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우이신설선' 타보니…"북한산 가자" 등산객으로 '북적'

ㅇㅇ(175.223) 2017.09.02 17:15:22
조회 569 추천 2 댓글 2

[머니투데이 남궁민 기자] [동대문구 신설동부터 강북구 우이동까지 20분…고령자 많아 '수익성 우려']

0003928800_001_20170902114825750.jpg?type=w540
우이신설선 내부. 무인으로 운영돼 전면이 뚫려있다. /사진=남궁민 기자

"열차 왔네, 타자!" 선캡을 눌러쓰고 형형색색의 등산복을 입은 한 중년 여성이 플랫폼으로 들어오는 녹색 우이신설선 열차를 보고 일행들에게 외쳤다. 스크린도어가 열리자 비슷한 차림의 등산객들은 열차에 올라탔다. 열차 두량 길이의 짧은 플랫폼에는 비슷한 복장의 등산객들로 이른 시각부터 가득했다. 

2일 오전 5시 30분. 서울시 동대문구 신설동부터 강북구 우이동을 잇는 '우이신설선' 첫 차가 운행을 시작했다. 우이신설선은 강북구 우이동~동대문구 신설동을 총 13개 정거장(11.4㎞)으로 연결한다. 열차의 종착지는 북한산 산행의 출발지로 각광받는 우이동 북한산 입구 근처(북한산우이역)다. 

◇등산객으로 '북적'…'북한산선'이라 부를만

열차는 등산복 차림의 시민들로 붐볐다. 신설동역에서 출발해 북한산우이역까지 가는 동안 젊은 승객들이 성신여대나 덕성여대 등 대학가 근처 역에만 간혹 하차했을 뿐, 중간에 내리는 승객은 많지 않았다. 신설동역에서 열차를 탄 김진숙(56)씨는 "평소에도 산행하러 자주 갔는데, 전철이 뚫려서 너무 좋다"며 "버스나 자가용을 타고 가던 주변 사람들도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0003928800_002_20170902114825804.jpg?type=w540
투명하게 뚫려있는 전면을 호기심에 바라보는 시민들 /사진=남궁민 기자



열차에 타자 기존 지하철과 다른 내부 모습이 눈길을 끌었다. 우이신설선은 운전사가 없는 '무인열차'다. 열차 앞 쪽엔 운전석 대신 투명한 창이 있었다. 창 주변엔 바깥을 보기 위해 몰려든 시민들로 북새통을 이뤘다. 이 모습을 지켜본 한 시민은 "인건비가 적게 들겠다"고 말했지만 대화를 나누던 시민은 "위험하지 않겠냐"며 걱정을 드러냈다. 박 모씨는 "의정부 경전철이나 부산 무인 지하철 고장 보도를 접한 적 있다"며 "운전자가 없다고 생각하면 아무래도 불안한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이 같은 우려를 반영해 개통 후 한 달여간 열차당 1명의 승무원을 배치한다는 방침이다.

열차 내에 광고물이 없는 것도 눈에 띄었다. 열차에는 북한산 등산과 몇몇 전시 소식을 알리는 공지만 있을 뿐 상업 광고는 찾아볼 수 없었다. 스크린도어 옆에도 광고가 설치된 다른 지하철과 달리 스크린도어 광고도 없었다. 서울시는 우이신설선의 열차와 13개 모든 역사에 상업 광고를 배제했다고 설명했다.

0003928800_003_20170902114825844.jpg?type=w540
문턱이 없어 장애인, 유모차, 고령자 이동이 쉽다. /사진=남궁민 기자


2량의 열차를 연결하는 부분은 문도, 문턱도 없는 '일체 통로'로 만들어졌다. 휠체어를 탄 승객이나 유모차가 이동하기에 용이해 보였다. 우이신설선은 운전사, 광고, 문턱이 없는 '3무(無)' 지하철이었다. 

