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늙어가는 서울] ① 20년 넘은 노후 지하철 달리고 도로는 함몰

ㅇㅇ(175.223) 2017.02.18 11:19:48
조회 467 추천 0 댓글 2

GYH2017021800020004400_P2_20170218110204272.jpg?type=w540

서울 주요 인프라 반세기…노후화로 곳곳서 '경보음'

메트로 전동차 절반 이상 20년 넘어…5년간 도로 함몰 4천건 육박

<※ 편집자 주 = 대도시 노후 기반시설 정비에는 새로 짓는 데 버금가는 막대한 예산이 들어갑니다. 이 때문에 도시가 안고 있는 위험이 커지는데도 손 보는 속도는 더디기만 합니다. 게다가 서울은 인구 천만이 사는 수도임에도 국가 차원에서는 사실상 지원이 없습니다. 이제는 낡은 시설을 점검하고 대대적으로 보수하거나 아예 뜯어내고 새로 지어야 하는 시기가 됐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연합뉴스는 인구 천만 도시 서울의 안전과 대책을 살펴보는 3건의 기획기사를 송고합니다.>

(서울=연합뉴스) 최윤정 김동규 이태수 기자 = 서울이 급속히 노후화하고 있다. 1970년대 고속성장 시기 속속 들어선 주요 기반시설은 어느덧 사용 기간이 반세기를 향해 달려가고 있다.

꼭 1년 전 내부순환로 정릉천 고가에서 시설 파손이 발견돼 한동안 교통이 통제된 일은 단적인 사례다. 해빙기 안전점검 중에 우연히 발견하지 않았다면 대규모 참사로 이어질 뻔했다.

이 같은 현상은 지하철, 도로, 교량, 하수도에 이르기까지 주요 시설에 걸쳐 다방면으로 벌어지는 중이다.

AKR20170217189700004_01_i_20170218110204256.jpg?type=w540지난달 잠실새내역 사고 당시 사진 (연합뉴스 자료 사진)

◇ 사고 끊이지 않는 서울 지하철…25년 넘은 노후 전동차도 600량

1974년 개통한 '천만 시민의 발' 서울 지하철은 올해로 개통 44년째다. 

1∼4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메트로 보유 전동차 1천954량 가운데 21년 이상된 전동차는 1천184량으로 절반이 넘는다. 이들의 평균 사용연수는 16.9년에 이른다.

2호선이 500량으로 가장 많고, 4호선 418량, 3호선 150량, 1호선 64량 순이다. 

평균 사용 연수로는 4호선이 21.2년으로 가장 오래됐고, 1호선 19.4년, 2호선 17.3년, 3호선 11.3년 등이 뒤따랐다.

특히 1989∼1992년 도입돼 25년이 넘은 노후 전동차도 600량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1989년 도입한 1호선 64량과 2호선 78량은 사람 나이로 치면 29살이나 된다.

이 때문인지 최근 서울 지하철 사고는 1990년대 지어진 5∼8호선보다는 낡은 1∼4호선에서 집중됐다.

2014년 5월에는 2호선 상왕십리역에서 열차가 추돌해 477명이 다쳤고, 지난해 1월에는 4호선 한성대∼성신여대 구간에서 전동차가 고장 나 승객 800여 명이 대피하는 소동이 빚어졌다.

지난달에는 1990년 11월 생산한 28년된 전동차가 2호선 잠실새내역에서 불꽃을 일으켰다.

물론 기관사 과실 등 다른 요소가 개입했을 여지도 있다. 그러나 시설 노후화가 진행될수록, 안전사고 위험도 커질 수 밖에 없는 것 또한 현실이다.

실제로 잠실새내역 사고 전동차는 2015년 9월 부품을 해체해 들여다본 뒤 다시 조립하는 '전반검사'를 거쳤고, 지난 연말과 지난달 '월상검사'와 '일상검사'도 각각 통과했다.

