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SAT 1430점 받은 꼴통새끼 말고 진짜 엘리트 하버드생의 서울대 평가

ㅇㅇㅇ(204.14) 2013.05.27 04:43:29
조회 341 추천 1 댓글 2

viewimage.php?id=foreign_university&no=29bcc427b68777a16fb3dab004c86b6f2fd3b996a0d0b2d249d01484c3915ae7e4c2d84fd1c4ddfe3618b7a0ec458f9824e80e66c5d8555d1a81b63edc27b5d2d70cecb01a06afdde0e2d8588f010ef9d5a44910f71241bfaa743845a1a300b128d5820818c04b72e377&f_no=a04828ad3736b35592a9c539f22da8c72b8b4efddf692543



[서울신문] “서울대 강의 진도는 너무 느려요. 심지어 어떤 수업은 매일 같은 강의를 받는다는 느낌이에요.”

미국 최고의 명문대 하버드 2학년을 마치고 서울대 교환학생으로 공부한 장미정(21)씨. 그는 서울대에서의 캠퍼스 생활을 통해 느낀 점을 ‘하버드 VS 서울대’(답게 펴냄)라는 책으로 펴냈다.

현재 우리나라 공교육의 문제가 도마에 오르고 있고 대학 개혁의 필요성이 역설되는 시점에서 나온 그의 책은 교육 당국자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는 “이 책을 쓰면서 남의 학교에 와서 흉만 보고 간다.”는 부담도 느꼈지만 “한국을 사랑하고, 서울대가 세계 최고의 대학으로 인정받는 학교이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펜을 들었다.”고 말했다. 나아가 한국의 대학들이 훌륭한 학교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변화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하는 바람도 있다.


하루에 배울걸 일주일동안 배워

그가 체험한 미국 최고의 명문대 하버드와 한국 최고의 명문대 서울대의 차이는 무엇일까?

미정이는 하버드에서는 너무 바빠 친구와 밥 한끼 먹는 약속도 지키기 어려웠지만 서울대에서는 자유시간이 너무 많아 놀랐다고 했다.“술자리도 자주 가고, 영화도 보고, 돌아다니면서 먹고…. 너무 놀아서 지칠 때도 있었다.”고 고백했다.

미정이는 서울대에서 시간이 많은 이유로 ‘느린’ 강의 진도를 꼽았다.

“하루에 배울 수 있는 내용을 일주일 동안 배운다는 생각까지 들었다.”고 했다. 반면 하버드에서는 수업진도가 너무 빨라 공부할 것을 조금이라도 미루면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을 수 밖에 없다고 했다.


●학생들 사이 숙제 베끼는 문화도 만연

또 서울대는 기본적으로 ‘공부량’을 늘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하버드 교양수업의 경우 교과서보다는 ‘소스북’이라는 참고서적을 매주 읽기 ‘숙제’로 낸다고 했다.“숙제의 양이 수업마다 달라서 50∼100쪽이나 되고 논문이나 신문기사도 읽어야 한다.”고 했다. 미정이는 “서울대에서 한학기 동안 수업을 위해 읽은 책을 좀 과장해서 얘기하면 하버드 교양수업에서 보름 동안 읽은 양과 비슷하다.”고 비교했다.

미정이는 특히 숙제를 베끼는 문화에 대해 학생들의 태도도 문제이지만 1시간만 답을 베껴서 숙제를 제출한 학생이 5시간을 투자해서 숙제를 한 학생과 똑같은 점수를 받게 되는 현실을 비판했다. 표절에 대한 규칙이 엄격하고 공정하게 지켜진다면 한국 사회의 부정부패를 막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하버드생들이 여름방학을 통해서 인생의 진로를 찾으려고 노력하지만 서울대생들은 장기 유럽 여행을 가는 친구들이 많다면서 한국에서는 유럽 여행 가는 것이 대학교때 꼭 해야 할 일 가운데 하나로 여기는 것 같은 인상을 받았다고 기억했다.

-----------------------------------------------------------------------------------------------

"한 학기 동안 질리도록 많이 놀았어요"

하버드생의 서울대 교환학생 후기

미국 명문 하버드대학에 다니는 재미교포 학생이 한국의 명문 대학이라는 서울대에서 교환학생으로 한 학기를 보내고 난 뒤 두 학교생활을 비교한 책을 냈다.