0003928800_004_20170902114825877.jpg?type=w540
북한산우이역에 내리는 시민들. 대다수가 등산을 위해 찾은 시민들이다. /사진=남궁민 기자


북한산우이역에 도착해 역 바깥으로 나오자 가을 햇살을 받아 빛나는 북한산과 등산로를 향해가는 시민들의 모습이 눈에 들어왔다. 10여 명의 동료들과 함께 내린 박지영(50)씨는 "예전엔 이동수단이 마땅치 않아 2~3명이 같이 다닌 게 전부"였다며 "이렇게 지하철이 뚫리니 앞으로도 자주 이용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0003928800_005_20170902114825923.jpg?type=w540
북한산 우이동입구 근처인 북한산우이역 입구. 시민들로 붐비는 인근 상점가 /사진=남궁민 기자
0003928800_006_20170902114825962.jpg?type=w540
북한산 우이동입구 근처인 북한산우이역 입구. 시민들로 붐비는 인근 상점가 /사진=남궁민 기자


인근 상인들은 새 전철에 대한 기대감이 컸다. 우이신설선이 지나는 수유동, 우이동 일대는 교통 불편으로 지역주민들의 불만이 컸던 지역이다. 북한산 등산로 초입에서 상점을 운영하는 한 시민은 "이제 개통해 좀 더 지켜봐야겠지만 확실히 등산객이 늘 것으로 본다"며 "오늘만 해도 아침시간부터 사람이 많아졌다"고 말했다.

◇'제2의 의정부경전철'될라…수익성 우려도

한편 수익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됐다. 의정부에서 온 한 시민은 "우리 동네에도 의정부 경전철이 만들어졌지만 적자 덩어리 애물단지가 됐다"며 "오늘 보니 승객 대부분이 고령자로 보여 무임승차가 많지 않겠냐"고 말했다.

우이신설선의 요금은 교통카드를 이용할 경우 지하철과 동일(성인 1250원, 청소년 720원, 어린이 450원)하다. 3개 정거장(성신여대입구, 보문, 신설동)은 기존 지하철 1‧2‧4‧6호선과 환승 가능하다. 환승할인은 동일하게 적용된다. 

