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혁신도시 이전 기관 직원 40%는 가족과 떨어진 '혁신 기러기'

ㅇㅇ(175.223) 2017.09.12 15:06:25
조회 195 추천 0 댓글 0

송기헌 의원 "혁신도시 정착률 높일 특단 대책 필요할 때"

(세종=연합뉴스) 윤종석 기자 = "혼자 밥 먹기 뭣하니 저녁에 '한총련'이 자연스럽게 소집됩니다. 나이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딱히 뭘 하겠습니까. 한잔 두잔 반주를 나누다 또 술자리가 이어지지요."

이는 직장이 혁신도시로 내려오면서 졸지에 '기러기 아빠'가 된 한 간부의 넋두리다.

한총련은 학생운동 단체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혁신도시에 내려와 가족과 떨어져 지내게 되면서 '한시적으로 총각이 된 사람들의 연합'이라는 자조 섞인 말이다.

올해로 혁신도시가 건설된 지 10년이 됐지만 서울 등 수도권에 가족을 남겨두고 혁신도시에 홀로 내려온 단신 이주자, 일명 '혁신 기러기' 비율이 40%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나 혁신도시의 저조한 정착률이 다시 도마 위에 오를 전망이다.

◇ 혁신도시 이주 공공기관 직원 37.8%는 가족 두고 홀로 이주 

12일 더불어민주당 송기헌 의원실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혁신도시 이주율 등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말 기준으로 전국 10개 혁신도시로 이전된 115개 공공기관 직원 3만3천212명 중 단신 이주자는 1만2천567명(37.8%)으로 집계됐다.

가족과 함께 혁신도시로 이주한 직원은 1만800명으로 전체의 32.5%에 불과했다.

혁신도시로 옮긴 미혼이나 독신자 7천866명(23.7%)까지 합하면 단신 이주를 제외한 '정착률'은 56.2%까지 올라가지만, 가족을 떠나 기러기 생활을 하는 공공기관 직원이 가족과 함께 이주한 이보다 1천700명가량 더 많다.

경남혁신도시는 전체 3천582명 중 1천827명(51.0%)이 가족과 떨어져 지내 단신 이주자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곳 공공기관 직원의 절반은 혁신도시에 혼자 내려온 혁신 기러기인 셈이다.

그 다음으로 광주·전남(42.5%), 경북(39.6%), 전북(37.1%) 등 순이었다.

비율이 가장 낮은 곳은 충북혁신도시로, 전체 공공기관 직원 2천321명 중 단신 이주는 456명으로 비율이 19.6%에 불과했다.

그러나 이는 혁신도시인 진천과 음성이 수도권과 가까워 출퇴근하는 직원 비율이 절반 수준인 1천113명(47.9%)에 달하기 때문이다.

충북은 가족동반 직원 비율이 15.9%로 단신 이주 직원보다도 낮다.

출퇴근족은 충북혁신도시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GYH2017091200040004400_P2_20170912101630425.jpg?type=w540[그래픽] 혁신도시 이전 기관 직원 40%는 가족과 떨어진 '혁신 기러기'

다른 지역에 비해 수도권과 가까운 강원(원주)은 전체의 9.3%인 417명이 출퇴근을 했고 KTX 경부선을 이용하기 편한 경북(김천)도 361명(8.9%)이 출퇴근을 선택했다. 이보다 훨씬 멀리 떨어진 울산은 30명, 광주·전남은 29명, 대구는 22명, 전북은 7명이 출퇴근을 고수했다.

◇ 금요일 집에 갔다 월요일 아침 복귀 패턴

올 8월 기준으로 115개 혁신도시 이전 기관에다 개별적으로 혁신도시나 세종시 등지에 내려간 39개까지 합한 154개 기관에서 지역 내부나 혁신도시~수도권을 운행하는 통근버스는 총 400대이며 정기적인 이용자는 1만300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요일별 통근버스 운용 대수와 이용 현황(복수 응답)을 살펴보면 금요일 버스 이용이 가장 활발하다.

금요일 통근버스는 362대가 가동되고 9천61명이 이를 이용한다. 그 다음으론 월요일 276대가 운행하고 7천34명이 버스를 탄다.

일요일에는 버스 133대가 운행하고 2천880명이 버스를 타는 것으로 집계됐는데, 이는 화·수·목요일 각 버스 171대가 4천700여명을 나르는 것보다 규모가 적다.

