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북한 랜섬웨어 뉴욕타임즈기사번역 (며칠전꺼)

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7.05.20 13:13:29
조회 259 추천 0 댓글 0

Focus Turns to North Korea Sleeper Cells as Possible Culprits in Cyberattack
사이버공격의 배후로서 초점은 북한 잠복조직으로 

SEOUL, South Korea — They take legitimate jobs as software programmers in the neighbors of their home country, North Korea. When the instructions from Pyongyang come for a hacking assault, they are believed to split into groups of three or six, moving around to avoid detection.

그들은 그들의 조국 북한의 이웃국가들에서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머들로서 해야할 일을 수행한다. 북한정부로부터 해킹공격이 들어오면 그들은 셋이나 여섯명의 조직으로 나뉘는 것으로 생각되어지고 있다. 추적을 피하기 위함이다.

Since the 1980s, the reclusive North has been known to train cadres of digital soldiers to engage in electronic warfare and profiteering exploits against its perceived enemies, most notably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1980년대이후, 북한은, 대한민국과 미국과 같은 적들에 맞서서 전자전투와 금품착취를 수행할 디지털군인들을 양성하고 있다.
In recent years, cybersecurity experts say, the North Koreans have spread these agents across the border into China and other Asian countries to help cloak their identities. The strategy also amounts to war-contingency planning in case the homeland is attacked.

최근 보안전문가들에 의하면, 북한은, 신분을 감추기위하여, 이러한 요원들을 중국과 다른 아시아 국가들로 흩어놓았다고 한다. 이러한 전략은 또한 본국이 공격받을 경우에 대비한 전쟁대비계획이기도 한다.

Now, this force of North Korean hacker sleeper cells is under new scrutiny in connection with the ransomware assaults that have roiled much of the world over the past four days. Signs have emerged that suggest North Koreans not only carried out the attacks, but that the targeted victims included China, North Korea’s benefactor and enabler.

지금 북한의 해커 잠복조직들의 군사들은 지난 나흘간 세계를 휩쓴 랜섬웨어 공격과 연계되어 새롭게 조명받고 있다. 북한이 공격을 수행한 것 뿐만 아니라 그 타겟이 된 대상에 중국이 포함되었다는 흔적들이 드러났다.

While there is still nothing definitive to link the attacks to North Korea, similarities exist between the ransomware used to extort computer users into paying the hackers and previously deployed North Korean malware codes.
 
북한을 확실하게 연결지을 것은 현재 없지만, 컴퓨터사용자들로 하여금 해커들에게 돈을 지불하게 만드는 랜섬웨어와 북한이 이전에 사용한 악성코드들 사이에 유사점들이 존재한다.

Moreover, North Korea has in the past deliberately timed cyberattacks to coincide with its banned weapons tests — like the ballistic missile launched on Sunday — as a way of subtly flaunting the country’s technological advances despite its global isolation.

 뿐만 아니라 북한은 과거에 의도적으로 사이버공격들과 그들의 무기실험들(탄도미사일발사들과 같은)의 시간을 동일하게 맞추기도 했다. 국제적 고립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기술적 진보를 은연중에 과시하기 위한 것이었다.

Unlike its missile and nuclear weapons tests, however, North Korea has never announced or acknowledged its computer hacking abilities — if anything, the country has denied responsibility for hacking and other forms of computerized crimes. 그러나 미사일발사나 핵실험과 달리, 북한은 컴퓨터 해킹능력을 발표하고 인정한 적은 없다 — 북한은 해킹이나 다른 컴퓨터 범죄에 대한 책임을 부인해왔다.

It also is possible that North Korea had no role in the attacks, which exploited a stolen hacking tool developed by the National Security Agency of the United States. Early Tuesday, the Shadow Brokers, the hacking group that spread the tool and is not believed to be linked with North Korea, threatened in an online post to start a “Data Dump of the Month” club, in which it would release more N.S.A. hacking methods to paying subscribers.

미국으로부터 훔쳐낸 해킹툴을 사용한 그 공격에 북한이 역할을 하지 않았다는 것 또한 가능한 것이다. 화요일, 그 해킹툴을 뿌렸지만 북한과는 연계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 해킹그룹인 ‘그림자 브로커들’은 온라인 게시글에서 ‘그달의 데이터 덤프“ 클럽을 시작한다고 위협했다. 여기서는 돈을 지불한 사람들에게 더 많은 N.S.A.해킹방법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Security officials in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and elsewhere say it is a well-known fact that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have long trained squads of hackers and programmers, both to sabotage computers of adversaries and make money for the government, including through the use of ransomware — malicious software that blackmails victims into paying to release seized files.

