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인구이동률 43년만에 최저…서울은 27년째 순유출, 1천만 붕괴

ㅇㅇ(175.223) 2017.01.25 13:17:02
조회 247 추천 0 댓글 2

2016년 국내인구이동통계, 부동산 규제·고령화 때문
구조조정 여파로 울산 직업 전입인구 뒷걸음질

(세종=연합뉴스) 민경락 이대희 기자 = 지난해 부동산 시장 규제와 고령화 등 영향으로 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를 뜻하는 인구 이동률이 43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서울 탈출 러시가 계속되면서 서울은 27년 연속 인구 순유출 기록을 세웠고 인구는 1천만명 밑으로 내려갔다.

조선·해운 구조조정 여파로 직업을 이유로 한 울산 전입인구가 처음으로 마이너스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 부동산 정책 따라 움직이는 인구…이동률 1973년 이후 최저

서울 떠나는 이삿짐[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 떠나는 이삿짐[연합뉴스 자료사진]

통계청이 25일 발표한 '2016년 국내인구이동통계'를 보면 지난해 인구 이동자 수는 총 737만8천명으로 1979년(732만4천명) 이후 가장 적었다.

인구이동률은 14.4%로 전년보다 0.8%포인트 감소했다. 이는 1973년 14.3%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1970년 404만6천명을 기록한 이후 꾸준히 증가한 인구 이동자 수는 1988년 996만9천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하지만 2014∼2015년 경기 활성화를 위해 부동산 규제를 완화하면서 인구 이동자 수가 2년 연속 증가했지만 지난해 여신심사가이드라인이 도입되는 등 다시 규제가 강화되면서 인구 이동은 뒷걸음질 쳤다.

인구 이동이 가장 활발한 20∼30대 인구가 줄어드는 반면 고령인구 비중이 늘어나고 세종 등 공공기관 지방 이전이 거의 완료된 점 등도 전체 인구이동자 수가 줄어드는데 영향을 미쳤다.

시도 내 이동은 전체 이동자 중 66.7%, 시도 간 이동은 33.3%로 전년대비 각각 5.4%, 3.8% 감소했다.

연령별 이동률을 보면 전 연령대에서 이동률이 전년보다 감소한 가운데 20대(21.5%)와 30대(21.4%)가 가장 높았고 70대(7.4%)가 가장 낮았다.

20대의 경우 졸업과 초혼연령이 늦어지면서 인구이동의 주요 요인인 취업·혼인이 줄어든 탓에 인구이동이 줄어든 것을 분석됐다.

성별 이동률은 남자가 14.7%, 여자가 14.2%였으며 여자 이동자 100명당 남자 이동자 수를 나타내는 이동률 성비는 103.9명으로 전년보다 0.5명 늘어났다.

2006년과 비교하면 총이동률은 4.7%포인트 감소했으며 20대·10세미만(5.7%포인트), 80세 이상·70대(4.6%포인트) 순으로 감소 폭이 컸다.

시도별 전입률은 세종(28.8%), 제주(17.0%), 경기(15.7%) 순으로 높았고 전출률은 서울(16.9%), 세종(15.6%), 대전(15.3%) 순으로 높았다.

전입자보다 전출자가 많아 순유입이 발생한 지역은 경기(13만4천명), 세종(3만명), 충남·제주(1만5천명) 등 8개 시도였다.

서울인구 유출 현장...경기도서 출퇴근[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인구 유출 현장...경기도서 출퇴근[연합뉴스 자료사진]

반면 서울(-14만명), 부산(-2만명1천명), 대전(-1만1천명) 등 9개 시도는 순유출을 기록했다.

지역인구대비 순 이동자 수 비율인 순유입률은 세종(13.2%)이, 순유출률은 서울(-1.4%)이 가장 높았다.

서울 전입자의 51.7%는 경기에서, 서울 전출자의 62.4%는 경기로 전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경기 진입자의 56.4%는 서울에서 이동했으며 경기 전출자의 44.7%는 서울로 빠져나갔다.

서울 인구는 지난해 140만명이 순유출되면서 지난해 말 기준으로 993만명을 기록, 1천만명 밑으로 떨어졌다.

서울의 인구 순유출은 1990년부터 27년간 단 한해도 빠지지 않고 계속되고 있다.

이지연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경기 안 좋은 해에는 리스크 부담으로 타 지역 이동이 쉽지 않으며 인구이동이 활발하다는 것은 경기가 좋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라며 "고령화로 40대 이상 인구가 많으면 이동자 수가 줄어들 수밖에 없는데 이런 부분도 같이 나타나고 있다"라고 말했다.

◇ 조선·해운 구조조정 한파 경남·울산, 일자리 없어 탈출 '러시'

지난해 조선·해운 구조조정 등으로 한파를 맞은 경남과 울산은 직업을 찾으려고 나가는 인구가 들어오는 인구를 추월했다.

2015년까지만 해도 두 도시는 구직하러 들어오는 인구가 더 많았다. 순유입이 경남은 3천300명, 울산은 4천600명에 달했다.