수차례 검사에서 이상이 없더라도 전동차와 시설 노후화로 인해 언제든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국내 전동차의 내구연한은 철도안전법 제정 당시 15년으로 정했지만, 점점 늘어나다가 2014년 규제 완화 정책의 하나로 아예 없어진 바 있다.

이에 따라 도입된 지 20∼30년 된 전동차라도 고장이 날 때마다 부품을 일부 갈아 끼우고 수명을 연장하며 운행하고 있다.

김철수 한국교통대 철도차량시스템공학과 교수는 18일 "사람의 혈관이나 신경 문제가 겉으로는 보이지 않듯이, 전동차의 전기적 문제도 밖에서는 잘 알 수 없다"며 "이런 것들이 잘못돼 사고의 원인이 된다면, 이는 어찌할 도리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전동차 노후화는 상당히 심각한 수준에 와 있다"며 "사고가 난 뒤 후회하지 말고 이전에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다.

AKR20170217189700004_02_i_20170218110204259.jpg?type=w540서울 지하철 1∼4호선 20년 이상 사용 전동차 현황

◇ 도로 곳곳 뚫리고 패이고…원인은 낡은 하수관로 

서울의 도로 인프라는 1970∼1980년대 들어 급속도로 건설됐다.

특히 1986년 아시안게임과 1988년 서울올림픽을 치르며 자동차 전용도로인 올림픽도로와 강변북로 등 주요 도로망이 갖춰졌다.

세계에서 손꼽히는 번듯한 도시로 성장했지만 세월이 흐르며 곳곳에서 문제에 부딪히고 있다.

사소한 균열부터 포트홀, 울퉁불퉁 패임까지 곳곳에서 시민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노후 하수관이나 동공으로 인한 도로 함몰은 특히 안전을 위협하는 주범으로 꼽힌다. 도로 함몰 사고 4건 중 3건은 하수관로 문제 때문이다.

지난해 7월 송파구 신천동에 발생한 가로 1.2m, 세로 1.4m, 깊이 1.4m 규모 도로 함몰도 하수관로 문제였다. 하수 박스와 하수관 접합부 사이 틈이 벌어지고, 이를 통해 흙이 관로로 유입되며 땅이 꺼졌다.

서울에서 도로 함몰 사고가 5년간 연평균 771건 발생했는데 이 중 하수관로 원인이 74%였다.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서울 도로 함몰 사고가 총 3천857건인데 하수관로 문제가 2천853건이다. 특히 2012∼2013년에는 하수관로 원인 비중이 89%에 달했다.

이 같은 현상은 서울 하수관로 절반이 설치된 지 30년이 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015년 기준 하수관로 1만 581㎞ 가운데 49.7%에 달하는 5천260㎞가 30년이 넘었다.

시 관계자는 "30년 이상 하수관로가 매년 200∼300㎞ 이상 늘어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지금 당장 하수관로를 정비하지 않고 50년을 흘려보내면, 앞으로 도로 함몰 비율이 무려 14배 이상 뛸 것으로 추정한다.

AKR20170217189700004_03_i_20170218110204263.jpg?type=w540도로 함몰 (연합뉴스 자료 이미지)

◇ 30년 이상 한강 교량 9개…"서울 도로시설물 30%가 노후"

1994년 성수대교 붕괴 사고로 31명이 목숨을 잃는 비극을 겪은 뒤 정부는 교량 안전 관리를 획기적으로 강화했다.

공사 기간 단축과 비용절감을 최고 목표로 두고 산업화에 열을 올리던 시기, 설계·시공·관리를 모두 부실하게 해 겪은 비극을 되풀이하지 말자는 반성이었다.

이후 부실시공·관리는 줄었지만, 교량 연령이 해마다 높아지고 차량 통행이 급증하면서 교량에 피로감이 더해져 안전 관리 문제가 다시 화두로 떠올랐다.

현재 한강에 놓인 교량은 21개다. 이 가운데 건설한 지 30년이 넘는 다리는 성산대교와 한강대교를 비롯해 9개다.

고가차도(96개), 일반교량(478개), 지하차도(149개), 터널(42개) 등 서울시·자치구가 관리하는 도로시설물 1천156개 중 안전등급 C∼D인 시설은 56개다.