 한국과 미국, 다른 국가들의 안보담당자들은, 북한당국이 오랫동안 해커와 프로그래머 부대를 훈련시켜왔고 이들은 적국의 컴퓨터들을 공격하고 북한정부를 위해 돈을 벌어야 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여기에는 랜섬웨어의 사용도 포함된다.

 

Choi Sang-myung, an adviser to South Korea’s cyberwar command and a security researcher at Hauri Inc., said that the arithmetic logic in the ransomware attacks that began on Friday and have hit more than 100 countries, including China, is similar to that used in previous attacks against Sony Pictures and the Swift international bank messaging system — both of them traced to North Korea.
하우리의 최상명은, 금요일에 시작된 랜섬웨어의 배열이 100여개국을 공격했으며 (중국도 포함), 예전에 소니 픽쳐스와 스위프트 국제은행 메시지 시스템에 행해진 공격에 사용된 것과 유사하다고 말했다. 두 공격모두 배후는 북한으로 드러났다.
 
He also said the technique used by the ransomware to erase a computer’s files resembled that used by the Lazarus Group, the name experts use to identify a North Korea group deemed responsible for the Sony assault.

 그는 또한 그 랜섬웨어에 사용된 컴퓨터 파일 삭제기술이 라자러스 그룹에 의해 사용된 것과 닮아있다고 말했다. 라자러스 그룹은, 전문가들이, 소니공격을 한 북한 조직을 이야기할 때 사용하는 이름이다.


This would not be the first time North Korean hackers have resorted to ransomware attacks. In a hack last year of Interpark, a South Korean e-commerce provider, North Korean hackers used ransomware to hijack its systems and demanded payment in Bitcoin, a digital currency.
이것은 북한해커들이 랜섬웨어 공격을 한 처음은 아니다. 지난해의 인터파크 해킹에서 북한 해커들은 랜섬웨어를 사용하여 시스템을 납치하여 비트코인으로 돈을 요구했다.

Boo Hyeong-wook, a research fellow at the government-financed Korea Institute for Defense Analyses in Seoul, said that the scale of the most recent attacks was large enough that it was likely to have been supported on a national level. 국방관련 정부출연 연구소의 연구원인 부형욱에 따르면, 그 최근 공격의 규모는 매우 커서 국가차원의 뒷받침이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He also said it would be a logical extension of the growing boldness of North Korean hackers to exploit their abilities to raise much-needed funds for the government, which has been starved of cash by international sanctions.

그는 또한 그것은 그들의 능력을 사용하여 북한당국에게 매우 필요한 자금조달을 하려는 북한 해커들의 커지는 대담함의 확대일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은 국제제재로인해 현찰이 매우 부족하다.

While North Korean hackers have for years operated out of China, defectors and South Korean officials say they have been spreading to Southeast Asian countries, where government monitoring is less intense.

북한 해커들이 오랫동안 중국 밖에서 활동해왔지만 탈불자들과 한국관리들은 그들이 동남아국가들로 퍼져있으며 그곳에서는 정부감시가 심하지 않다.

In countries like Malaysia, many North Korea hackers are believed to work undercover at information-technology companies and other jobs with the veneer of respectability. Sometimes, the hackers will also run online gambling sites or even make use of ransomware to raise funds for themselves.
말레이시아와 같은 나라들에서 북한 해커들은 신분을 감추고 정보통신회사나 그럴듯한 다른 직업에서 일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이 된다.
 때로, 그 해커들은 또한 온라인 도박 사이트들을 운영하고 또는 랜섬웨어를 사용하여 본인들을 위한 돈을 마련하기도 한다.

Cybersecurity officials in South Korea and elsewhere say that when instructions come from their superiors in North Korea, these hackers are activated to attack targets.

한국과 다른 국가들의 사이버안전 관리들에 의하면, 지령이 북한에 있는 그들의 상관으로부터 오면 이 해커들은 대상을 공격하게 된다고 한다.

North Korea began training electronic warfare soldiers well before the internet era, according to defectors and South Korean officials. They selected mathematical prodigies when they were 12 or 13 and trained them to become software developers, online psychological warfare experts and hackers.

 탈북자들과 한국관리들에 따르면 북한은 인터넷시대가 시작되기 훨씬 전부터 전자전투병사들을 양성하기시작했다. 그들은 수학천재들이 12살이나 13살때부터 골라서 그들을 소프트웨어 개발자, 온라인 심리전 전문가, 그리고 해커들로 양성했다.

 

They were also trained in foreign languages so that they could operate abroad. North Korea sends students to study in Russia and China, and more recently India, to learn software and programming techniques. They return home and some are hired as hackers.