보통 혁신도시로 이전한 공공기관 직원의 숙소가 기관과 가까워 평소 출퇴근용 버스 이용이 많지 않다는 점에서 혁신도시 단신 이주자들이 금요일에 혁신도시에서 수도권 집으로 갔다가 복귀는 월요일 오전에 하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8월 현재 혁신도시 등으로 이전한 154개 기관 직원에게 특별공급된 주택은 총 1만705호로 집계됐다.

이 중 분양주택은 8천747호, 임대주택은 1천958호다.

이중 혁신도시 이전 기관 115개 기관만 보면 1만635호가 특별공급됐다. 혁신도시 이전 대상 직원이 3만3천212명이니 32.0%가 주택 특별공급 혜택을 본 셈이다.

지방자치단체가 2010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154개 이전 기관 직원의 주택 구입에 대해 취득·등록세를 감면해 준 건수는 6천904건에 금액은 233억9천만원에 달했다.

혁신도시 등 이전 기관이 직원의 거주를 돕기 위해 보유한 사택(연속 거주)과 숙소(일시 거주)는 각 5천781호(사용자 6천468명)와 1천595호(3천109명)이었다.

송기헌 의원은 "혁신도시 직원들의 이주 지원을 돕는 다양한 정책에도 불구하고 직원 정착률은 여전히 저조한 상태"라며 "혁신도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다는 '혁신도시 시즌2'를 추진하려면 무엇보다 이전 기관이 지역사회에 자연스럽게 융화할 수 있도록 정착률을 높일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AD LS증권 해외선물 수수료 $2.49 할인 이벤트 운영자 24/01/01 - -
AD [삼성선물]제로데이옵션 무료이벤트 운영자 24/06/03 - -
1701253 상도동 김영삼 대통령 사저 근방이 도생으로 도배되부렀네 [1] ㅇㅇ(223.62) 17.11.21 187 2
1701250 기계화 자동화가 다 좋은거 아니다 주차한거 1초라도 애누리없을듯 [8] ㅇㅇ(223.38) 17.11.21 202 0
1701249 강경화부터 공관을 파는게 맞지않을까요 [2] ㅇㅇ(27.100) 17.11.21 237 8
1701247 해외대학이라도 자기 처신잘해야죠 ㅇㅇ(183.98) 17.11.21 109 2
1701246 옥추피추 구축들도 잘나가는거보면 성수 한남도 가능성 있는거 아니냐 [3] ㅇㅇ(110.70) 17.11.21 335 1
1701243 강남권 아니어도 그냥 중구 신당동 이런 데 집 산 친구도 돈 마이 벌었더 [1] av(211.48) 17.11.21 284 3
1701240 집주인이 아가리호가 외치며 가격 내리지 않는 이유 ㅇㅇ(211.178) 17.11.21 205 1
1701235 내 나이 팔십너인데 노래방도우미 40대 한번 본후 노래방 끊었다 [2] ㅇㅇ(175.223) 17.11.21 597 6
1701234 올훼 대지지분 [50] 위사모(14.32) 17.11.21 994 6
1701233 박원순 세텍 sk개발 거부하였군요 ㅇㅇ(27.100) 17.11.21 262 2
1701232 지하수관정으로 지진을 예측한다는데 ㅇㅇ(27.100) 17.11.21 68 0
1701231 사대문안에 신규아파트 공급되면 무조건 찍어라 [4] ㅇㅇ(223.62) 17.11.21 405 4
1701230 포항 지진난민들도 세월호마냥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Ass(125.129) 17.11.21 160 6
1701229 동탄 위치 좋은데? 전망도 좋고 [1] 33s(223.62) 17.11.21 230 2
1701228 동탄호수공원 전망 급매 피 5000 빠졌다 [5] ㅇㅇ(218.155) 17.11.21 734 6
1701227 안철수는 강남 사람이야?사는곳이 어디냐? [5] ㅇㅇ(175.223) 17.11.21 353 0
1701226 국내 대학 출신 쓰는 이유는요.. [2] ㅇㅇ(119.193) 17.11.21 262 0
1701225 동탄발 폭락하는거 부갤러들은 미동도 안하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1] ㅇㅇㅇ(1.209) 17.11.21 266 0