미국 하버드대학 3학년에 재학 중인 장미정(21) 씨가 최근 내놓은 \'하버드 vs서울대\'(도서출판 답게)가 그것. 장씨는 서울에서 태어나 네 살 때 미국으로 건너갔다. 토머스제퍼슨 과학고를나온 뒤 하버드, 프린스턴, MIT 등 여러 명문대학에 합격했으나 최종적으로 하버드를 선택했다. 

이 책은 서울대와 서울대생에 대한 애정어린 충고로 가득하다. 때로는 신랄한 비판도 마다하지 않는다. 적어도 미국에서 자란 그의 눈에는 서울대가 세계 최고의 대학이 되려면 개선해야 할 점이 많아 보인다.

무엇보다 하버드에서는 하루가 수업으로 시작해 수업으로 끝난다고 해도 과언이아닌데 서울대에서는 자유 시간이 너무 많다. 그는 솔직히 말해 한국에서 한 학기동안 공부하면서 질리도록 많이 놀았다고 고백한다. 술자리도 자주 가고, 돌아다니면서 여러 가지를 먹고, 영화도 많이 보고, 클럽에 갈 시간도 충분했다는 것. 

그는 자유 시간이 많은 이유로 느린 강의 진도를 꼽았다. "교양수업은 물론이고 전공 수업도 주말에만 공부해도 충분히 따라갈 수 있는 서울대의 진도! 한국 최고의 대학에서 최고의 학생들에게 그보다는 좀 더 많은 것을 가르쳐도 되지 않을까?"라고 꼬집는다. 한국의 다른 학교 학생들에 비하면 옷도 별로 예쁘게 안 입고 다니고 덜 꾸민다는 얘기를 들은 서울대 여학생들이지만 실제로 보면 외모에 지나치게 신경을 많이쓰고 다녀 아주 많이 놀랐다고 털어놓는다.

그의 비판은 계속된다. 숙제를 베끼는 문화와 관련해 그는 학생들의 태도도 문제지만 1시간 만에 답을 베껴 숙제를 제출한 학생이 5시간을 투자해 숙제를 한 학생과 똑같은 점수를 받는 현실을 비판하면서 표절에 대한 규칙이 엄격하고 지켜진다면 한국사회의 부정부패를 막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한다.

그는 이 책을 쓰기 전에 한참을 망설였다고 한다. 서울대에서 사귄 친구들에게 미안한 생각도 많이 들었다고 한다. 하지만 \'남의 학교에 와서 흉만 보고 간다\'는 비난을 무릅쓰고 이 책을 쓴 것은 너무나도 소중한 시간을 선물해 준 서울대와 한국의 대학들이 발전하는 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일을 하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

“서울대에서 공부를 시작한 초기에는 하루하루가 실망과 놀라움의 연속이었어요.” 미국 최고 명문대로 꼽히는 하버드대에 재학 중인 장미정씨(21·3학년·경제학과 컴퓨터 전공)가 ‘한국 최고대학’ 서울대에서 공부해본 소감이다. 장씨는 27일 두 학교에서의 체험을 비교하는 책 ‘하버드 vs. 서울대’를 서울(도서출판 답게)에서 낸다.

장씨는 25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서울대에서 공부하는 것은 하버드에 비하면 너무 쉬웠다”고 말했다.

장씨는 4세 때 아버지(장병균·국제통화기금 선임 경제학자)를 따라 미국에 이민왔으며 하버드 입학 후 서울대에서 공부해보고 싶어 지난 2004년 방문학생으로 한 학기를 다녔다.

장씨는 서울대는 무엇보다 강의 진도가 느리고 내용도 쉬워서 공부강도가 낮아 자극이 없었다고 했다. 