추천 비추천

2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AD [삼성선물] 제로데이옵션이 뭐임? 운영자 24/05/07 - -
AD 이베스트 해외선물 수수료 $2.49 할인 이벤트 운영자 24/01/01 - -
1674479 이 애미뒤진 병신새키들은 맨날 잠실타령 [1] ㅇㅇ(223.62) 17.10.17 81 1
1674477 부동산 수십년 넘게 봐온 갤러 있냐구~ [4] 슈사쿠(223.62) 17.10.17 464 0
1674473 돈이라는 건 목숨보다 소중하다. 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 [1] d(124.59) 17.10.17 324 3
1674472 우아경전철역에 가오리역이라고 진짜 있냐? [2] ㅇㅇ(223.62) 17.10.17 128 0
1674471 신논현역 바로 2분거리 16평 전세 2억 8999(14.34) 17.10.17 110 0
1674469 천당아래 분당 천당위에 봉천 [2] ㅇㅇ(163.172) 17.10.17 271 1
1674467 강촌우방 저평가냐? [1] ㅇㅇ(223.55) 17.10.17 207 0
1674466 김택진이 부자인건아니지 [4] 8999(14.34) 17.10.17 435 0
1674465 이정도 스펙이면 이재용 자녀와 결혼가능? [1] 8999(14.34) 17.10.17 234 0
1674464 마지막 흙수서 탈출자들 [1] ㅇㅇ(175.223) 17.10.17 474 0
1674463 너네 같으면 최상 한강뷰 원룸 vs 중간 정도 투룸 ㅇㅇ(39.7) 17.10.17 87 0
1674462 여자가 페라리 타는거 살면서한번도못봄 8999(14.34) 17.10.17 96 0
1674461 신도림 우성 강촌 우방 [3] ㅇㅇ(211.59) 17.10.17 347 0
1674459 돈이 인생의 전부는 아니지 ㅇㅇ(117.111) 17.10.17 148 0
1674458 현금5천억 vs 주식1조 [13] 8999(14.34) 17.10.17 294 0
1674456 아버지가 대기업 다니셨으면 10억은 모으지안나 [3] ㅇㅇ(58.140) 17.10.17 319 0
1674455 같은 10억이라도.. 분당 이매동 40평 vs 송파 잠실동 20평 캬캬캬(116.34) 17.10.17 221 1
1674454 용산은 한강변이 대세인 시절에도 빛을 못 보네 [1] ㄹㄹ(116.34) 17.10.17 285 1
1674453 재산 3천억이면 200등안에는 족히 드는데 [3] (125.184) 17.10.17 272 0
1674452 분당이나 잠실이나 아파트 가격대는 비슷함 [2] ㅇㅇㅇ(116.34) 17.10.17 271 0
1674451 어떤 사람이 한단지 등기부를 다 떼어 보던데 [4] ㅇㅇ(116.34) 17.10.17 365 0
1674450 남자 아무리 잘생겨도 [3] (110.70) 17.10.17 326 0
1674449 과천 종특 마인드 알려준다ㅋㅋㅋ [6] ㅇㅇ(175.223) 17.10.17 466 3
1674448 송파구 자체가 잠실권이지 잠실촌년(39.7) 17.10.17 124 0
1674445 27살에 토익 공부중인데 너무 한심스럽네요 [6] (122.36) 17.10.17 277 0
1674444 서울에서 가장 멋진 이름을 가진 동네 [3] ㅇㅇ(223.38) 17.10.17 357 0
1674442 주식추천하는 유사투자자문업자들 종목으로 돈을 벌수 있다고 보냐? ㅂㅈㅁ(124.49) 17.10.17 78 0
1674439 횽이 혼자 개발한 인공지능 주식 프로그램 수익률 월 5% 이상 나온다. ㅂㅈㅁ(124.49) 17.10.17 113 1
1674438 자꾸 판교위례충들이 과천까는데 [12] ㅇㅇ(210.222) 17.10.17 775 6
1674437 대기업 연봉 1억받다가 정년퇴직했는데 [21] (211.36) 17.10.17 1865 10
1674435 미국이 국력뿐 아니라 땅덩이도 중국보다 더큼 [1] ㅇㅇ(183.102) 17.10.17 186 2
1674433 형들 서울대면 뭐가좋아? [5] 8889(14.34) 17.10.17 257 0
1674432 공무원 해봤자 월 250만원도 못버는데 [7] ㅇㅇ(211.36) 17.10.17 404 4
1674431 과천 순위 ㅇㅇㅇ(110.70) 17.10.17 201 0
1674430 강남 빌딩 3천억정도 있으면 월세얼마들어옴? [4] 00999(14.34) 17.10.17 279 0
1674429 여기 마두동 강촌우방 십년 넘게 보유 중인 게이 없냐? [5] 슈사쿠(223.62) 17.10.17 234 1
1674428 구글어스로 감상을 하니까 방글라데시가 딱히 [1] dd(182.224) 17.10.17 175 0
1674427 중국이 땅은 넓은데 사람 사는데는 한정되있다 [4] ㅇㅇ(219.249) 17.10.17 370 1
1674425 한신4지구 1-2) 안건 부결에서 가결로 정정 [10] 으응?(223.38) 17.10.17 529 3
1674424 우리나라에 유독 아파트가 많은 이유 ㅇㅇ(223.38) 17.10.17 151 0
1674423 정작 요즘 아파트 미치도록 짓는 나라는 중국임 [2] ㅇㅇ(182.224) 17.10.17 295 0
1674422 부갤러들 과천 11단지 왜이리 무시하냐?? [11] ㅇㅇ(124.53) 17.10.17 363 3
1674421 10여년전 자기 게시물 찾아보는거 잼있다 ㅋㅋㅋㅋㅋ 분당 [1] 한강(175.211) 17.10.17 453 0
1674420 고2인데여 ㅋㅋ세화고다니는데 [5] ㅇㅇ(221.139) 17.10.17 642 1
1674419 방글라데시 앞으로 아파트 엄청많이 짓겄다... [8] ㄴㅇㄹ(58.141) 17.10.17 344 0
1674417 남자는 잘생긴게 최고다 [3] ㅇㅇ(175.198) 17.10.17 365 2
1674416 과천 입지순위 [8] ㅇㅇ(124.53) 17.10.17 452 0
1674415 [1] 水陸(223.62) 17.10.17 130 1
1674414 신영증권 이용하는 부갤러 있어? [4] ㅇㅇ(175.223) 17.10.17 294 0
1674413 과천 입지 순위 [3] ㅇㅇㅇ(110.70) 17.10.17 289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