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피겨스케이팅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피겨스케이팅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패션위크 레전드 사진 건졌다... 누벨바그_
- 싱글벙글 고전만담 커요밍
- 싱글벙글 동숲하는 엄마 XIII
- 싱글벙글 게임친구 칼붕이
- 싱글벙글 동물 추나하는 남자 딸딸묵통
- 싱글벙글 월간지 여성시대 3월호 ㅋㅋ ㅇㅇ
- 고전 스타일로 면도했다 ㅇㅇ
- 싱글벙글 게임버그촌 ㅇㅇ
- 싱글벙글 념글간 벨기에 인종차별의 진실...jpg 빠요엔
- 알쏭달쏭 타비타 운동이란? Chart_Manager
- 블라)내 딸은 절대 외박허용 안 할거라는 현대로템남 실시간기자
- 좋은 동네 살아라 ㅅㅂ 얼룩말 나온다 ㄹㅇ
- '알리에서 절대 사면 안되는 물'의 실사용 후기.jpg ㅇㅇ
- 도끼만행사건 이전의 판문점 분위기 ㅇㅇ
- 오싹오싹 응급 의사가 겪은 가장 충격적인 썰 ㅇㅇ
[내맘대로 귀납식 와인 정리] 시라/쉬라즈
이론따위 없다... 내가 본 까마귀들은 까맸기 때문에 까마귀는 모두 까말것이다라는 논리로 정리하는 품종.... 건강 이슈로 한 일이주 와인을 자제하려는데 와임을 안마시면 할게 없기 때문에 마셨던 와인을 귀납식으로 정리해보려합미다. 대충 2년간 쉬라즈랑 시라를 한 60종 정도 먹었더라구요? 기록과 기억이 남아있는 애들을 중심으로 정리해봤습니다. 시라/쉬라즈(Syrah / Shiraz) 1) 과실 : 새까만 과일 - 푸른 과일 - 붉은 과일 - 이 품종이 ㅈ같은 이유입니다. 개같은게 진짜 시꺼먼 과일부터 푸른 베리, 붉은 과일까지 다 나옵니다... - 일단 좀 빡세게 뽑으면 과실의 색감이 다 까매집니다. 북론이여도 턱턱 막힐정도로 까만 향과 맛을 내는 경우가 많습니다.6언더에서 아주 좋은 예시는 얘입니다. - 까만 과일 자체는 단 느낌이 나거나 아니면 아예 단 느낌이 없는 까만 과일 두 종류로 나뉘었습니다. 전자는 달콤한 블랙베리 느낌이고 뒤는 단단한 블랙베리 혹은 커런트 느낌까지도 주더라구요. 반대로 붉은 과일을 극단적으로 뽑은 애는 얘였습니다. 다만 그만큼 힘을 잃기 좋구요. 경쾌하고 완전 피노같아지는 장점이 ㅎㅎ 블루베리 달콤하게 잘 익은 블루베리 캐릭터는 덥지 않은 빈티지의 적당히 서늘한 산지에서 너무 강건하게 뽑지 않았을때 잘 드러나더라구요. 근데 결국 어떤 와인이건 풀리고 나면 가장 많이 보이는 캐릭터가 블루베리인거 같습니다. 블랙베리~블루베리가 걸쳐있는데 처음에는 까맣다가도 시간 지낟보면 블루베리 뉘앙스를 드러냅니다. 조금 비싸긴 하지만 요친구가 이쁘장한 블루베리 뉘앙스를 엄청 잘 냈습니다. 블랙과 블루베리가 얽힌게 엄청 농축되면 어떤지 궁금하다면 아래 와인을 드셔보십쇼.... 오크같은건 쓰지 않은 언오크드 시라인데..... 시라가 가지는 과실 캐릭터를 극단적으로 농축시켜 뽑아낸 와인입니다 ㅎㅎ 거의 시라 농축액입니다. 이거 먹고 나면 한 2년 동안 이 와인의 과실 캐릭터가 머리에서 사라지지 않습니다... 2) 후추 및 스파이스 - 후추 및 매운 스파이스 계열은 시라/쉬라즈의 특징적인 캐릭터지만, 의외로 다른 요소들에 묻혀 잘 안보이는 경우도 많습니다. - 이걸 진짜 잘내는건 아무튼 프랑스 시라입니다. 