지난해 A등급에서 B등급으로 떨어진 시설은 일반교량 5개, 지하차도 7개 등 13개이고, B에서 C로 떨어진 6개 등 총 19개의 등급이 하향 조정됐다.

반면, 철거 후 전면교체, 보수 등으로 등급이 높아진 곳은 5개에 불과했다.

교량 등 시설물은 문제가 생기면 대형 인명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다.

AKR20170217189700004_04_i_20170218110204269.jpg?type=w540서울 내부순환로 (연합뉴스 자료 사진)

지난해 2월에는 내부순환로 정릉천 고가에서 중대 결함이 발견돼 한 달 동안 차량 통행을 전면 중단하고 원인 조사와 보수 작업을 벌였다.

조사결과 교량의 힘줄 역할을 하는 강연선이 부실시공 등으로 부식돼 끊어지면서, 심각할 경우 교량 붕괴까지 발생할 수 있는 중대 결함이라는 지적이 나와 가슴을 쓸어내렸다.

시는 이 같은 지적에 같은 공법으로 시공한 교량 14곳을 특별 정밀점검했다.

시 관계자는 "교량이나 지하차도 등 시의 도시기반시설 중 30년 이상 된 노후 시설물이 30% 가까이 되는 실정"이라며 "나름대로 점검·보수 계획을 세우고 있지만, 언제나 예산이 충분치 않은 실정"이라고 말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AD 삼성선물의 제로데이, 다른데랑 뭐가 달라? 운영자 24/06/18 - -
AD LS증권 해외선물 수수료 $2.49 할인 이벤트 운영자 24/01/01 - -
1526593 삼성동 힐스테이트 좋냐? [1] 촌부(183.98) 17.06.04 312 0
1526590 호날두 한골 넣넼ㅋㅋ 벙개소년(49.213) 17.06.04 47 0
1526588 미국금리인상한다는데 부동산폭락이들 조용하네 ㅇㅇ(223.62) 17.06.04 182 0
1526587 대출총량규제,dsr규제하면 현재보다 민간소비,민간투자힘들어 질텐데 [1] ㅇㅇ(223.62) 17.06.04 124 0
1526586 결혼생활중 엄청 스트레스받는 부분 있는데 상담원합니다. [41] ㅁㅁ(211.230) 17.06.04 810 5
1526585 곰팡이는 세입자 보고 물려라못하냐 [1] 가나요(223.39) 17.06.04 183 0
1526583 부산 부동산값 개 씹거품 [2] ㅇㅇ(125.184) 17.06.04 357 2
1526579 예쁜 키 169 센치여자 vs 더 예쁜 165센치 여자 [4] (220.119) 17.06.04 232 0
1526576 캥거루족이 많아지면서 이제 대형평수가 호황기를 누리지 않겠나?? [4] ㅇㅇ(1.250) 17.06.04 398 2
1526575 과천까는애들의 특징 [8] ㅇㅇㅇ(211.109) 17.06.04 746 19
1526573 부모 모실 갱제력들 만들어놓으세요 [5] ㄴr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6.04 453 2
1526571 김치찌개나 부대찌개 먹을때 여러사람 숟가락이 찌개에 들어가냐? [3] ㅇㅇ(223.62) 17.06.04 137 1
1526568 부부간 반말 비속어.. ㅇㅇ(27.100) 17.06.04 185 0
1526567 서초기생충 잠실기생충은 안됩니다 [2] ㅇㅇ(27.100) 17.06.04 167 0
1526566 강남순환로때문에 ㅇㅇ(27.100) 17.06.04 103 0
1526565 부부간관계는왜안하게되는건가요? [2] ㅇㅇ(211.223) 17.06.04 435 0
1526562 여러분 장승베기 등기치세요 [2] 보라매주민(175.198) 17.06.04 269 1
1526561 문어발교통이 뭘 하방해주는지요 ㅇㅇ(27.100) 17.06.04 77 0
1526560 정유라 불구속은 법원은 아직 버릴 거는 아니라는거다.정유라는 엄마와 가치 ㅌㅊ퓨(218.37) 17.06.04 151 0