그는 “하버드에서는 공부할 양이 많아 친구와 만나 밥 한 끼 먹을 여유도 없을 정도로 시간에 쫓겼는데, 서울대에서는 주말에만 공부해도 충분히 따라갈 수 있었다”고 했다. 더 놀라운 것은 친구들이 남의 과제물을 베껴서 제출하는 것을 보았을 때였다. 그는 “다른 사람들 앞에서 ‘숙제 좀 보여줘’라는 말을 쉽게 하는 것을 보고 놀랐다”면서, “5시간 공부한 사람과 1시간 만에 베낀 사람이 같은 점수를 받는 것은 정당하지 않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하버드에서는 스터디그룹을 만들어 친구들과 과제물을 같이 하는데, 만일 누군가 남의 숙제를 베껴 낸다면 당장 그 그룹에서 쫓겨날 정도로 숙제 베끼기는 용납되지 않는다”고 했다.

‘대리출석’ 역시 놀라웠다. 교수가 출석을 부를 때 학생들이 목소리를 바꿔가며 친구 대신 대답을 해주는 것을 보고, 시트콤에 나오는 일이 아니라 실제 상황인 것을 알고 놀랐다는 것이다. 결석한 학생들에게 벌점을 주기보다는 강의 동영상을 제공해 다시 들을 기회를 주는 것도 하버드와 다른 점이다.

