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금리 인상 채비 들어간 한은… '시장추종형 인상' 시나리오 유력

ㅇㅇ(175.223) 2017.06.12 15:02:55
조회 291 추천 0 댓글 1

경기회복세에 새 정부 임금 인상 정책 대응 필요

‘갭 투자’ 성행…대출 미시 규제 효과 떨어져

美 기준금리 인상으로 우호적 여건 조성

0000372472_001_20170612133031309.jpg?type=w540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2일 한은 창립 기념행사에서 “통화정책 완화 정도의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은이 통화정책 완화 기조 조정을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향후 기준 금리 인상을 고려할 수 있다는 발언을 내놓기 시작했다. 경기가 예상보다 빠르게 개선되는 상황에서 물가상승률을 감안할 경우 마이너스인 연 1.25% 기준금리를 유지할 필요가 있느냐는 것이다. 한은은 “성장 경로에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며 당장 인상에 나서지는 않겠다는 입장이지만, 4분기 이후 ‘금리 정상화’에 나설 가능성은 높아졌다.

한은이 기준금리 인상을 검토하고 있는 이유는 ▲경기 회복세가 빠르게 진행해 초저금리를 유지할 필요가 줄었을 뿐만 아니라 ▲최저임금 인상 등 새 정부의 노동친화적 정책이 예상보다 임금을 빠르게 끌어올려 물가를 자극할 가능성이 크고 ▲마이너스 실질 금리가 계속될 경우 가계부채에 대한 미시 규제가 효과적으로 작동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게다가 미국 기준금리 인상으로 장기 금리가 가파르게 오르면서,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이 금융 시장에 미칠 충격이 줄었다. 금리 인상의 효능은 커졌지만 부작용은 줄어든 상황이다.

◆ “금리 인상 깜빡이, 언제 켤 지가 가장 고민”

0000372472_002_20170612133031330.jpg?type=w540

이주열 한은 총재는 12일 서울 소공동 한국은행 별관에서 열린 창립 제67주년 기념행사에서 “앞으로 경기회복세가 지속되는 등 경제상황이 보다 뚜렷이 개선될 경우에는 통화정책 완화 정도의 조정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가능성에 대한 검토를 면밀히 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한은이 경기 회복세에 따라 긴축적 통화정책 기조로 돌아설 수 있다는 것을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총재는 기념행사 직후 기자들과 만나 ‘긴축 신호를 보낸 것 아니냐’는 질문에 “그런 해석은 예상하지 못한 것”이라면서도 “하지만 경제 상황이 개선될 경우 현재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를 조정하는 것은 당연한 것 아니냐”고 말했다.

이 자리에서 윤면식 부총재보는 “5월 25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직후 기자회견 내용보다 반걸음 정도 더 나아간 것”이라며 “미국 기준금리 인상, 보유 채권 축소 등을 고려한 발언이다”고 설명했다. 윤 부총재보는 “성장 불확실성이 크고 물가상승 압력이 없는 상황이라 당분간 완화기조를 유지하자는 게 중론”이라고 덧붙였다. 이 총재의 발언은 뚜렷한 경기 회복을 가정한 ‘조건부 발언’이라는 얘기다.

사실 한은의 속내는 조금 복잡하다. 무엇보다 임금이 내수 서비스 등의 물가를 끌어올릴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이 총재는 5월 기자회견에서 하반기에 명목임금이 다소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수출 호조에 따라 기업 수익성이 개선되고 경기 회복세가 확산되면 노동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는 게 첫 번째 이유였다. 또 이 총재는 “정부가 고용친화적인 정책을 펼 것임을 감안하면 명목임금 상승세가 빨라질 것으로 본다”고 두 번째 근거를 댔다. 현재 명목임금 상승률은 서비스업의 경우 연 2%대 정도로 물가상승률을 차감한 실질 상승률은 0%대에 머물러있다. 경기 회복에도 내수 수요 증가가 더디고, 물가상승률이 2%를 넘지 못하는 이유다.

