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나는 솔로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나는 솔로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싱글벙글 움직이는 화장실에 끼어죽은 남자 ㅇㅇ
- 미국 책방의 만화 소개 와히라나고미
- 어느날 타인의 기가차드가 보이는만화 ㄷ.manhwa 한번베기
- 김문수 "'헌재 8대0=공산국가' 표현 과했다…판결 존중" ㅇㅇ
- 초6 무리, 등교하듯 매일 무인매장 '탈탈'… "피해액만 1000만원" ㅇㅇ
- 한동훈 "친윤 당권 거래 뒷배 김건희다. 김건희 밝혀라" 강잼잼
- 겟앰프드의 추억... 진리엠캣
- 여론조사 전화, 요즘 안 오는 이유...jpg ㅇㅇ
- 싱글벙글 사람을 햄버거로 만들었던 범죄자 ㅇㅇ
- [SKT] 유심 교체 지원 종료 ㅇㅇ
- 중증환자 사망률 무려...코로나 환자 폭증하는 아시아 상황 마스널
- (별별 기록 시리즈 2) 폴 포지션에 관한 잡다한 기록 10가지 민족반역자베르
- 키이수도 여행기 3일차 / 와카야마 LiQh
- 목을 뚜두둑 거리게 하는 습관이 나쁜 이유 대한민국인디언
- 영화에서 메시지를 숨기는 이유 ㅇㅇ
동아시아 수학이 열등했던 이유..jpg
동아시아를 비롯한 비서양 국가들의 수학은 전부다 대수학 영역에 치우쳐져 있었음. 이 대수학이라는 건 말 그대로를 풀이하면 수를 대신한다는 뜻임. 장사를 하든 공사를 하든 대수학은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음. 그 때문에 대수학 영역은 문명이 있는 이상 발전할 수밖에 없는 영역임. 그리고 서양에도 당연히 대수학 영역이 있음. 동아시아 수학이 서양에 뒤지지 않았다는 이야기를 하면서 구장산술이니 주비산경이니 같은 이야기를 꺼내는 경우를 보았을 것임. 그리고는 동아시아에도 원주율을 구했다느니 방정식이 있었다느니 마방진이 있었다느니 등의 이야기를 하며 서양수학을 능가한 것처럼 과장하는 글을 많이 보았을 것임. 동아시아는 서양를 따라가지 못하는 결정적인 한계가 있었음. 바로 "증명"이라는 것을 몰랐던 것임. 니들이 중고등학교 수학 시간에 배웠던 그 증명이라는 걸 생각조차 못한 것임. 이 증명이라는 게 왜 중요한가? 증명이라는 것은 수학 원리, 수학 이론의 논리성, 무결점성을 입증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을 통해 새로운 원리를 발견할 수 있고 기존 논리의 정확성과 무결점성을 높이게 된다. 이 증명이란 과정을 고대 그리스 수학부터해서 서양은 매우 중시 여겼다. 공리와 절대적 진리를 구별했다. 공리라는 것은 사람들이 옳게 여기지만 논리적 증명은 되지 않은 것을 말한다. 동양에서는 그냥 바로 진리로 취급할 그럴 성질의 것이지. 이런 것조차도 정확하게 구별해서 서술하고 증명했다는 얘기다. 동아시아 수학은 이런 증명의 과정이 없다. 그 때문에 대수학 영역에서도 수학이라는 말보다는 산술이라는 명칭이 더 어울리는 그런 수준인 것이다. 가령 원주율 3을 구하는데 있어서 복잡한 수학적 논리나 공식은 필요 없다. 그냥 동그란 원을 그려놓고 그 원의 지름과 둘레의 길이를 비교해보면 누구나 대충 3.xx가 나온다는 걸 알 수 있다. 이런 "경험적 습득 수준"에 그쳤기에 산술이라고 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기하학의 경우 동아시아에서는 탄생조차 하지 못했다. 그래서 중국이 기하학을 처음 접하게 된 것은 그 생으로부터 약 1500년이 지난 뒤인 명나라 시절이었다. 마테오 리치가 유클리드의 기하학 원론을 들고 오자 그제서야 처음으로 접하게 된 것이다. 이처럼 동아시아의 학문이란 것들은 현실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것외에는 사실상 볼 것이 없다. 좋게 말해서 현실적이고, 나쁘게 말해서 단순하고 경험적인 그냥 단세포적인 학문 뿐이다. 동아시아인들은 자존심 때문에 최근에 와서야 역전된 걸로 착각하지만, 실상은 처음부터 황인이 백인을 이긴 적은 없었던 것이다. 황인의 창조 유전자는 열등해서 백인을 절대 이길수 없다. 그냥 파쿠리로 승부봐야 한다. 하지만 일본은 예외다 - dc official App
