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기업은 “빚 내서 버틴다” 서민들도 “지갑 열기 무섭다” - 박근혜 짝짝

송도위키(203.128) 2017.01.27 18:11:58
조회 570 추천 1 댓글 0

0000025906_001_20170127004106981.jpg?type=w540 지난 24일 전북 군산시 오식도동에 위치한 제이와이중공업의 선박 조립용 블록 공장. 납품처인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가 가동 중단을 결정하면서 일감이 떨어져 개점 휴업 상태다. 프리랜서 오종찬

지난 24일 전북 군산시 오식도동 국가산업단지에 위치한 제이와이중공업. 영하권을 맴도는 날씨 속에 텅 비어 있는 축구장 14개(9만9000㎡) 규모의 공장엔 눈발만 날렸다. 공장 내부에 설치된 150~250t짜리 크레인은 멈춰 섰고 사무실 곳곳에도 빈자리가 눈에 띄었다. 제이와이중공업은 선박 조립용 블록을 만들어 납품하는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1차 협력업체다. 하지만 20일 현대중공업이 선박 발주 물량 감소로 올해 6월부터 군산조선소 운영을 잠정 중단한다고 발표하면서 제이와이중공업은 공장 가동을 멈췄다. 이 회사의 임남원 전무는 “지난해 이맘때엔 협력업체 직원을 포함해 650여 명의 직원이 일했는데 일감이 점차 줄면서 지난해 말 최소 인력 30명만 남겨두고 구조조정을 했다”며 “마지막 납품 물량의 도장 작업도 다음달 중순이면 끝난다”고 말했다. 그는 “2008년 500억원을 대출받아 크레인 등 공장 설비에 투자했는데 올해 본격적인 빚 상환까지 겹쳐 눈앞이 캄캄하다”고 덧붙였다.

2008년 준공한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는 세계적인 규모를 자랑한다. 조선소에 들어서면 세계에서 가장 큰 주황색의 1650t급 골리앗 크레인이 가장 먼저 눈에 띈다. 168만4000㎡(약 51만 평) 규모의 이 조선소엔 25만t급 선박 4척을 동시에 건조할 수 있는 도크(dock)가 있다. 하지만 철판을 자르고 조립하는 공장들은 모두 불이 꺼져 있다. 올해 액화석유가스(LPG) 운반선 2척을 만들 예정이었는데 지난해 7월 울산 공장으로 물량을 넘기면서 잔업만 남은 상태다. 전체 직원 760명 중 희망퇴직을 포함해 200여 명이 회사를 그만뒀다. 류해수 현대중공업 조선사업본부 군산가공소조립부 직원은 “남은 직원들은 순차적으로 울산 공장으로 재배치될 예정”이라며 “이번 설이 부모나 가족과 함께 고향에서 보내는 마지막 명절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군산조선소의 잠정 휴업으로 가장 타격이 큰 곳은 제이와이중공업 같은 협력업체들이다. 군산시청에 따르면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협력업체만 86곳(직원 5750명)에 이른다. 25일 기준으로 20여 곳이 문을 닫았고 약 2000명이 실업자가 됐다. 사내 협력업체로 100명이 넘는 직원을 데리고 있던 김모(45) 대표는 “지난해 말 대부분 직원을 집으로 돌려보냈다”며 “건강·고용보험 등 4대 보험금 낼 돈으로 직원들 퇴직금을 주고 있지만 얼마나 버틸지 걱정”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협력업체를 운영하는 임모(51) 대표는 “석 달 전만 해도 눈코 뜰새 없이 바쁘게 지냈는데 한순간에 빚쟁이로 몰린 현실이 믿기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그는 “현대중공업에 항의도 하고 싶지만 밉보였다간 혹여 공장을 다시 가동할 때 협력업체 등록에 빠질까봐 눈치만 보고 있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원룸마다 3~4개씩 빈방 늘어”]
이런 상황은 지역 경기에도 악영향을 주고 있다. 오식동에서 가장 번화가인 상가단지가 한산했다. 상가 뒤편으로 공장 근로자들이 기숙사로 이용하는 원룸 빌딩이 빼곡하게 들어서 있다. 이호영 신현대공인중개사무소 부장은 “군산조선소가 문을 닫으면서 원룸마다 3~4개씩 빈방이 늘고 있다”며 “지난해 초만 해도 한 달 새 70~80건의 계약을 했는데 요즘엔 계약기간을 다 채우지 못하고 방을 뺄 수 있는지 문의하는 전화만 이어진다”고 말했다. 대로변 상가도 침울하긴 마찬가지다. 한 식당 주인은 “장사가 안 돼 지난해 가을에 가게를 내놨지만 팔리지가 않는다”며 “최근 조선소가 문을 닫는다는 소식이 들려오면서 가게를 보러 오는 발걸음조차 끊겼다”고 했다.

