남자들 다 철벽쳤어 [1] ㅇㅇ(122.37) 21.10.20 215 7
342461 뭔가 확실히 식재시대가 온거같긴 함 ㅇㅇ(223.39) 21.10.20 87 5
342457 가난한 애들 특징 : 시야 좁아서 편협함, 옹졸함 [1] ㅇㅇ(183.109) 21.10.20 72 1
342455 나와 결혼해줄래? 강호순(223.62) 21.10.20 41 0
342454 전여친 하관 삐뚠거 김선호랑똑같애 [1] ㅇㅇ(223.62) 21.10.20 198 1
342453 확실히 우리나라에선 남자가 ㅇㅇ(125.136) 21.10.20 41 0
342451 관다가 다그런다는게 아니라 ㅇㅇ(58.140) 21.10.20 39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