이런저런 곳에 북론 스타일 따라한다고 해도 북론 시라만큼 후추/스파이스를 뚜렷하게 내는 경우가 드물더라구요 ㅋㅋ - 바로 뒤에 언급할 동물적인 캐릭터와 결합하면서 스모키한 뉘앙스로 다가오는 경우도 많습니다. 3) 동물적인, 세이버리한 - 요거는... 음... 과실을 최대한 파워풀하게 뽑은 경우에 거의 항상, 그것도 꽤 강하게 튀어나옵니다. 과실이 좀 새까맣다 싶은 시라/쉬라즈면 생고기,베이컨,훈제육같은 비릿한 고기향이 씨게 올라옵니다. 시간 지나면 날라가는 경우도 있는데, 약간 은은하게 계속 감도는 경우도 많고... - 이스까이 시라에서도 요 향납니다. 4) 바이올렛, 보라색꽃 - 농축된 블랙~블루베리 캐릭터랑 잘 엮이는 노트인거 같습니다. - 아까 위에서 언급한 언더힐 쉬라즈가 바이올렛 노트가 아주아주아주 잘 드러나구요. - 접근성 좋은 시라 중에서는 장루이샤브의 셀렉시옹 생 조셉 오프뤼가 좋은 예시였습니다. 9~10만원대에서는 스테판 오지에의 꼬뜨 로띠가 기억이 나네요. - 시라나 쉬라즈의 노즈가 특정 과숙된 뉘앙스, 동물적 뉘앙스, 까만 과실에 잡아먹히지 않았을때 은은하게 자주 보이는 캐릭터인거 같습니다. 5) 흙, 올리브? - 이거... 음 뭔가 흙내가 의외로 잘 안나올거 같은데 블랙 올리브 요런 느낌이 종종 나옵니다. 화분흙향...? 이런것도 나구요. - 아무튼 이런 기묘한 향은 저는 워싱턴 시라들... 그 뭐시냐 K빈트너스 마실때마다 아주 강하게 받았습니다. 최근에 먹은 레꼴 시라에서도... - 저는 워싱턴 시라가 겁나 신기합니다. 한 세번 마셨는데 아직도 모르겠어요....이상하기도 하구요 ㅋㅋㅋㅋ 얼씨하고 세이버리한데 약간 과숙된 뉘앙스도 있고, 과실은 또 엄청 블루베리하고, 쥬시한 구석도 있고, 찐한 구석도 있고, 분위기는 밝은 듯하면서 어떤 면에서는 처지고.... 미친놈들이야 ㅋㅋㅋ 6) 민트, 유칼립투스 - 쿨한 노트긴한데... 뭔가 그린노트랑은 살짝 다르고 호주 쪽에서 알콜 뉘앙스가 정향 느낌이랑 결합하고, 다른 캐릭터랑 잘 융화되면서 요런 느낌으로 와닿더라구요. - 남호주 쉬라즈에서 꽤 자주 보입니다. 저는 이게 호주 쉬라즈의 핵심적인 킥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노트가 다른 노트랑 어떻게 얽히냐가 남호주 쉬라즈의 완성도를 좌지우지하지 않나.... - 과실이 좀 약하거나 알콜 케어가 안되고 온도가 올라가면 확 지배적인 노트로 튀어나오면서 코를 찌르기도 합니다. - 전 아래 두 친구가 꽤 정석적으로 민트와 유칼립투스 캐릭터를 보여줬던거 같습니다. 7) 오크 : 스윗스파이스, 초콜릿 - 오크를 굳이 아껴서 과실을 드러내려는 경우가 아니라면 스윗스파이스는 매우매우 자주 잘 드러나구요. 이 스윗스파이스 때문에 후추 뉘앙스가 햇갈리는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 - 초콜릿은 더운지역에서 찐득한 과실이랑 터프한 오크, 품종 특유의 스파이스가 결합되면 자주 나타나더라구오. 8) 과숙된? 째미한? 말린? - 남호주 쉬라즈에서 흔히 보입니다. 