지역 경제가 흔들리자 협력업체들은 현대중공업을 상대로 시위에 나섰다. 지난 25일 문동신 군산시장과 현대중공업 협력업체 대표 등 700여 명이 서울 종로구 평창동의 정몽준 아산사회복지재단 이사장 자택 근처에서 ‘군산조선소 폐쇄 반대’ 목소리를 높였다. 다음달 1일부터는 정 이사장 자택 앞에서 1인 릴레이 시위를 할 예정이다.

0000025906_002_20170127004107036.jpg?type=w540 1 지난 24일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협력업체 관계자 700여 명이 현대중 대주주인 정몽준 아산사회복지재단 이사장 집 근처에서 폐쇄 반대 시위를 벌였다. 2 지난 25일 서울 종로구 광장시장은 설 대목임에도 손님의 발길이 끊겨 썰렁했다. [사진 군산시청], 염지현 기자

대형 조선소가 몰려 있는 울산과 경남 거제의 지역 경제는 군산보다 피해가 더 컸다. 삼성중공업·대우조선해양 등 대기업은 지난해 대규모 인력 구조조정에 나섰고, 하청업체는 줄줄이 도산했다. 특히 울산은 조선업 구조조정으로 정규직은 3000명 이상, 비정규직은 1만2000명이 일자리를 잃었다. 울산시의 실업률은 3.9%(11월 기준 통계청 자료)로 전국에서 상승 폭이 가장 크다. 조선업 불황의 그림자는 경남 김해·창원·양산 등 인근 지역으로 퍼져가고 있다. 양산에서 10년 넘게 STX·세진중공업 등에 조선업 기자재를 납품하던 중소기업 나우도 끝내 지난해 기업재무구조 개선작업(워크아웃)을 신청했다. 도외숙 나우 대표는 “매년 60억원 이상의 매출을 올리며 안정적으로 성장한 기업이었지만 일감이 줄어드니 도저히 손 쓸 방법이 없었다”며 “최소 인원만 남겨두고 구조조정을 한 뒤 빚을 내 몇 달을 버텼지만 이조차 힘들어 회사라도 살려볼 요량으로 워크아웃을 선택한 것”이라고 말했다.

찬 바람이 부는 것은 조선 분야만이 아니다. 좀처럼 풀리지 않는 경기 침체로 ‘설 명절 특수’도 사라지고 있다. 25일 서울 종로구 광장시장에는 명절이 낀 대목인데도 장바구니를 든 주부는 손에 꼽을 만큼 보기 힘들었다. 강선희(52)씨는 “19년간 운영하던 옷가게를 접고 지난해 중국 관광객에게 인기가 많은 어묵 가게로 업종을 바꿨다”며 “외환위기 때인 1998년보다 지금이 더 힘든 것 같다”고 말했다. 녹두빈대떡·국수·김밥 등을 파는 먹거리 골목은 그나마 중국인 관광객들로 붐비고 있었다.

 

[“하루 종일 동태 두 마리 팔았다”]
반면 과거 명절 특수를 누리던 과일 가게와 한복 가게가 몰려 있는 골목으로 들어서자 썰렁했다. 상당수 상인들은 난롯불을 쬐며 우두커니 앉아 있었다. 2대째 과일 가게를 운영하는 이상훈(42) 동원청과 사장은 “김영란법 때문인지 지난해 추석과 비교하면 30~40% 이상 매출이 줄었다”며 “예전엔 손님들로 가게 안이 꽉 차서 난로를 둘 공간조차 없었다”고 들려줬다.

생선 가게도 한산하긴 마찬가지다. 50년 넘게 한 음식점 앞에서 생선 노점상을 해왔다는 최모(71)씨는 “오전 4시에 나왔는데 하루 종일 동태 두 마리 판 게 전부”라며 “손님들이 가격만 물어볼 뿐 도무지 지갑을 열지 않는다”고 말했다. 경기도 안양시 평촌에서 장을 보러 온 강미경(65)씨는 “대형마트보다는 재래시장이 덤도 주고 깎아주는 것도 있어서 일부러 찾아왔는데 이곳도 비싸긴 마찬가지”라며 “가족들이 좋아하는 빈대떡 재료를 샀는데 지난해 추석 때보다 가격이 오르고 양도 줄어든 것 같아 속상하다”고 말했다.

