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골목 뜨고 주민 떠나기까지… 6년도 안 걸린다

ㅇㅇ(39.7) 2017.02.16 07:19:30
조회 659 추천 2 댓글 0

“2년 전부터 동네가 북적거리기 시작했습니다. 수해가 일어나고 못사는 동네라는 이미지가 사라져서 좋긴 합니다. 하지만 임대료가 빠르게 올라 쫓겨날까 걱정이에요.”

지난 14일 서울 마포구 망원동 포은로(망원시장 인근)에서 만난 서모(52·여)씨는 옷가게 재계약을 앞두고 마음을 졸이고 있었다. 지난해 상가 임대료는 3.3㎡(1평)당 10만 3090원으로 2015년보다 21.1% 올랐다.SSI_20170215182501_99_20170216033736.jpg?type=w54015일 한 시민이 상권이 발달하면서 원주민과 기존 상인이 내몰리는 젠트리피케이션 초기 단계로 평가되는 서울 마포구 망원동의 골목길을 걷고 있다.최해국 선임기자 seaworld@seoul.co.kr이곳은 상권이 번창해 임대료가 치솟고 기존 상인이나 원주민이 내몰리는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조짐이 보이는 곳이다. 홍대·상수동 등 옆 동네에서 비싼 임대료를 피해 온 예술가와 사업가들이 이곳에 카페·공방·작업실·음식점 등을 열고 있다. 평일 오후 2시가 지났지만 사람들은 10평 남짓한 작은 식당과 카페 앞에 줄을 서 순서를 기다렸다. 망원시장 초입에는 빽다방·맘스터치 등 프랜차이즈가 입점했고, 골목에서는 건물의 리모델링이나 신축 공사가 진행 중이었다. 주거시설이나 미용실, 목욕탕, 세탁소, 슈퍼마켓 등 생활근린상점이 쫓겨나는 전형적인 현상도 보인다.SSI_20170215172056_99_20170216033736.jpg?type=w540●목욕탕 등 근린상점↓음식점·카페↑

1984년 신촌에서 처음 감지된 현상은 지금까지 14개 지역에서 나타났다. 이 중 8곳이 2010년대에 발생했다. 박진아 한양대 도시공학과 교수팀의 ‘상업용도 변화 측면에서 본 서울시의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속도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젠트리피케이션이 발생해 이미 진행된 곳은 11개였다. 박 교수는 망원동, 영등포구 문래동, 종로구 이화동을 현재 초입 단계이며 향후 심화가 우려되는 지역으로 꼽았다.

음식점과 카페가 급증하는 반면 생활근린상점은 줄어드는 정도로 젠트리피케이션 시작점을 파악했을 때 서대문구 신촌이 1984~1986년으로 가장 빨랐고 종로구 대학로(1985~1987년), 강남구 압구정 로데오(1990~1992년) 순이었다. 2000년대에는 종로구 삼청동, 마포구 홍대앞, 강남구 가로수길 등이 뒤를 이었고 2010년대에는 용산구 경리단길, 종로구 서촌, 마포구 연남동, 용산구 해방촌, 성동구 성수동 등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생겨났다. 초입 단계 3곳까지 합하면 14곳 중 57.1%(8곳)가 2010년 이후에 집중돼 있다.

최근 들어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은 예전보다 빠른 속도로 동네를 변형시킨다. 박 교수는 “홍대나 대학로가 20여년에 걸쳐 상업화가 진행됐다면 최근에는 그 속도가 5~6년으로 급격히 빨라지고 있다”며 “정책을 펼치기도 전에 부작용이 커져 버릴 수 있다는 의미”라고 진단했다.