작성자 : 베르무트고정닉
궁금궁금 다운증후군은 왜 생길까
1. 다운 증후군의 발견1887년 영국 왕립 런던 병원 출신의 영국 의사 존 랭던 헤이든 다운 (John Langdon Haydon Down) 이 지적장애를 가진 아이들을 관찰한 결과 특정 집단에서 특이한 외모 발현과 발달 지연을 발견하게 되었고 이를 최초로 의학서에 기술하게 되면서 발견자의 이름을 따와서 병명이 다운증후군이 되었음2. 다운 증후군의 원인1959년 프랑스의 유전학자 제롬 르쥔 ((Jérôme Lejeune) 은 다운증후군 환자들의 조직 샘플들을 연구한 끝에 일반인들은 해당 21번 염색체를 두개 가지고 태어나는것과 달리 다운증후군 환자들은 해당 염색체를 세개 가지고 태어난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해당 원인으로 다운증후군이 발생한다고 밝혀냄1956년 스웨덴의 룬드 대학교 생물학자들의 발표에 의하면 정상적인 인간의 염색체는 46개가 되어야하는데 다운증후군 환자들은 해당 원인으로 염색체가 47개인 상태로 태어난다는 거임21번 염색체는 무슨 역할을 하는데?얘는 인간의 23쌍의 염색체중 가장 작은 염색체지만 그래도 엄청 중요한 염색체인데 다양한 생리적 기능, 뇌의 발달, 심장 구조. 세포 기능의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데 얘가 이상하니까 다운증후군을 겪는 사람들이 정상인과 다른 외모를 가지고 지능이 낮은 상태로 몸만 성장하는거임똑똑한 싱붕이들은 임신 과정중에 감수분열 시기가 있다는걸 알거임 근데 이 감수분열 시기에 염색체가 제대로 분리되지 않은 상태의 난자 혹은 정자가 정상적인 난자 혹은 정자와 만난 상태로 감수분열을 마치고 임신하여 출산하면 다운증후군 아기가 태어나는거임. 쉽게 말하면 사과 반쪽을 잘라서 오렌지 반쪽이랑 붙여서 새로운 과일을 만들어내야하는데 사과가 덜잘린 상태로 오렌지 반쪽이 같아 붙어서 목표로 하던 과일이 나오지 않은거임3. 다운증후군의 특징3-1) 외모적 특징일반적으로 다운증후군을 겪는 사람들의 외모적인 특징임 세포 기능을 담당하는 21번 염색체가 이상하니까 정상인과는 다른 모습으로 태어나는데 보통 눈이 위로 찢어져있으며 눈 주위에 살이 많고 얼굴이 잡작하고 비정상적으로 작은 귀를 가진 외모가 일반적임세포 기능의 이상으로 저긴장증이 선천적으로 있어 일반인보다 근육이 말랑말랑하며 약하고 힘을 잘조절못함내가 만난 다운증후군 애들은 힘 엄청 세던데??그건 그냥 저긴장증때문에 힘조절이 안돼서 그럼 만약에 누군가와 악수를 한다고 가정해보면 일반인들은 자기 악력의 10%에서 정도의 힘만 써도 될거란걸 알고 있는데 다운증후군 환자들은 어떤 파워로 악수를 해야하는지 가늠조차 안되니까 거의 풀파워를 내는 경우가 많음 그걸 경험한 일반인들이 다운증후군 환자들은 힘이 세구나 라고 느낄수 있는데 그냥 단순히 힘조절이 안되니까 그런거고 보통은 일반인보다 풀파워는 약한게 정설임3-2) 원인적 특징다운증후군은 산모의 나이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특히 35세 이상의 노산시에 급격하게 다운증후군의 발생 확률이 매우 높아짐최근 대한민국의 첫 출산 나이가 점점 높아지고 있어서 다운증후군을 겪는 사람들도 점점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쟤들도 어쩔 수 없이 저런거니 너무 무시하지말고 이해와 배려로 대답해주자
작성자 : Na-Ho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