 

0000025906_003_20170127004107068.jpg?type=w540

[계란 한 판 1만원, 무 하나에 3000원]
경기 침체로 소득은 제자리인데 식품과 생필품, 각종 서비스 요금만 치솟고 있다. 서민들 살림살이가 갈수록 팍팍해지는 이유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으로 전국 2인 이상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444만5435원으로 1년 전(441만6469원)보다 0.65% 늘어나는 데 그쳤다. 반면 서민들이 체감하는 장바구니 물가 상승 폭은 3.2%다. 1%대인 공식 물가 상승률보다 세 배나 높다.

한국물가협회가 지난 11일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4인 가족 기준 설 차례상 비용은 20만6020원으로 지난해보다 5.2%(1만100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총 29개 조사품목 중 17개 품목의 가격이 올랐다. 특히 계란(30개 특란)은 조류인플루엔자(AI) 사태로 1년 전보다 109% 오른 9870원이다. 쇠고기 양지(400g)와 돼지고기 삼겹살(1㎏) 값 역시 8% 이상 올랐다. 주부 김정애(67·서울 서초동)씨는 “며칠 전에 차례상 준비를 위해 대형마트에 들렀는데 1000원이면 살 수 있었던 무 하나 값이 3000원을 넘어서 깜짝 놀랐다”고 말했다.

금융전문가들은 지금처럼 소비·투자·수출이라는 세 가지 성장 기둥이 무너지면 외환위기보다 더 혹독한 위기가 올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변양규 한국경제연구원 거시연구실장은 “요즘 20대 젊은이들마저 지갑을 닫기 시작했고, 대선을 앞둔 기업은 더욱 투자를 줄일 것”이라며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무역 마찰로 수출까지 타격을 받으면 한국도 일본처럼 장기 불황이라는 퍼펙트스톰(Perfect storm)에 직면하게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오정근 건국대 금융IT학과 특임교수는 “불황이 지속되면 근근이 버텨오던 자영업자나 서민들이 한순간에 쓰러질 수 있다”며 “정부는 하루빨리 국정 공백에서 벗어나 기업이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물가 관리에 나서는 등 민생을 챙겨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60년 넘게 발전시켜 온 대한민국을 한순간에 송두리째 뿌리부터 흔들어 버리는 박근혜 경제관리 클라스 ~~~~~~~~~~