0000372472_003_20170612133031344.jpg?type=w5402012년 이후 둔화된 명목임금 상승률은 물가상승률이 이전보다 낮게 유지되게 한 주요 요인 가운데 하나다.

한은 고위 관계자는 “새 정부가 최저임금을 대폭 끌어올릴 경우 내수 서비스 부문에서 물가가 올라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예상보다 경제회복세가 훨씬 빠른 상황에서 물가가 뛰게 되면 통화정책 기조를 다시 검토해야 한다”고 그는 덧붙였다. 금리 인상 필요성이 가시화될 경우 ‘깜빡이’를 오랫동안 켤 수 없다. “정책 신뢰도와 연결되기 때문에 신호를 보내느냐 보내지 않느냐가 아니라 언제 보내느냐가 최대 고민거리”라고 이 관계자는 말했다. 하지만 이 경우 기껏 상승세를 탄 경기에 찬 물을 끼얹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갭 투자’는 한국판 서브프라임”

물가 상승률은 가계 부채 문제와도 연결돼 있다. 지난해 하반기 이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높아지면서 4월 실질 기준금리(명목 기준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차감해 구한 금리)는 -0.65%로 떨어졌다. 한은은 올해 물가상승률을 전년 대비 0.9%포인트 뛴 연 1.9%로 전망한다. 한은이 금리를 올리지 않을 경우 현 수준의 마이너스 기준금리가 유지되는 셈이다. 한은이 실질 기준금리를 장기간 마이너스 상태로 놓는 것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9년만이다. 게다가 대출 금리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 금리는 연 1.46%(신규 취급액 기준)인데, 실질 금리 수준은 0.21%에 불과하다. 코픽스는 지난해 6월 기준금리 인하 이후 신규 예금 금리가 계속 낮아지면서 사상 최저 수준을 경신하고 있다. 비정상적으로 낮은 실질 금리를 정상화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0000372472_004_20170612133031359.jpg?type=w540한은은 가계소득, GDP와 비교해 가파르게 늘어난 가계대출이 소비를 위축시키는 등 거시경제에 구조적인 장애물이 되었다고 보고 있다.
아파트 매매 가격과 전세금의 차액(差額)을 투자금으로 아파트를 사들이는 ‘갭(gap) 투자’는 주택 가격 상승 기대와 싼 대출 금리가 맞물려 발생한 현상이다. 한 한은 고위 관계자는 갭 투자에 대해 “차주(借主) 신용을 고려치 않고 주택 담보 가치만 보고 무분별하게 돈을 빌려준다는 게 미국의 ‘서브프라임’ 대출과 닮았다”고 우려를 표시했다.

게다가 대출 비용(금리)이 크게 낮아진 상황에서 DTI(총부채상환비율), LTV(주택담보인정비율) 기준 강화 등 은행 문 턱을 높게 만드는 미시 규제가 어느 정도 효과를 받을 수 있느냐는 문제도 불거질 가능성이 크다. 미시 규제로 특정 형태 대출을 어렵게 만들 경우 약간의 가산 금리를 감내하더라도 다른 방식으로 대출을 받는 게 성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하반기 비은행예금취급기관(제2금융권)의 가계대출이 크게 늘었던 상황이 확산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한은 고위 관계자는 “통화정책 등 거시건전성 정책과 DTI·LTV 등 미시 규제가 모순된 것은 아니다”며 “미시 규제를 쓰다가 안되면 금리 인상 등을 통해 대응 할 수 있지 않겠는가”라고 말했다.

◆‘시장 추종형’ 금리 인상 시나리오 유력

0000372472_005_20170612133031373.jpg?type=w540

한은과 경제학계에서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릴 경우 물가는 0.05%포인트, GDP(국내총생산)는 0.03%포인트 정도 하락한다고 보고 있다.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상에 나서기까지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이라는 ‘신호’만 줄 수 있다면 대출 금리를 끌어올리면서도 경제에 충격을 덜 줄 수 있다는 판단도 가능하다.

