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서울대생의 mit 경험담.txt

ㅇㄷ(175.127) 2011.08.14 19:33:59
조회 1392 추천 0 댓글 5


퍼온글이고 너무나 유명한 글이지만 못보신분들을 위해 다시한번 올려봅니다.

저는 서울대를 졸업하고 6년전 MIT에 유학와서 박사학위를 받고 지금은 미국에서 회사에 다니고 있습니다. 처음 1년 이 곳에서 공부할때 저는 제가 한국에서 대학교육을 받은데 약간의 자부심을 갖고 있었습니다.



주위의 많은 한국 유학생들이 서울대 과 수석 또는 서울대 전체 수석도 있고 한국 대학원생의 80% 이상이 서울대 출신이니까 미국 학생들을 바라 보면서 그래 너희가 얼마나 잘났나 한번 해보자라는 생각마저 들었습니다. 한국에서 하던 대로 이곳에서도 한국 학생들이 시험은 아주 잘 보는 편입니다.

특히 한국 중 고등학교에서 가르치는 수학의 수준이 미국의 그것보다 훨씬 높기 때문에 공대생들로서는 그 덕을 많이 보는 편이죠. 시험 성적으로 치자면 한국유학생들은 상당히 상위권에 속합니다. 물론 그 와중에 한국 유학생들 사이에서 족보를 교환하면서 까지 공부하는 친구들도 있습니다.



한번은 제가 미국인 학생에게 족보에 대한 의견을 슬쩍 떠본일이 있습니다.



그랬더니 정색을 하면서 자기가 얼마나 배우느냐가 중요하지 cheating 을 해서

성적을 잘 받으면 무얼하느냐고 해서 제가 무안해진 적이 있습니다.

(물론 미국인이라고 해서 다 정직하게 시험을 보는 것은 물론 아닙니다.)

어느덧 시험에만 열중을 하고 나니 1년이 금방 지나가 버렸습니다.

이제 research 도 시작했고 어떤 방향으로 박사과정 research 를 해나가야 할지를 지도교수와 상의해 정할 때가 왔습니다.



물론 명문대이니 만큼 교수진은 어디에 내놓아도 손색이 없습니다. 한국에서 교수님들이 외국 원서를 번역하라고 학생들한테 시킬때 도데체 어떤 사람들이 이런 책을 쓸 수 있을까 의아하게 생각하던 바로 그 저자들과 만날 수 있다는 것은 굉장한 체험이었습니다. 과연 그런 사람들은 다르더군요.

태어나서 처음으로 아 과연 천재라는 것은 이런 사람들이구나 하는 것을 느꼈습니다. 그 사람들의 상상력과 창의력앞에 존경심이 저절로 생겨났습니다. 그동안 제가 갖고 있던 미스테리가 풀렸습니다.



그동안 교과서에서만 보던 바로 그 신기하기만 하던 이론들을 만들어내고 노벨상도 타고 하는 사람들, 그런정도가 되려면 이런 정도의 천재가 되어야 하는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때부터 걱정이 되었습니다. 과연 내가 얼마나 잘 할 수 있을까? 도데체 비밀이 무엇일까? 저런 사람들은 어떤 교육을 받았을까?



물론 지금까지 수업도 착실히 듣고 시험도 그런대로 잘보고 해서 어느정도 유학생활에 자신감은 있었지만 이 부분에는 영 자신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세계제일의 공학대학에서 이 정도 교수는 갖추고 있는게 당연하고 나와는 다른 차원의 사람들이다라는 식으로 위안을 삼았습니다.

주위에 있는 미국인 학생들을 보면서 그래도 내가 한국에서 어려운 교육도 받았고 (대학교 수학도 한국이 더 수준이 높습니다) 저 아이들보다는 잘할 수 있겠지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소름이 오싹 돋는 일이 자꾸 생겼습니다. 하나 둘씩 주위에 있던 몇몇 미국인 학생들이 점점 두각을 나타내면서 점점 더 어려운 문제를 해결해 나가고 벽에 부딪치면 새로운 길을 스스로 파헤쳐 나가는 등 저를 놀라게 하였습니다.