과숙된 뉘앙스..를 넘어 살짝이라도 째미한 느낌까지 주는 과실 캐릭터가 흔하게 보입니다. - 말린 느낌을 아주 강하게주는 경우는 블랙매직이 대표적입니다. 완전 건과일 느낌이 빡세게 납니다. 9) 산도 - 시라랑 쉬라즈 산도에는 두가지 스타일이 있습니다. - 어떤 형태로던 높고 강렬한 산도를 지키는 스타일 - 하나는 산도를 다소 포기하고 농축미에 올인하는 스타일(산도가 있더라도 둥글고 뒤로 빠짐) 입니다. 사실 후자는 바로사나 남호주 쪽의 클래식한 스타일로만 남아있습니다만.... 아래의 칠레 와인도 그런 스타일이더라구요. 신대륙의 찐득이 스타일들은 종종 이렇습니다. 위에 블랙매직도 유사한 스타일이구요. 이게 품종 자체가 선천적으로 산도를 아주 잘지키는게 아니라, 어느 시점이 넘어가면 산도를 빠르게 잃는 특성때문에 어렵습니다... 특히 호주처럼 여러 지역의 포도를 섞는 문화가 발달한 경우엔 더더욱 어려워지구요 ㅠ 그외에는 대부분 마셔보시면 M+는 항상 잘 찍습니다. 막 산죠처럼 러스틱한 산도가 아니여서 그렇지... 뭔가 가산 의혹을 받을 정도로 언밸런스하게 산도가 높은 경우도 꽤 자주 있구요.. 남호주 내에서 제 경험에 한해서 후자 스타일(농축미 올인)의 정점은 그리녹 크릭이었구요. 밸런스 잡힌 산도를 지키는 최근 스타일로 기억에 남는건 펜폴즈의 생 헨리 쉬라즈였습니다 ㅎㅎ 10) 타닌 - 타닌은 산도와는 달리 재배보다는 양조 조건에 영향을 받는데, 그래도 대부분의 경우 높은 수준(M+ 이상)을 찍었습니다. 약간 쥬시하게 만드는 스타일들은 M 정도이기도 한데... 그래도 막 적다는 느낌은 잘 안듭니다. - 대체로 양이 많고 파워풀한 느낌을 줍니다. 높은 산도, 강한 과실미와 결합하면서 입에서 큰 만족감을 주는게 매력 아닌가 싶습니다 ㅎㅎ 11) 바디, 알콜 - 바디는 와바와로 차이가 큰거 같습니다. 미디엄 바디부터 풀바디 정도까지 다양하게 보입니다. - 가장 큰 약점은 알콜이 의외로 자주 튑니다. 특히 신대륙 시라에서 종종 농축미와 접근성 좋은 스타일 사이에서 이도저도 못잡고 알콜이 튀는 경우가 꽤 자주 보입니다. - 그래서 북론쪽에서는 기본급에서는 아예 힘을 풀고 미디엄 바디 정도로 가져가는 경우가 꽤 보입니다. 스테판 오지에의 라 호진이 대표적이었네요. 막 구조적이고 강건한 것만 드셔보셨다면 라 호진 한번 츄라이... 11) 입에서의 종합적인 맛과 과실 - 음... 많은 경우 찐하고 까맣고, 특히 스파이시한 느낌을 잘 줍니다. - 특히 까쇼나 메를로 같은 보르도 품종에 비해 스파이시한 느낌을 잘 주는게 론 품종 전반의 특징인거 같은데요. 입에서 강한 구조감과 함께 다소 부담스러운 느낌인건 부정할 수 없지만 그걸 상회할만큼 과실을 잘채워주는게 장점인거 같습니다. - 항상 그런건 아니고, 북론에서 접근성 좋은 스타일의 와인들(생 조셉 등)이나 신대륙의 몇몇 와인들은 굉장히 쥬시하고 마시기 편한 와인을 만들기도 합니다. - 타닌과 바디, 알콜을 다 절제하고 완전 꿀떡꿀떡 들어가는 쥬시한 과실미를 보여주는데 아래 와인이 딱 그걸 지향해서 잘 만든 예시였습니다. - dc official App
작성자 : 와파고였던와응애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