미국 기준금리 인상은 한은의 향후 ‘금리 정상화’ 행보에 유리한 여건으로 작용한다. 한은 기준금리는 단기 금리에, 미국 국채 금리는 10년 이상 장기 금리에 큰 영향력을 갖는다. 미국 FRB(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금리를 6월과 9~12월 각각 한 차례씩 총 0.5%, 내년에 추가로 0.75%포인트 정도 올릴 경우 국내 채권 시장에서 10년 이상 국고채 금리도 그만큼 뛰게 된다. 이렇게 장기 금리가 올라간 상황에서 단기 금리를 인상하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2016년 9월 말 0.093%포인트까지 좁혀진 국고채 10년물과 1년물의 금리차(스프레드)는 5월 중순 0.835%포인트까지 벌어졌다. 같은 기간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0.908%포인트, 1년물 금리는 0.166%포인트 상승했다. “채권 시장에서 장기 금리가 충분히 오르고, 단기 금리도 일정 정도 상승했을 때 이를 추종해 기준금리를 소폭 올린다면 금융 시장을 냉각시키지 않을 수 있다”는 게 한은 내부의 시각이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AD #삼성선물 #해외선물모투대회 #총상금 #2250만원 운영자 24/06/18 - -
AD LS증권 해외선물 수수료 $2.49 할인 이벤트 운영자 24/01/01 - -
1559214 부까흥 [2] ㅇㅇ(223.62) 17.07.03 220 0
1559213 고덕 하면 서민 분위기지 ㅇㅇ(175.223) 17.07.03 79 0
1559211 송도에 스탠퍼드대 들어온다ㄷㄷㄷㄷㄷㄷㄷ [2] ㅇㅇ(211.36) 17.07.03 361 2
1559210 과천이 고덕보다 소득수준 높지 [1] ㅇㅇ(175.223) 17.07.03 211 0
1559209 고덕까는사람 특징 ㅇㅇ(223.62) 17.07.03 126 0
1559208 고덕 = 거지동네 [1] ㅇㅇ(175.223) 17.07.03 131 0
1559207 4년전 예언자 [1] ㅇㅇ(223.38) 17.07.03 416 4
1559206 그래도 고덕이 한가지만큼은 정말 입지가 좋은듯 [1] ㅇㅋ(165.228) 17.07.03 221 1
1559205 광교 서울서 너무 먼거 아님? [1] ㅇㅇ(223.62) 17.07.03 204 0
1559203 송도에 제네시스 왜이리 많지?? [3] ㅇㅇ(175.223) 17.07.03 285 0
1559202 개포 재건축 완료 될때가 부동산 정점일듯 [1] ㅇㅇ(175.223) 17.07.03 248 0
1559201 다산 미사 위례 [1] 돌다리헌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03 401 0
1559199 강남 4구할꺼면 강동구가 아니라 동작구지 ㅋㅋㅋ [3] ㅇㅇ(165.228) 17.07.03 308 5
1559198 미래의 강동구 교통 [3] ㅇㅇ(223.62) 17.07.03 349 0
1559197 근데 고덕에 누가가서 살아? 실수요자가 없을텐데? ㅇㅇ(165.228) 17.07.03 89 0
1559196 서쪽 신축에 흑석, 마곡 하다 못해 동쪽에 천호도 있는데 고덕? [1] ㅇㅇ(175.223) 17.07.03 173 0
1559195 불같은 사랑이 박살 났을 때 불같은 증오가 이는 법 ㅇㅇ(223.62) 17.07.03 102 0
1559194 고덕은 직주근접성 너무 떨어진다 [8] 밍밍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03 389 1
1559190 이케아로 희망에 찬 강동구 ㄷㄷㄷ [3] ㅇㅇ(14.200) 17.07.03 382 1
1559189 고덕 상업업무복합단지 VS 마곡 M밸리 [10] ㅇㅇ(175.223) 17.07.03 551 0