초기에 제가 미분기하학이란 이런것이야라고 설명해주던 미국애가 이제는 제가 알아듣지 못하는 이론을 제게 설명해 줍니다. 뭐 그럴수도 있지라고 처음에는 생각 했습니다. 자기한테 맞는 분야를 잘 정했겠지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점점 더 많은 그런 케이스를 보면서 또 그들이 발전해나가는 모습을 보면서 생각 했습니다. 이들중 몇명이 내가 천재라고 생각하던 그런 교수님들 처럼 되는 것이 아닌가. 바로 그랬습니다. 바로 그런 학생들이 그런 교수가 되는 것이었습니다.


그때부터 왠지 슬퍼지더군요. 저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한국 유학생에게 넘을 수 없는 눈에 보이지 않는 어떤 장벽이 있음을 느꼈습니다.



우리나라 인구수로 따지자면 이미 노벨상 수상자가 여러명 나왔어야 하고 우리나라 사람들의 교육열로 보면 이미 세계적 수준의 과학기술자가 전세계에서 활약하고 있어야 할 시점에서 왜 한국에서 일류 교육을 받은 한국 유학생 들이 MIT 에서 기가 죽어 지내야 하는지 알 수 없었습니다.



학교 도서관에서 책만 읽어서는 그 이유를 알 수 없었습니다. 시간이 더 지나고 미국 친구도 사귀고 미국 사람들의 생활을 보면서 차츰 차츰 미국에서의 교육에 대하여 조금이나마 알게 되었습니다.

일단 갓난아기때 부터 한국과 미국의 교육이 달라 지더군요. 우리나라에서는 부모가 감정적으로 때로는 분에 못이겨 매를 드는 반면, 이곳에서는 모든것이 논리 정연하게 말로 설명이 되었습니다. 아이가 왜 안되느냐고 물어보면 그것은 이렇고 저래서 그렇다고 꼬치꼬치 자세하게 설명해 주고, 투정을 부리면 온갖 기발한 계략으로 아이의 관심을 돌립니다.



부모가 항상 아이에게 말을 시키려 하고 자기 자신들이 그들의 부모로 부터 물려받은 삶의 지혜를 전해주려 노력합니다. 거의 대화가 없는 우리나라 가정과 꽤나 대조적 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도 아이가 있지만 도저히 그들처럼 할 수 없습니다. 그런식으로 대대로 물려받은 몸에 밴 경험이 대부분의 우리나라 사람들과 저에겐 없기 때문입니다. 과연 이렇게 시작이 다른데 미국에서 애를 잘 키울 수 있을까 걱정이 듭니다.


그들이 학교에 가면 차이는 더 벌어집니다. 우리나라 학생들이 암기력과 약간의 사고력, 이해력의 계발에 중점을 두는 동안, 이곳에서는 창의력, 상상력, 사회성 등을 키워나갑니다. 바로 이런것들이 거름이 되어 아까와 같은 천재들이 대학원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한마디로 우리나라 학생들이 남들이 만들어놓은 포장된 지식을 주입받는 동안, 이 곳 학생들은 생각하는 법을 배웁니다. 자발적 참여 및 토론에 의한 학습, 스스로 탐구하는 학습, 작문력, 발표력, 논리적 사고가 중요시 되는 교육을 받고 이들은 비록 미분 적분에 대하여 우리보다 늦게 배울망정 인생에서 창의력이 극대화되는 20대가 되면 어렸을때 생각하는 법을 배웠기에 스폰지처럼 지식을 습득하고 새로운 것을 창조해나갑니다.


이곳에 와서 한가지 더 놀란것은 미국사람들의 호기심 입니다.