1526559 과천 살기좋아?? [6] ㅇㅇ(180.224) 17.06.04 475 0
1526558 과천은 더욱더 개까여야지 ㅇㅇ(115.139) 17.06.04 127 1
1526557 분당에서 괜찮은곳 추천 좀 해줘봐 [6] ㅇㅇ(1.250) 17.06.04 307 0
1526556 서울 비역세권 차례지요 [1] ㅇㅇ(27.100) 17.06.04 186 0
1526555 논란 등 많은데, 한국인은 사실을 만들어 던져주면된다. 뭔말인지 ㅇ러(218.37) 17.06.04 81 0
1526554 돈많은 중년남자가 다른사람한테 귀찮게 굴더라도 aa(1.243) 17.06.04 101 0
1526552 한민구의 조아림을 문재인은 왜 숨기는지요 ㅇㅇ(27.100) 17.06.04 184 0
1526551 다 끌어모으면 4억 가까이 있는데 이걸로도 어디 갈만한곳이 없네 [7] ㅇㅇ(1.250) 17.06.04 449 0
1526550 정부청사에 집무실 넣는다는것도 뭐 생각하고 하는 [1] ㅇㅇ(27.100) 17.06.04 99 0
1526549 과천4단지 신혼집 [4] ㅇㅇ(59.14) 17.06.04 371 0
1526548 영등포vs청량리 어디가 낫냐?? [2] ㅇㅇ(1.250) 17.06.04 171 0
1526547 둔촌동 주공아파트 물건이 좋아보이네 ㅇㅇ(1.250) 17.06.04 177 0
1526545 분당은 면적이 커서 살아남을듯 [2] ㅇㅇ(110.70) 17.06.04 343 0
1526544 지방가면 최상급 신축 아파트로 살수 있는데 도저히 못 가겟다 ㅇㅇ(1.250) 17.06.04 114 0
1526543 강동구랑 영등포 둘중에 고민중이다 [6] ㅇㅇ(1.250) 17.06.04 269 0
1526542 위례과천선 이거 진짜냐?? [4] ㅇㅇ(210.222) 17.06.04 639 5
1526540 과천 깟던 솔직한내심경 [4] ㄱㄱ(175.223) 17.06.04 430 5
1526536 카선햄... 밴쿠버선봉장(219.240) 17.06.04 101 0
1526535 신도림이 2억짜리가 3억 됐던데 [3] ㅇㅇ(1.250) 17.06.04 428 0
1526534 강남 집값이 급등하는 것 맞냐? [5] ㅇㅇ(39.7) 17.06.04 613 2
1526533 서울 썩다리 18평 3억 vs 지방 신축 30평 3억 어디 갈까?? ㅇㅇ(1.250) 17.06.04 73 0
1526531 지금이야 경기도끼리 파이 앗아가며 크지만 ㅇㅇ(27.100) 17.06.04 95 0
1526530 인천 송도에 외제차가 많으니 [1] ㅇㅇ(110.70) 17.06.04 227 0
1526529 우울증 중증 [4] 초링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6.04 310 0
1526527 강동구 vs 영등포 부갤은 둘중에 어디 살래? [3] ㅇㅇ(1.250) 17.06.04 233 0
1526526 양평 전원주택 질문있다!!! 답좀 해줘.. 5442343(175.116) 17.06.04 201 0
1526525 존나부럽다. 부부금실좋은거 [14] 영등포보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6.04 621 0
1526522 7호선 논현역도 직장인들 많이 내리는 역이야? 논현(58.141) 17.06.04 110 0
1526521 1호선보다 냄새나는 집이 훨씬 많지요 [4] ㅇㅇ(27.100) 17.06.04 190 0
1526520 부천시도 중동상동은 좀 올랐는데 구도심은... 김부천(58.141) 17.06.04 185 0
1526518 여자의똥아 아무리 그래도 [2] 駱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6.04 278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