장씨는 그러나 동아리 활동은 서울대 쪽이 훨씬 좋았다고 했다. 하버드에서는 동아리 활동조차 장래 경력에 도움이 되도록 공부하듯 매달렸는데, 서울대에서는 친구들을 사귀고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었다.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AD 로스쿨 합격, 하나로 잇다! 1타 유닛 패키지 운영자 24/05/29 - -
AD 해커스로스쿨 기초인강 전강좌 100% 무료! 운영자 24/02/24 - -
165250 일본대학 준비기간 솔직하게 뱉어보자. [4] ㅁㄷ(175.223) 13.09.06 466 0
165247 개꼴통들이 일본유학 한다고 깝칠때 테크트리 [2] d(122.36) 13.09.06 639 7
165246 미국서는 학력차별 어느정도 수준임?? [7] ㅠㅓㅜ(119.192) 13.09.06 829 0
165245 자쏘 4년 받은 게이인데 [9] 지방인(203.226) 13.09.06 559 0
165244 2012년 세계 과학기술력 순위 발표 (미국 위엄 ㄷㄷㄷ).jpg [1] 천조국(211.109) 13.09.06 338 0
165242 미국 2~30위권 대학들 입결 기준으로 재서열화.txt [1] ㅇㅇ(211.109) 13.09.06 609 0
165241 미국대학vs일본대학 비교 [16] ㅎㄱㅎㄱㅎㄱㅎㄱ(146.151) 13.09.06 1140 0
165240 외대갤 갤러분들 질문이 있어요 [1] ㅇㅇ(50.150) 13.09.06 239 0
165237 바로 아래글 보면 일뽕을 까는 이유를 알수잇음 ddd(203.120) 13.09.06 118 1
165234 솔직히 하버드나 스탠포드같은곳 와세다한테도 발리지않냐?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4] ㅁㄴㅇ(118.47) 13.09.06 341 0
165231 진지하게 cc 편입 관련해서 질문합니다. [1] ㅇㅇ(118.219) 13.09.06 317 0
165228 교토대 vs 오레건 주립대 dd(203.120) 13.09.06 229 0
165227 일본명문 와세다 가기 vs 대학 안가고 돈벌기 [1] dd(203.120) 13.09.06 335 0
165226 동국대 vs 도쿄대 [4] dd(203.120) 13.09.06 386 0
165225 일본 문과 유학의 메리트 [16] x(58.143) 13.09.06 620 1
165224 지방국립대나왔는데 동경대 대학원 박사과정 입학 어렵나?? [1] gldgld(220.87) 13.09.06 398 0
165221 (진지함) 수능 올 4등급 찍는데 EJU 파면 몇달정도 걸림? [3] ㅇㅇ(118.218) 13.09.06 424 0
165220 자쏘 4년 받으면 공부할맛 나겠다 [6] ㅁㄴㅇㄹ(58.148) 13.09.06 495 0
165218 ㅋㅋㅋㅋㅋ 여기 아직도 일본유학 떡밥 개쩐다 일본유학이고 나발이고 [1] ㅋㅋㅋㅋ(218.55) 13.09.06 202 0
165216 여기서 혹시 서양여자 이쁜애랑 자본 적 있는 분? [1] 발정난친구(219.79) 13.09.06 311 0
165214 jasso 장학금 4년짜리 인증하라길래 인증함 [5] 지방인(1.244) 13.09.06 744 0
165211 왜갤챗방 요시!그란도 오픈! ㅁㄴㅇ(112.145) 13.09.05 126 0
165210 아래에 저격한다는 일뽕썌기보니깐 글 지우고 도망간 일본도피충이생각나네 일뽕(81.97) 13.09.05 191 0
165209 미국대 CS vs Chem. Eng [2] asdd(94.187) 13.09.05 404 0
165208 탁쇽 vs 하버드 [5] ㅁㄴㅇㄹ(118.47) 13.09.05 529 0
165206 곧 죽어도 현지취업 해라 x(58.143) 13.09.05 303 3
165204 ㅉㅉ 씹도피충 일뽕들 또 와세다를 ucla하고 비교하고잡네 [5] 일뽕(81.97) 13.09.05 373 1
165202 일본 유학가서 취업할려면 가능하면 국내에서 취업하는게 답임 [2] ㅇㄹ(182.215) 13.09.05 811 5
165201 진심으로 물어보는건데 일본이공계유학 메리트있냐 [4] 아오시발(125.176) 13.09.05 384 0
165200 일본유학의 좋은점 [5] ㄴㅅㅇ(117.111) 13.09.05 404 0
165199 시간이 점점 흐르면 한국인 유학생들이 일본에서 활약을 할거라는데 [1] ㅇㄹ(182.215) 13.09.05 204 3
165198 유학에 대한 막연한 환상 갖은 샠기들 착각 [6] ㅇㅇ(118.47) 13.09.05 310 0
165197 취준안해봣지? [2] ㅇㅇ(118.47) 13.09.05 181 0
165195 심슨보는데 호머가 리사에게 사우스캐롤라이나에있는 대학보낸다니까 [1] ㄴㅁㅇㄹ(182.221) 13.09.05 262 0
165193 일본유학의 강점은 내가보기엔 [1] 문취안(1.233) 13.09.05 220 0
165190 Kia 주모 여기 일뽕 하나 추가요 [2] ㅇㅇ(118.47) 13.09.05 207 1
165188 일본까는새끼들 존나웃긴게 [4] ㅋㅌㅊㅋㅌㅇㅋㄴ(124.194) 13.09.05 272 1
165187 ㅇㄹ이새끼 일뽕 사라지니까 새롭게 나타났네ㅋㅋㅋ 니글 저격한다 [25] ㄴㅁㅇ(124.194) 13.09.05 390 2
165186 일본유학은 애루둥(58.148) 13.09.05 231 1
165185 일본 유학생 동문회에서 입지 좀 있는 사람 대다수는 [6] ㅇㄹ(182.215) 13.09.05 750 6
165182 일본 유학가서 일본 취업은 진짜 좆 시망인데 노답임 [1] ㅇㄹ(182.215) 13.09.05 1586 9
165180 자쏘됫당! 야 기분조타 기분딱조아!(125.141) 13.09.05 190 0
165179 일본 대학 취직 잘된다는 논리 종결 [7] ㅇㅇ(14.56) 13.09.05 651 10
165178 에쥬 4년 장학금 [4] fdff(1.244) 13.09.05 373 0
165177 난 일본유학이 사람에 따라 메리트가 있다고 보는데 [2] 으리으리해(1.240) 13.09.05 307 0
165175 도시샤 가려는 분들 [2] 请来(182.250) 13.09.05 337 1
165172 아 미친샠기들 취업 잘된다는게 좋은게 결코 아닌데 시발 [2] ㅇㅇ(121.162) 13.09.05 207 0
165171 JASSO 장학명단에 나 있는데... [2] ㅇㅇㅇㅇ(203.226) 13.09.05 310 0
165170 캐나다 12학년인데요 [1] 12(99.252) 13.09.05 218 0
165169 일본 유학 [5] 00(153.129) 13.09.05 302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