새로운 것을 알고 싶어 하는 열정이 우리나라 사람의 몇배는 되어 보였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금속활자, 물시계, 해시계 등을 발명해 놓고도 더 발전 시키지않고 있는 동안, 서양에서는 만유인력의 법칙을 발견하였고 이를 발전시켜 결국 오늘날의 과학기술로 바꾸어놓았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유치하다고 아무도 거들떠 보지 않았을 automaton (자동 인형 - 태엽 등의 힘으로 스스로 정해진 순서에 따라 움직임) 이 유럽에서는 이미 수백년 전에 유행하여 자동으로 연주되는 피아노, 날개짓하며 헤엄치는 백조, 글씨쓰는 인형등 갖가지 기발한 발명품이 쏟아져 나왔고 바로 이것으로 부터 발전하여 나온것이 자동으로 계산하는 기계, 즉 컴퓨터입니다.

제가 미국 친구들을 집에 초대하여 조금이라도 신기한 것을 보여주면 이것은 어떻게 만들었느냐 무슨 원리로 동작하느냐는 등 질문을 쏟아 붓습니다. 심지어 하수구를 고치러 온 미국사람도 똑같은 관심을 보이면서 돈을 줄테니 자기 아들을 위해 하나 만들어달라고 조르던 적도 있습니다.



반면 MIT의 박사과정 한국 유학생들은 시선이 1초 이상 머무르지 않고 전혀 관심을 보이지 않고 술만 마십니다. 과연 우리가 세계를 주도해 나가는 과학기술 수준을 이룩할 수 있을까요? 우리가 단지 선진국이 되기 위해 또는 노벨상을 받기 위해 과학기술을 하기 싫지만 억지로 연구하는 동안 이곳에서는 너무나 좋아서 신기해서 알고 싶어서 과학기술을 연구하는 사람들이 너무도 많습니다. 자기가 하는 일이 좋아서 하는 사람들의 열정은 절대 따라갈 수 없습니다.