하지만 지난해 상황은 180도로 변했다. 경남은 4천400명, 울산은 1천600명이 구직을 목적으로 다른 지역으로 순유출됐다.

전국적으로 봤을 때 인구 이동의 사유는 주택(42.9%), 가족(23.6%), 직업(21.0%)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지난해 이동자 수가 전년보다 감소했으며 특히 주택 사유가 전년보다 24만명이 줄어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시도 내 이동사유로는 주택(51.9%)이 가장 많았으며 시도 간 이동사유로는 직업(33.3%)이 제일 많았다.

주택을 구하려고 이동한 이들은 가까운 곳을 찾으려 한 반면, 직업을 목적으로는 먼 거리도 마다치 않는 경향성이 보인다.

울산 구조조정 한파[연합뉴스 자료사진]
울산 구조조정 한파[연합뉴스 자료사진]

순유입률이 높았던 세종·제주·충남은 주로 직업 때문에 전입했으며, 경기는 주택 때문이었다.

반대로 순유출률이 높았던 서울·대전은 주택 때문에 전출했으며, 부산은 일자리를 구하려고 떠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4대 권역별로 봤을 때는 중부권만 유일하게 순유입(4만1천명)이었고, 나머지 권역은 모두 순유출이었다.

특히 호남권과 영남권의 순유출은 각 1만6천명과 4만명으로, 전년보다 각각 2배 늘었다. 이렇게 영·호남권을 떠난 이들은 주로 수도권과 중부권으로 이동했다.

이지연 과장은 "서울에서 주로 나가면 경기 지역으로 나갔는데 지금은 충남, 강원, 세종으로 예전보다 더 많이, 더 멀리 나가고 있다"라며 "세종, 충남 등으로 주택, 직업에 의해서 들어오는 게 상당히 많다"라고 말했다.

수도권으로의 인구 유입은 점차 둔화하고 있다. 지난해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이동한 이들은 44만8천명으로 2013년(44만7천명)을 제외하고는 최근 10년 중 가장 적은 수치였다.

시도별로 봤을 때 수도권에서 순유출은 충남(-1만1천명), 제주(-9천명), 세종(-8천명) 순으로 많았다

반대로 수도권으로의 순유입은 부산(8천명), 대구(6천명), 경남(5천명)으로 영남권에서 집중됐다.

서울은 위성도시가 있는 경기·인천으로 순유출이 전년보다 1만7천명 늘어 14만8천명으로 집계됐다.

순유입률은 경기 하남시(23.3%)가 순유출률은 경기 과천시(-8.5%)가 가장 높았다.

지난해 12월 국내인구이동은 67만3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3.9%(2만7천명) 줄었다.

이동자 중 시도 내 이동자는 66.5%였고, 시도 간 이동자는 33.5%를 차지했다.

인구이동률은 1.31%로, 1년 전보다 0.06%포인트 감소했다.

시도별로 보면 경기(1만3천113명), 충남(2천758명), 세종(2천309명) 등 9개 시도는 순유입이었다.

서울(-1만5천426명), 부산(-3천423명), 광주(-2천484명)은 순유출이었다.