실제 망원동은 초기 단계이지만 세입자들이 서대문구 명지대 앞, 지하철 6호선과 연결된 은평구 응암역·새절역 등으로 떠나는 상황이다. 2014년 홍대를 떠나 망원동으로 미술 작업실을 옮겼다는 최모(33)씨는 “두 달 뒤가 재계약인데 건물주가 월 임대료를 45만원에서 60만원으로 올린다고 했다”며 “응암역 쪽으로 작업실을 알아보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10년간 부동산 중개소를 운영한 서모(42)씨는 “권리금을 받는 점포도 생겼고, 임대료를 20~30% 정도 올린 곳도 꽤 있다”며 “하지만 건물주들은 수십년간 낙후된 곳이 이제서야 주목받기 시작했기 때문에 반길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급격한 생활근린상점의 쇠퇴는 거주자의 불편으로 돌아온다. 종로구 서촌의 경우 2011년부터 2년간 근린상점이 14.7% 줄었고 서양식 음식점은 41.4%, 카페 및 베이커리는 72.2% 늘었다. 2009년 서촌에 이사 온 우모(32)씨는 “동네의 독특한 분위기 때문에 살기 시작했지만 지금은 세탁소나 슈퍼마켓을 찾기 위해 20분 넘게 걸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젠트리피케이션 지역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은 내놓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임대료의 급격한 상승, 임대상인 및 전월세 거주민의 이전, 동네 문화의 변형과 같은 부작용이 문제지만 오랜 기간 살아온 원주민들의 개발이익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강남은 개발되고 낙후된 동네는 그대로 살란 말이냐’는 불만이 대표적이다.

●용산 ‘T자 골목’ 임대료 동결 등 상생

소위 ‘뜨는 동네’에 상업시설이 들어서고 임대료가 오르는 현상을 인위적으로 막기는 어렵지만 급격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상생 시도’들도 있다. 용산구 이태원의 ‘T자 골목’은 20~30년 된 미장원, 슈퍼, 세탁소와 막 들어선 고급 부티크, 카페, 서양음식점의 상인들이 모여 공생하는 곳으로 유명하다. 지난해 11월에는 이태원 해방촌의 건물·토지 소유주 44명과 임차인 46명 전원이 향후 임대료를 6년간 동결하는 상생협약을 맺었다. 서울시도 건물주에게 리모델링비(3000만원)를 주는 대신 임대료 상승 폭을 제한하는 ‘장기안심상가’를 운영한다.

남기범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는 “임대료를 감당하지 못해 거주민이 사라지면 상업 공간만 남게 되며 결국 동네 자체가 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여러 대안을 실험하는 노력을 계속해야 한다”고 말했다.