============================================
사실 나도 증명같은거는 문제풀기보다 비중 덜 두는뎅 ㄷㄷ
甲잉여선생님 근데 저기 밑에있는 https://gall.dcinside.com/list.php?id=foreign_university&no=116485&page=1&bbs=
이글 사실입니까? ㄷㄷ 역시 wasp은 소름돋네연! 마치 우리나라도 부자들끼리 정기 모임 갖는것 처럼요 ㄷㄷ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AD 로스쿨 합격, 하나로 잇다! 1타 유닛 패키지 운영자 24/05/29 - -
AD 해커스로스쿨 기초인강 전강좌 100% 무료! 운영자 24/02/24 - -
125168 씨애틀 cc에서 하버드로 편입할 수가 있어?? [1] 앚ㄴ(175.119) 11.12.26 216 0
125167 형들 미국대학에서 study abroad가는거있잖아 asd(69.255) 11.12.26 82 0
125166 사실상 갤러리 활동을 그만둔 저 1+1=2를 상담으로 찾으시는 분들께.. [9] ㈜1+1=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26 427 0
125162 Emory정도면 서성한쯤 되냐? [4] 미국(119.149) 11.12.26 289 0
125161 근데 imo ipho icho 입상하면 HYPSMC는 보장이냐? [1] ㅇㅇㅇ(222.119) 11.12.26 209 0
125160 연세대 경영 vs 컬럼비아 + 장학금 [8] ㅇㅇㅇ(222.119) 11.12.26 481 0
125159 미국대학 입결 분석1 [4] LED(119.149) 11.12.26 391 0
125157 honours관련 제발 횽들(220.125) 11.12.26 44 0
125155 아래 글 본 김에 쓰는 한심한 유학생부류 [4] 114(222.236) 11.12.26 322 0
125154 eju일본어 난이도 어떤가요 [3] 아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26 275 0
125153 eju 인강 동영상 [2] 난남자에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26 191 0
125152 건국대 vs 듀크대 어디 가기힘드냐? [13] (218.236) 11.12.26 431 0
125151 나유학결정남 도와줘요 ㅠㅡㅠ1+1횽소환 사오(211.246) 11.12.26 122 0
125150 eju 일본어 점수요... [3] 시크릿곰돌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26 290 0
125149 왜국대학 4월학기 개강이 보통 몇일인가요?? [1] 생선껍데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26 101 0
125148 왜갤러 챗방 좌표 좀 쏴줘 [3] 기므뮹(124.5) 11.12.26 129 0
125147 리츠 국관 점수 이정도면 붙을수있을까? ㅇㄴㅁㅇ(61.99) 11.12.26 195 0
125146 수능성적으로 동경대 이공계 들어갈수있음? [17] ㅇㅇ(1.252) 11.12.26 342 0
125145 이과인데 에쥬 장학금 컷이 몇 점 정도 될까? 이과생(222.99) 11.12.26 104 0
125138 eju수준에 맞게 이제 대학을 골라봅시다 [6] ㅇㅇ(123.225) 11.12.26 1502 0
125137 힛츠 카드결제 해본사람이나 하는사람 없음?? [1] qwert(211.187) 11.12.26 76 0
125133 eju점수.... [2] helloar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26 212 0
125131 eju 근데 순수 자격시험이야? 본고사때 조금도 반영안되? [5] dddd(211.181) 11.12.26 195 0
125129 요즘 국립이과 일어딸리면 안붙여줌... [1] ㅇㅇ(123.225) 11.12.26 197 0
125128 게이오 이과 까는데 [2] 다단(111.99) 11.12.26 225 0
125126 야 에쥬 이점수면 [6] 기므뮹(124.5) 11.12.26 356 0
125124 EJU 좆망 ㅠㅠ [3] 방중술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26 271 0
125122 국립대들이 본고사 면접중요시 한다는게 사실이냐 [4] ㅋㅋ(180.68) 11.12.26 229 0
125121 CC아는횽들 답변좀 사오(220.70) 11.12.26 74 0
125120 리츠메이칸 지원햇는데 지원최저점보다 점수안나오면 어케대는거임? [6] 이런미친;(211.227) 11.12.26 396 0
125119 오늘 EJU점수 나온듯.. ㄷㄷ(218.51) 11.12.26 157 0
125118 이과 267/40 78 75 184면 어디감? 일어ㅂㅅ이라ㅠ [6] ddddd(211.181) 11.12.26 220 1
125116 힛츠 카드결제 왜 안되는거지... qwert(211.187) 11.12.26 56 0
125114 대원외고 수시전형 쌌나? [1] 1(218.54) 11.12.26 137 0
125111 아이비리그가 별거냐? [9] 1(218.54) 11.12.26 285 0
125108 공부하기힘들다.. [2] 백승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26 104 0
125107 내 생의 마지막 에쥬는 일어는 만점 받고 싶었다 [3] 미래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26 216 0
125104 1+1 형 도움졈 주세영 [2] 1+1 형(67.161) 11.12.26 86 0
125101 신시내티대학교 수준어떤가요? [5] 1(219.251) 11.12.26 2385 1
125099 와 솔로를벗어날것같은크리스마스당 mj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26 50 0
125098 츠쿠바대학 예술학부 입학질문, [1] 츠쿠바(112.161) 11.12.26 279 0
125097 우와 니미 시,발 존나 억울하다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니미(114.207) 11.12.26 105 0
125096 게이오 상학부 말이야 [4] 게이오(221.148) 11.12.26 282 0
125093 한번 해보고ㅋ Mr.혁쿤(69.59) 11.12.25 39 0
125092 영단어집 추천 [5] 대래대래(58.141) 11.12.25 228 0
125089 211.204.***.*** 이새끼 글마다 한국토종 냄새 존내 진동한다 미친새끼(180.229) 11.12.25 90 1
125087 CC갈려면 얼마필요함? [2] ㅇㅇ(121.132) 11.12.25 205 0
125086 아침부터 ㅡㅡ [1] 그래뭐(99.194) 11.12.25 77 0
125084 시애틀 커뮤니티칼리지-하버드 편입 [1] 12(222.119) 11.12.25 332 0
125083 왜갤러 병신드라 크리스마스인데 뭐하고 자빠져있냐 [5] 이만원(219.109) 11.12.25 142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