순이동률로 봤을 때는 세종(0.95%), 제조(0.15%), 충남(0.13%) 등이 순유입이었고, 광주(-0.17%), 서울(-0.16%), 부산(-0.10%) 등은 순유출됐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AD LS증권 해외선물 수수료 $2.49 할인 이벤트 운영자 24/01/01 - -
AD [삼성선물]제로데이옵션 무료이벤트 운영자 24/06/03 - -
공지 부동산 갤러리 이용 안내 [310] 운영자 05.05.27 453753 916
7243444 아주 최악 입니다 코로나 때보다 2배 폐업률 공실률 높아지니 임대료 낮아 ㅇㅇ(1.229) 14:56 0 0
7243443 [재업]한녀 동일체론 ㅇㅇ(220.127) 14:56 0 0
7243442 리니지 지금 하라면 못하겠다 부갤러(211.36) 14:56 1 0
7243441 신라 면세점에 왔습니다 허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56 2 0
7243440 영끌이인데 미치겠다 엉엉 ㅇㅇ(223.62) 14:56 4 0
7243439 '김건희 논문 검증파' 숙대총장 투표 1위 '이변' ㅇㅇ(118.235) 14:56 1 0
7243438 경상도 국힘 지지율 보니까 상급시민이던데 쓰레기는 ㅇㅇ(1.224) 14:55 1 0
7243437 영끌이들 2030? 영끌은 4050이 더 많지 ㅋㅋㅋㅋㅋ ㅇㅇ(39.7) 14:55 3 0
7243436 한국인중 최악은 경상도인이다 부갤러(115.91) 14:54 6 2
7243435 갓스물 스폰받아 늙은놈 돈맛들인 창년들 부갤러(106.101) 14:54 4 0
7243434 야 여친 개좃걸레가 결혼 처 하잔디? ㅇㅇ ㅇㅇ(119.69) 14:54 5 0
7243432 부부사이 질문 부갤러(218.154) 14:54 3 0
7243431 반포 그래도 국평 90억 금방 가지 않을까 부갤러(106.101) 14:54 10 0
7243430 지금도 공장에서 인간형 로봇이 일하는데 ㅇㅇ(1.224) 14:54 11 2
7243429 걍 영끌이들은 배가 아픈거임 [2] ㅇㅇ(59.21) 14:54 13 3
7243428 부동산은 매력이 안느껴진다고 틀딱새끼들아 ㅋㅋ [1] 부갤러(121.148) 14:54 9 0
7243427 라운지에 음식이 없다 ㅇㅇ(58.252) 14:54 7 1
7243426 솔직히 좃같은게 [1] 원룸맨(110.35) 14:53 8 0
7243424 의왕 vs 과천 vs 대전 윗급인 순서대로 답좀줘 ㅇㅇ [3] ㅇㅇ(223.39) 14:53 9 0
7243425 이거 아는사람 10% 미만일듯 ㅇㅇㅇㅇ(220.90) 14:53 7 0
7243423 "아빠...우리 또 이사 가야해?" ㅇㅇ(211.234) 14:53 16 1
7243422 곧 에어드랍하니까 공짜채굴하고 10만원이라도 챙기세요 햄스터컴뱃 에어드랍(77.111) 14:53 2 0
7243421 영끌이들 등캥미에 발작할정도면 [2] ㅇㅇ(106.146) 14:53 6 0
7243420 금융 통화 3대장.. 캐리 3국의 스타일 야스이■센타치(212.102) 14:53 22 0
7243419 미국 나스닥 2022년 -40% 였다 ㅂㅈㅁ(211.234) 14:52 13 0
7243418 집사서 좆팔육 아가리에 쏘옥 넣어주지말고 너자신을 위해 돈써라 폴아웃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52 20 2
7243417 25살 무직백수인데 재테크 어케함? ㅇㅇ(118.235) 14:51 8 0
7243415 젊은 놈들아 노오력을 해야 나처럼 집판검을 가지는거야-!! ㅇㅇ(211.246) 14:51 15 2
7243414 엣지의 불굴의 용기에 존경심을 표한다 ..에지아씨 사랑해 ^^ [1] 홍어극혐(211.36) 14:51 13 0
7243413 야 무슨 부갤 개념글이 노치킨 글로 도배가 되있네 ㄷㄷ ㅇㅇ(112.161) 14:51 12 0
7243411 아니 부갤틀딱 이 병신새끼들은 미래전망을 할거면 ㅇㅇ(1.224) 14:50 12 0
7243410 종부세 폐지하고 상속세 30퍼대로 인하 조정 부갤러(118.235) 14:50 23 0
7243409 민주 양문석 "언론, 애완견으로 품격 높여줘도 X오줌 못가린 발작증세" ㅇㅇ(14.46) 14:50 10 0
7243408 젊어서 빚 없으면 ㅅㅌㅊ 부갤러(218.235) 14:49 31 3
7243407 여기는 글에서 분노가 느껴지냐 [1] ㅇㅇ(112.164) 14:49 27 0
7243406 걍 ㅈㄴ 간단한 해결책이 잇는데 ㅇㅇ(223.39) 14:49 10 0
7243405 명색이 부갤인데 캥거루에 긁힐 수 밖에 없지ㅋㅋㅋ ㅇㅇ(118.235) 14:49 24 3
7243404 얘들아 대전의 범위가 어디까지냐?? ㅇㅇ(223.39) 14:49 10 0
7243403 대통령실 “종부세 사실상 폐지하고, 상속세는 30%로 인하 필요” ㅇㅇㅇ(218.235) 14:48 26 4
7243402 집값 저렴한 일본이 왜 집안사는지는 알고 저러나? ㅇㅇ(1.224) 14:48 18 0
7243400 노통의 업적: 한미 fta, 이라크 파병 [1] ㅇㅇ(106.101) 14:47 27 1
7243399 전세 끝나서 월세로 계약함 ㅁ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47 17 0
7243398 이성한테 몰입하는것보다 자신에게 몰입하는게 훨 남는장사 아니냐 ㅇㅇ(112.161) 14:47 17 3
7243397 광교 동탄 신축이 16억이면 분당 신축은 가격 어느정도일까 [2] 부갤러(106.101) 14:46 21 0
7243396 얘들아 대전의 범위가 어디까지냐?? ㅇㅇ(223.39) 14:46 8 0
7243394 부동산도 리니지처럼 개고기 아니냐? [4] 부갤러(210.178) 14:45 31 0
7243393 요즘 젊은 애들이 집을 안사는 EU [2] 부갤러(121.54) 14:45 53 6
7243392 영끌이들 상대하면서 부동산 진짜 모른다고 느낀거 ㅇㅇ(223.62) 14:45 30 0
7243391 얘들아 대전의 범위가 어디까지냐? ㅇㅇ(223.39) 14:44 14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