1701224 서울 서대문 무시할게 아니네 ㅇㅇ(58.238) 17.11.21 194 0
1701223 지금까지도 일베하는새끼들은 머냐? [1] ㅇㅇ(222.251) 17.11.21 82 0
1701222 유학이요 입장바꿔 생각해보세요 ㅇㅇ(183.98) 17.11.21 122 0
1701221 갱기도나 지방은 등기찍어돌리지 마세용ㅋㅋㅋㅋㅋㅋㅋㅋㅋ Ass(125.129) 17.11.21 131 0
1701220 강남 아파트들중에 리모델링시 다시 부활할만한곳 있냐 [1] ㅇㅇ(110.70) 17.11.21 204 0
1701219 태양의도시는 누가 작명하였는지요 ㅇㅇ(27.100) 17.11.21 118 0
1701218 한화 그분 ㄹㅇ루40대같으심 ㅇㅇ(211.223) 17.11.21 118 0
1701217 원룸전세는 보증금 날릴까봐 어케 들어가냐? [4] ㅇㅇ(14.42) 17.11.21 228 0
1701216 나 일베충인데 스카이가 아이비리그보다 더 ㅅㅌㅊ는 맞는데 ?? ㅇㅇ(61.34) 17.11.21 175 2
1701214 일산, 분당 처음에 포스가 장난 아니었다 [4] ㅇㅇ(119.193) 17.11.21 582 11
1701213 무주택자 개돼지 여러분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 Ass(125.129) 17.11.21 192 1
1701212 서울시장은 안철수가 좋겠군요 ㅇㅇ(27.100) 17.11.21 108 2
1701211 서울 원룸전세 5000 어디에 잇을까요(전세대출가능한곳) [3] ㅇㅇ(218.152) 17.11.21 217 0
1701209 한국에서는 서울대인식이 하버드 바로밑이야 [4] ㅇㅇ(222.251) 17.11.21 245 2
1701207 성남 신축단지보다가 구분당 가보니까ㅋㅋ 168(49.168) 17.11.21 292 3
1701205 한국 여자 인생 난이도는 최하다 (125.184) 17.11.21 243 7
1701204 일베에서는 아이비리그 자체를 도피로본다 [9] ㅇㅇ(175.223) 17.11.21 277 4
1701203 다른건 모르겠는데 보유세 올리면 집값 빠지는건 100%아님? ㅇㅇ(112.175) 17.11.21 74 0
1701202 과천2단지 7평은 5.6에서 거래가안되나분데 [1] ㅇㅇ(61.255) 17.11.21 246 0
1701200 변호사놈들은 클라이언트가 때리면 맞는겁니다만ㅋㅋㅋㅋㅋ [5] Ass(110.70) 17.11.21 236 3
1701199 여자는 돈 모으고 재산 쌓을 생각을 안하니 인생이 편한거다 (125.184) 17.11.21 103 0
1701198 아파트로 20억 만들었는데 30억 어케 만드냐 [11] ㅇㅇ(183.98) 17.11.21 482 0
1701197 서울대는 옛날의 서울대가 아님... ㅇㅇ(171.221) 17.11.21 207 1
1701196 조만간 난임률 세계1위 예정 ㅇㅇ(223.62) 17.11.21 153 1
1701195 10~20년 전에 분당이 강남 2급지에 비볐다며 [5] ㅇㅇ(106.242) 17.11.21 497 1
1701194 서울대 입학생들이 뛰어난 인재인 건 부정할 수 없지만.. ㅇㅇ(119.193) 17.11.21 109 0
1701193 어렸을땐 갱지살돈도 없어서 [3] ㅇㅇ(27.100) 17.11.21 164 1
1701192 병팔았습니다만.. [3] 영등포보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1.21 134 0
1701191 진짜 갭충이들 물건 내놓은 거 없다고? ㅇㅇ(119.193) 17.11.21 66 1
1701189 역전세난에 취약한게 갭투자 많이 들어간 잠실같은 지역 ㄷㄷ(175.223) 17.11.21 183 1
1701188 재벌이 국내 경제 얼마나 힘쓰는데 그럴수도 있지 ㅇㅇ(119.193) 17.11.21 82 0
1701187 미국 유학도피라고 까는데 [8] ㅇㅇ(171.221) 17.11.21 307 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