1559188 기래기들 여론몰이란...참... [9] 駱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03 995 29
1559187 그냥 13구역처럼 임대아파트 존을 만들면 안되냐 ㅇㅇ(14.200) 17.07.03 90 0
1559186 고덕훌리들 특징 [2] ㅇㅇ(14.200) 17.07.03 145 0
1559185 친서민 민주당 [2] 돌다리헌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03 236 6
1559183 창남 스팩>>>> 안드로메댜 >>> 창년 스팩 (223.62) 17.07.03 72 0
1559182 고덕에 업무지구 들어온다는게 애매한 업무지구다 [2] ㅇㅇ(14.200) 17.07.03 273 2
1559181 입지좋은데 오래된 다가구 하나 사다가 [2] ㅇㅇ(14.200) 17.07.03 292 1
1559180 나도 남자걸레하고싶은데 와꾸가안돼서 못함 [1] ㅇㅇ(14.200) 17.07.03 243 0
1559179 남자가 몸파는게 어려운이유 [1] ㅇㅇ(223.62) 17.07.03 416 2
1559178 남자도 개나소나 몸 파는게 가능했으면 [1] ㅇㅇ(125.182) 17.07.03 186 1
1559177 여기가 그 유명한 고덕갤인가요? ㅇㅇ(14.200) 17.07.03 72 0
1559176 고덕은 너무비싸다 [3] 168(49.168) 17.07.03 221 0
1559175 20년전에도 몸팔고 다닌 개갈자 한남충들 [2] ㅇㅇ(211.172) 17.07.03 276 1
1559174 사실 남자키 얼굴보다 중요하냐? [5] -CooLuc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03 355 0
1559173 대치동 진짜 살기 좋다 등기쳐라 [4] ㅇㅇ(125.182) 17.07.03 465 1
1559172 압구정에서 대치동으로 넘어가는듯 [2] ㅇㅇ(125.182) 17.07.03 573 0
1559171 수능 절대평가 땐… 1등급 최고 5배로 늘어 ㅇㅇ(1.233) 17.07.03 147 0
1559170 송도는 뭔가 ㅇㅇ(175.223) 17.07.03 201 0
1559169 압구정 현대 위치에 반포 아리팍 생기면 얼마하는거냐? Angewandte(211.192) 17.07.03 249 0
1559168 흔한 강남 건물주의 침수 대처법 [1] -CooLuc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03 555 0
1559166 자급자족하는 인간이 아닌이상 사람이 돈이 없다는건 장애인과 비슷한거다 ㅇㅇ(1.233) 17.07.03 136 0
1559165 빌라에서 실거주 하면 빌라값은 안오르냐? [1] ㅇㅇ(125.182) 17.07.03 240 0
1559164 분당 일산 아파트 엄청 오래됐네 ㄷㄷㄷ [3] 밍밍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03 487 0
1559163 월400 나오는 건물은 요새 얼마냐? ㅇㅇ(125.182) 17.07.03 168 0
1559160 비오니 좋네요 ㅎㅎ 부갤의 현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03 110 0
1559156 2분기경제성장률이 어떻게 되냐? ㅇㅇ(223.62) 17.07.03 63 0
1559153 인성이 좋아지는 방법 있을까요? [2] 토마토(221.167) 17.07.03 302 0
1559152 1인 기준. 은퇴 후에도 사람답게 살 수 있는 최소수준 [8] ㅇㅇ(58.232) 17.07.03 531 2
1559150 요즘 월700나오는 건물 얼마냐? [1] ㅇㅇ(125.182) 17.07.03 284 0
1559149 수원시 권선자이e편한세상 갭투자 어떠냐? [1] ㅇㅇ(1.232) 17.07.03 359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