그들은 또한 해외활동을 위해 외국어도 배운다. 북한은 학생들을 러시아와 중국, 그리고 최근에는 인도로 보내어 공부시키고 소프트웨어와 프로그래밍 기술을 배우게 한ㄷ. 그들은 고국에 돌아오고 그 중 몇은 해커로 고용된다.

The Workers’ Party and the Korean People’s Army are believed to run their own hacking operations, creating competition. That has led some to speculate that North Korean hackers sometimes leave clues behind, in part to ensure they get credit and win promotions in North Korea.

 노동당과 인민군은 경쟁적으로 그들 자신의 해킹 작전을 운용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그것은 몇몇으로 하여금 북한해커들이  공로를 차지하고 북한에서 승진을 하기위하여 때로는 흔적들을 뒤에 남겨놓는다고 추측하게 한다.

 

If the North Korean hackers were responsible for the disruptions suffered by Chinese computer users, that would constitute an extraordinary assault on North Korea’s most important neighbor.

만일 북한해커들이 중국컴퓨터사용자들이 고통받은 그 혼란에 책임이있다면, 그것은 북한의 가장 중요한 이웃국가에 대한 매우 예외적인 공격에 해당한다.

Although China is a hotbed of malware, ransomware and all sorts of other malicious computer code, there is almost no example of North Korean hackers targeting the country to raise money.

중국이 맬웨어, 랜섬웨어, 그리고 온갖종류의 악성코드의 온상이기는 하지만 , 북한 해커들이 돈을 벌려고 중국을 대상으로 삼은 적은 거의 없다.

Mr. Boo said the changing dynamic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which once described themselves as close as “lips and teeth,” could be why China was attacked.

중국과 북한사이의 관계변화가 왜 중국이 공격받았는지에 대한 이유일 것이라고 부씨는 말했다.

“China has dialed up the pressure on North Korea,” Mr. Boo said. “Pyongyang faces the increased possibility that Beijing could abandon it. It made a loud statement.”