추천 비추천

2

고정닉 0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AD 삼성선물의 제로데이, 다른데랑 뭐가 달라? 운영자 24/06/18 - -
AD LS증권 해외선물 수수료 $2.49 할인 이벤트 운영자 24/01/01 - -
1525835 방이동 올선 붇카페 훌리질 [1] (223.38) 17.06.03 240 6
1525834 부자고 서민이고가 사실 중요한게 아니다 [3] ㅇㅇ(61.101) 17.06.03 317 1
1525833 최저임금 상승 정규직화 몰아붙이기 이제 물가 상승할 일만 남았어 ㅗㄴ(211.213) 17.06.03 138 4
1525832 조경이 쩌는 집 추천좀.. [10] ㅇㅇ(223.62) 17.06.03 365 0
1525831 나는 누구입니까?인생이뭐에요? [2] ㅇㅇ(211.223) 17.06.03 90 0
1525830 붇카페 눈팅하다가 개념글 발견하고 공유한다 [2] 에도가와(110.9) 17.06.03 1316 0
1525829 입주대란이 다가옵니다만 ㅇ ㅇ ㅇ ㅇ ㅇ ㅇ ㅇ [2] ㄴㄴ(175.253) 17.06.03 507 1
1525828 사드 배치 취소 조금이라도 보이면 [8] ㅇㅇ(27.1) 17.06.03 666 16
1525827 엘스가 위치 좋더라. [1] 66(121.135) 17.06.03 430 4
1525826 저소득층이 부동산에 편승 못하는 이유 [2] ㅇㅇ(210.91) 17.06.03 545 7
1525825 행복에 이르는 방법은 간단하다 ㅇㅇ(210.91) 17.06.03 186 7
1525824 엘스 13.8은 언제 뜰까 [3] 그니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6.03 239 1
1525823 십년차 리센 13.3실거래 됐네 ㄷㄷ [3] 그니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6.03 240 0
1525822 한국인들은 근시안적이고 즉흥적이고 기회주의적이다 [4] ㅇㅇ(210.91) 17.06.03 287 20
1525821 사람은 지혜와 용기와 도덕이 필요하다 [1] ㅇㅇ(210.91) 17.06.03 170 7
1525820 여자에게 고차원적인걸 기대하는 놈이 잘못이다 [1] ㅇㅇ(210.91) 17.06.03 315 15
1525818 올선부심 대단 ㄷㄷㄷ [25] ㅇㅇ(61.101) 17.06.03 1392 15
1525817 병신들 지랄을 해라 36500(61.74) 17.06.03 120 0
1525815 오늘 일본 뉴스에 올라온 컬럼 [5] ㅇㅇ(112.169) 17.06.03 474 3
1525814 지금 꼭지맞다.eu [4] ㅇㅇ(158.58) 17.06.03 551 4
1525813 한서희가 네이트판에 올린글 [3] 1(58.232) 17.06.03 923 3
1525812 집10억 70%대출받은거가 빚없는 삼천만원보다 더 위험한취급받냐 ㅇㅇ(223.38) 17.06.03 150 0
1525811 근데 결혼은 죽어도 싫은데 딸내미는 키우고 싶은거 이상하냐? [11] ㄹㅇㄴ(175.211) 17.06.03 317 3
1525810 스위스는 가계자산이 많나보네 gdp대비 가계부채비율 존나높아도 잘사네 ㅇㅇ(223.38) 17.06.03 83 0
1525808 원더우먼 남자주인공 죽는다며? 진짜냐? ㅇㅇ(223.38) 17.06.03 83 0
1525805 가계부채를 총액만 계산하는 나라가 어디있냐? ㅇㅇ(223.38) 17.06.03 121 0
1525804 전세대출이 대출비율도 높고 이자만 갚아도 된다고 전세살더라 [1] ㅇㅇ(223.38) 17.06.03 169 0
1525802 은평 롯데몰에 백화점 입점 안했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 밍밍(211.215) 17.06.03 333 0
1525801 대출규제,부동산규제로 돈줄죄봐라 요즘같은 주식장에서 돈벌겠냐? [1] ㅇㅇ(223.38) 17.06.03 90 0
1525800 다우지수가 또 사상최고치냐? 등기칠까? ㅇㅇ(223.38) 17.06.03 83 0
1525799 부촌의 가장 중요한 조건이 있습니다 [6] ㅇㅇ(27.1) 17.06.03 611 4
1525798 부동산으로 5프로든 10프로 먹든 50프로먹든 ㅁㅁ(39.7) 17.06.03 116 1
1525797 남자는 결혼 늦게 해야 하는 이유 = 수명연장 = 돈 = 대가족 간병 [1] d(124.59) 17.06.03 208 2
1525796 서울 최고의 한강뷰는? [4] ㅇㅇ(27.1) 17.06.03 478 1
1525795 부동산이 쉬워보이지만 진짜 엄청나게 어려운거임 [4] ㅁㅁ(39.7) 17.06.03 658 4
1525794 근데 궁금한게 전세입자는 진짜 어떡하냐? [3] ㅇㅇ(210.91) 17.06.03 296 5
1525793 얼라! 일산 진짜 오르네.. ㅇㅇ(218.52) 17.06.03 464 2
1525792 한때 동네 빨러로서 ㅇㅇ(117.111) 17.06.03 78 0
1525791 2006년 정자주복, 2012년 과천, 2017년 서판교 살고 있는데 [6] ㅇㅇ(116.122) 17.06.03 670 0
1525789 93년도에 2.5억 주택이 [8] ㅁㅁ(39.7) 17.06.03 501 2
1525788 부갤형제들 기뻐하십시오 정유라공주님 영장기각이랍니다.jpg [3] dd(210.104) 17.06.03 359 7
1525787 정자동 주복 얼마임?? [2] 밍밍(211.215) 17.06.03 461 0
1525785 예전에 연예인 스폰뛰는거 봤다 [5] 발근해(222.110) 17.06.03 704 1
1525783 과천 썩다리 주공 분양가 1억도 안했잖아 [1] ㅇㅇ(110.70) 17.06.03 190 0
1525781 한강변 아파트 단점 [21] ㅇㅇ(79.137) 17.06.03 1633 21
1525780 우리 집안 재산 얼마있다 그런 말 존나 웃기지않냐 (125.184) 17.06.03 209 1
1525778 여자가 스폰맛을 한번보면 회사도 못다닌다 ㅇㅇ(110.70) 17.06.03 372 8
1525777 마포가 강남을 넘봐???? [3] 밍밍(211.215) 17.06.03 244 1
1525774 상속받을게 2억이면 ㅇㅇ(14.34) 17.06.03 92 0
1525773 과천 vs 마포 [2] ㅇㅇ(210.222) 17.06.03 209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