이런걸 뽑아놓은 국민성 민도도 클라스 ~~~~~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AD LS증권 해외선물 수수료 $2.49 할인 이벤트 운영자 24/01/01 - -
AD [삼성선물]제로데이옵션 무료이벤트 운영자 24/06/03 - -
1486981 국민연금 고갈되면 정부상대로 고소가능하냐 [1] ㅇㅇ(182.222) 17.04.11 71 0
1486979 손석희 박지원 인터뷰를 보니 구도가 잡히는 듯 [2] 로동신문(61.148) 17.04.11 456 0
1486976 이거봐 시벌...ㅋㅋ [12] ㅇㅇ(223.33) 17.04.11 582 0
1486973 떡방 아재가 대기업퇴사후 떡방한다는데 알고보니 개양아취인경우 [6] ㅇㅇ(158.58) 17.04.11 254 0
1486972 나도 처음엔 게임돌렸거나 인터넷사업자인줄 알았지 [2] ㅇㅇ(223.33) 17.04.11 116 0
1486970 개돼지들에게 형이라 불러 하는순간ㅋㅋㅋㅋㅋㅋㅋㅋㅋ [1] Ass(61.73) 17.04.11 152 11
1486969 근데 원룸건물할빠에 상가가 좋지않나여? 조물주위에건물주위에하쯔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4.11 84 1
1486967 다마스 내일 팝니다 [1] ㅇㅇ(27.100) 17.04.11 75 0
1486966 유식이 헛좆질땜에 디씨질도 접어야 할때가 온거 같다 [4] ㅇㅇ(219.255) 17.04.11 195 1
1486964 아재들의 경험담은 언제나 신선하네요 조물주위에건물주위에하쯔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4.11 73 0
1486963 내가 원룸이거사고 한놈 깜빵보냄..하지만 역대급 [5] ㅇㅇ(223.33) 17.04.11 272 0
1486962 세입자 잘해줄 필요없다고? [8] 조물주위에건물주위에하쯔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4.11 451 1
1486961 ㅋㅋ 내가 원룸이거 사고 3년간 손해본금액이 [1] ㅇㅇ(223.33) 17.04.11 239 2
1486960 사실 정치에 있어서 개돼지보다 자식문제에 진짜 개돼지가 많다 ㅇㅇ(182.222) 17.04.11 66 0
1486959 생선장수 정한영 아는분 [1] 김무식(223.62) 17.04.11 214 0
1486958 부갤 한지 3년 8개월 됐나? [2] 123(14.63) 17.04.11 124 0
1486957 남자등쳐먹는데 여자들 돈이백 쉽게 쓰지요 ㅇㅇ(27.100) 17.04.11 86 0
1486956 성격좆같은년은 어떤남자에게든좆같다vs상대에따라 완전다르게변한다 뭐가맞냐 (220.119) 17.04.11 49 0
1486955 진짜 50넘었는데 2억도 없으면 뭐냐 그건? [3] ?(61.77) 17.04.11 157 2
1486954 아는 년 카톡 프로필 사진들 [8] 마레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4.11 763 1
1486953 야이 병쉰 생퀴들아 세입자랑 친하게 지내지마라 [6] 駱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4.11 724 15
1486952 최순실 같은 딸 낳아라 ㅇㅇ(182.222) 17.04.11 58 0
1486951 맥이 빠지네..난 없이 살아도 저리살지 않았는데 [3] ㅇㅇ(223.33) 17.04.11 117 0
1486950 도대체 누구 말이 맞는거냨?? 시밝 좆같은ㅋㅋ 駱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4.11 184 1
1486949 분당 아직 살아있네. [4] kt2010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4.11 693 1
1486948 착하게살면 누가 떡 줍니까 ㅇㅇ(27.100) 17.04.11 74 1
1486947 세입자한테 잘해주니까 다음전세재계약때 전세금올리지말란다. [1] ㅇㅇ(203.249) 17.04.11 114 1
1486946 이제 정은이가 빡쳐서 핵 스위치 땡김 됨? ㅇㅇ(223.33) 17.04.11 66 0
1486945 철근콘크리트 건물 외벽 마무리는 뭘로 하는게 무난함? [3] (124.59) 17.04.11 142 1
1486944 최순실은 얼마나 복받은 삶이냐 [5] ㅇㅇ(1.233) 17.04.11 246 0
1486943 박근혜 탄핵에 구속안됐으면 역시 개돼지들 선동에 꼴좋다고 ㅇㅇ(182.222) 17.04.11 56 0
1486942 내가 세입자들에게 참 잘하려고 노력했거든 ..근데 호구로본다 [2] ㅇㅇ(223.33) 17.04.11 184 0
1486940 이거 사장이 직원 1,2 를 각각 어케보는거냐 [1] (220.119) 17.04.11 81 0
1486938 나 아는 여자 90년대초 짱돌 쫌 던지면서 kt2010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4.11 239 0
1486937 보고배운게.. ㅇㅇ(27.100) 17.04.11 120 0
1486936 세입자 계약만료6개월전인데 나간다고함 [4] ㅇㅇ(223.33) 17.04.11 262 0
1486935 나 다니는 회사 이런데 이직해야되냐? ㅁㄴㅇ(110.5) 17.04.11 59 0
1486934 자유주의를 사랑하는 송도시민들은 안철수에 몰표줄거라고 봅니다. 송도위키(203.128) 17.04.11 109 2
1486933 건물주가 취미로 학교운영하면 괜찮을듯.. [6] ㅂㅂ(1.243) 17.04.11 200 0
1486932 송도가 살기좋지 [5] ㅇㅇ(211.36) 17.04.11 185 2
1486931 우리나라에서 가장 행복한 직업은 공무원1급 학교장이지 ㅇㅇ [8] 위대한개츠비(211.45) 17.04.11 192 1
1486930 직업별 행복도가 답이다 [4] ㅇㅇ(223.38) 17.04.11 201 2
1486929 문죄인 지지율이 35프로 이상 나오는거 죄다 조작 여론조사야 여론조사는 [1] 위대한개츠비(211.45) 17.04.11 108 0
1486928 진짜 대통령 잘 찍어야함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4.11 59 0
1486927 정은이가 중국에 핵 쏘면 어떻게 됨? [2] ㅇㅇ(124.53) 17.04.11 115 0
1486926 스펙 평가좀 해봐라 [4] 냉정하게(1.243) 17.04.11 227 5
1486925 다같이 잘살고 계층있는거보다 다같이 못살게 하겠다는 후보가 지지를더 받음 [4] Angewandte(112.133) 17.04.11 113 1
1486923 송도 서민동네 맞다 [14] ㅇㅇ(219.255) 17.04.11 383 1
1486922 트럼프가 엄창(?) 찍고 북한문제 해결한다잖아 ㅋㅋㅋ ㅇㅇ(121.133) 17.04.11 101 1
1486919 대한항공 조종사 VS 월세 600만원 나오는 건물주, 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 [6] (124.59) 17.04.11 291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