 “중국은 북한에 대한 압력을 높여왔어요. 북한은 중국이 자신을 버릴 것이라는 가능성의 증가를 마주하고 있죠. 북한은 목소리 높여 외친 것입니다”라고 부씨는 말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AD #삼성선물 #해외선물모투대회 #총상금 #2250만원 운영자 24/06/18 - -
AD LS증권 해외선물 수수료 $2.49 할인 이벤트 운영자 24/01/01 - -
1536753 나도 36인데 순자산 6억 가까이 되는디 [4] ㅇㅇ(49.168) 17.06.12 338 0
1536752 평당 8천만원하는 한남더힐 펜트 하우스..... 무려 80억원 [6] ㅇㅇㅇ(121.172) 17.06.12 589 0
1536751 구걸하는 애한테 불쌍해서 1만원 입급했는데 [4] ㅇㅇ(175.113) 17.06.12 205 1
1536750 2+2 그런 좋은거는 전라도부터 안하고 뭐한다냐? ㅇㅇ(223.62) 17.06.12 48 0
1536749 가계 부채가 1400조인데 규제가 계속 나올거다. 이젠 부동산 상승 끝이 ㅇㅇ(61.247) 17.06.12 86 2
1536748 미사 힐스테이트 오피스텔 청약건수 [2] 밍밍(211.36) 17.06.12 568 0
1536746 재인티비씨 뉴스룸 [3] ㄱㄱㄱ(220.93) 17.06.12 113 0
1536745 2+2는 쉽지않을거같고 2+1정도가 일단 도입될거같지않냐? [2] ㅇㅇ(121.167) 17.06.12 112 0
1536744 2+2 되면 아파트 빼고는 전부 월세 아니냐 ㅇㅇ(175.223) 17.06.12 112 0
1536743 요즘은 단독주택 방범 걱정 할 필요 없지 이것만 있으면 돼 ㅇㅇ(61.247) 17.06.12 167 2
1536742 근데 과천새끼들은 왜케 예민함? [2] ㅇㅇ(175.113) 17.06.12 202 0
1536741 35살에 순자산 6억이다 [4] ㅇㅇ(110.70) 17.06.12 766 3
1536740 구걸하는 세끼가 자꾸 나타나는 이유 [2] ㅇㅇ(61.75) 17.06.12 168 1
1536738 한남 외인단지가 구조 쩔게 나오겠지 [2] ㅇㅇ(110.70) 17.06.12 172 0
1536737 일본단독은 방범 어케하지? [3] ㅇㅇ(182.222) 17.06.12 194 0
1536733 내가 더힐 임대하나 주고 있는데, [9] 유동닉(223.62) 17.06.12 325 2
1536732 부갤 명언 베스트 오브 베스트는 이거라고 보는데 [5] z(116.37) 17.06.12 630 4
1536730 아무리봐도 한남더힐이 유엔빌리지 개팰 수 있을꺼 같은대. [1] ㅇㅇ(121.172) 17.06.12 268 0
1536729 갭투자 생각보다 많지않다 전세물량이 없잖냐? ㅇㅇ(223.62) 17.06.12 72 0
1536728 이쯤에서 영등포보소님의 명언 듣고가실까요 [10] 영등포보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6.12 340 0
1536727 부갤 븅신새끼 사이타마가 무슨 개똥같은 도시로 표현하는대 [7] ㅇㅇ(121.172) 17.06.12 125 0
1536725 형들 침 먹여달라는 여자들은 뭐야 [5] ㅇㅇ(223.62) 17.06.12 395 0
1536724 부동산 아무것도 모르는 26살 청년이 3천으로 시작하려고하는데 [5] ㄴㅁㅇㄴㅁㅇ(58.122) 17.06.12 190 0
1536722 어릴 때 진보되다가 나이 들어서 보수되는건 그냥 이유가 이거다 [3] ㅇㅇ(121.172) 17.06.12 144 2
1536721 흑돼지 맛이 좋냐 [4] ㅇㅇ(223.62) 17.06.12 165 0
1536718 사이타마 단독이 레알 2,3억밖에 안함?? [1] 사이타마(58.141) 17.06.12 161 0
1536717 니네 하느님이 한남더힐 VS 유엔빌리지 둘 중에 살 수 있다면 [4] ㅇㅇ(121.172) 17.06.12 331 1
1536716 투기과열지구인가 거시기인가 그조은거는 전라도에는 왜 안한다냐? ㅇㅇ(223.62) 17.06.12 52 2
1536715 본인이 사는곳 객관적 평가지표 [3] 재규xf(110.70) 17.06.12 425 0
1536714 스케일링을 한달에 한번씩 하는데 [2] ㅇㅇ(27.100) 17.06.12 251 0
1536711 조선개돼지들이 크레딧개념이 있나용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1] Ass(61.73) 17.06.12 94 0
1536710 한남 더힐은 땅값이 비싸잖아 ㅇㅇ(110.70) 17.06.12 88 0
1536707 한남더힐은 용적률 때매 비싼거지 ㅋㅋ [1] 그리즐리베어(61.254) 17.06.12 193 0
1536706 다들 부동산 처음 시작할때 얼마 갖고 시작했음?ㅇㅇㅇ [3] ㄴㅇㄹ(58.122) 17.06.12 154 0
1536705 한남동 유엔 VS 강남 압구정,삼성동,청담동 맞짱 뜨면 누가 이기냐 ㅇㅇㅇ(121.172) 17.06.12 558 2
1536703 떼법 쓰면 안되는게 없는 조선 [3] ㅇㅇ(175.223) 17.06.12 250 6
1536702 분당 술취한 아버지 아들이 살해 ㅎㄷㄷ 168(49.168) 17.06.12 316 3
1536699 부동산 초짜들이 신축의 파워를 모르지...과천 신축 들어오면 주동이 다물 [2] ㄹㄹ(182.215) 17.06.12 530 3
1536698 한남더힐이 고급이라 비싼게 아니라 [1] 재규xf(110.70) 17.06.12 285 0
1536695 한남동 한남더힐이랑 비빌 수 있는 고급빌라 있긴 있냐?? [2] 111(121.172) 17.06.12 259 0
1536694 현금 보유시기다 , 갭투자자들은 좃되는 시기이고 [2] ㅇㅇ(61.247) 17.06.12 321 1
1536693 과천vs내곡 청계산입구역세권 [4] 과천(152.99) 17.06.12 389 0
1536692 이번 붇옹산 발표 이후 [1] 재규xf(110.70) 17.06.12 437 5
1536690 일본애들은 단독주택 말고는 멘션,아파트는 무족건 월세로 살던대 [5] ㅇㅇ(121.172) 17.06.12 288 0
1536688 과천은 제일 꼬른 슈르도 무시할 수 없지 [7] ㅇㅇ(175.223) 17.06.12 372 0
1536687 인구가 감소해도 경제규모가 그대로면 서울 집값은 하락할 일은 [1] ㅇㅇ(121.172) 17.06.12 107 0
1536685 아파트 분양 받고 싶은데 얼마 있어야 하냐? [1] 칭따오거지(175.194) 17.06.12 255 0
1536684 층간소음 못참겠으면 [2] ㅇㅇ(223.38) 17.06.12 287 0
1536683 인구감소해도 세대수 늘어나 집값 오를거라는 놈들이 간과하는거 강ㄱㄴ(103.7) 17.06.12 82 1
1536682 전용률이 높을수록 좋은건가요? ㅇㅇ(39.7) 17.06.12 77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