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좌익 스승이 「반동」 제자를 죽이다

ㅂㅈㅁ(211.219) 2024.06.27 20:48:06
조회 52 추천 1 댓글 2

영광군 피살자 중 열 살 이하 어린이가 2500여 명
 
  때늦은 겨울비, 아니면 때이른 봄비가 내리던 날인 3월5일, 기자는 「죽음의 기록」을 등에 지고 영광으로 향했다. 6·25 당시 영광군의 피살자 2만1225명의 명단은 A4 용지 772장 분량이었다. 피살자 명단을 꺼내 훑어보았다. 명단을 입수했을 때는 미처 발견하지 못했던 점이 보였다. 한 살, 두 살, 세 살… 아이들의 죽음이 다른 지역에 비해 유난히 많았다. 대략 수를 세어 보았다. 열 살 이하 어린이가 영광군 전체 피살자 2만1225명의 12%에 달하는 2500여 명이었다. 전국 여성 피살자의 절반 가까운 7914명이 이 지역 여성들이라는 사실과 아이들의 죽음. 그것은 일가족이 학살된 경우가 많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것이었다.


영광을 찾기 前 호남지역 향토사학자인 金井昊(김정호·65) 향토문화진흥원장에게 전화를 걸어, 왜 유독 영광 지역의 민간인 피살자가 많은지를 물었다.
 
  『6·25 사변 당시 인민군이 후퇴할 때 미처 지리산으로 못 들어간 빨치산들이 영광 지역에 많이 모여서 빨치산 활동을 했습니다. 그 사람들에 의한 민간인 희생이 컸습니다. 특히 九岫山(구수산·해발351m) 주변 백수면과 염산면에서 민간인 피살자가 많았습니다. 영광 지역의 또 다른 특성은 해방 후 사회주의 색채를 가진 인사들이 많았던 곳이라는 점입니다. 좌우 갈등이 심했던 곳이라는 뜻입니다. 좌익이나 우익 진영 모두 그로 인한 희생도 컸을 겁니다』
 
  金원장의 설명은 기자가 품고 있던 또 하나의 의문, 즉 그렇게 엄청나게 많은 민간인들이 학살당했는데도 왜 세상에 널리 알려지지 않았을까, 하는 의문은 해소해 주지 못했다. 영광 현지를 찾기 前 기초 취재를 위해 만났거나 전화로 통화한 사람들의 대부분은 『많이 죽었다』거나 『영암에서 제일 많이 죽었고 그 다음이 영광일 것』이라고 말할 뿐 그 수치를 제시하지는 못했다. 『몇천 명은 되지 않을까』 하는 정도가 그들이 제시할 수 있는 그나마의 수치였다.
 
  영광 가는 길에 同行을 한 田玲先(전영선·61) 안양 대동서적 사장에게 영광에서 얼마나 죽었을 거라고 생각하는지를 물었다. 田사장은 영광군 백수면 천정리 출신으로 만 아홉 살 때 6·25 전쟁을 겪었다.
 
  『엄청 많이 죽었어요. 한 수천 명은 될걸요』
 
  ―2만 명이 넘던 데요.
 
  『그렇게 많습니까. 많이 죽었다는 것은 알았지만…』
 
  열여덟 살에 고향을 떠나 자수성가한 田사장은 독실한 원불교 신자로 4년 前부터 6·25 전쟁 때 영광에서 죽은 無主孤魂(무주고혼)을 위한 薦度齊(천도제:돌아가신 조상이나 부모님의 극락왕생을 발원하는 齊儀式)를 올리고 있다. 無主孤魂들의 이름이라도 제단에 놓고 천도제를 올리면 좋을 것 같아서 6·25 때 자신의 고향인 백수면에서 죽은 사람들의 명단을 찾았지만 구할 수가 없었다고 한다. 田사장은 기자에게 취재가 끝나고 나면 영광지역 피살자 名簿의 사본을 꼭 달라고 몇 번을 부탁했다.
 
  영광군 피살자 名簿를 보면 사망일시가 1950년 6월에서 1951년 2월까지 분포돼 있다. 영광에 인민군이 진입한 시기는 1950년 7월23일이다. 인민군이 진입하기 전에도 빨치산 등 토착 좌익에 의한 학살이 자행됐음을 알 수 있다. 빨치산이 완전 토벌된 때는 1951년 2월20일이다.
 
  1950년 6월에서 1951년 2월 사이의 전라남도 영광군. 추적추적 비가 내리고 있는 가운데 기자가 가고 있는 곳은 2002년 3월의 영광군이 아니라 1950년 6월에서 1951년 2월 사이의 영광군이었다.
 
 인민군이 영광을 점령한 한참 후의 일이다. 백수 동초등학교에는 金모라는 교사가 있었다. 金교사는 음악을 잘해 학생들에게 인기가 있었다. 인민군이 영광에 들어온 후 金교사는 본색을 드러냈다. 좌익이었던 것이다.
 
  전씨가 동네 어귀 고구마밭 부근에서 마을 아이들과 놀고 있을 때다. 金교사가 한 아이를 질질 끌고 오고 있었다. 이름은 기억이 나지 않지만 길용리에 사는 2학년 아니면 3학년에 재학 중인 아이였다. 전씨와 함께 놀던 아이들은 金교사가 끌고 오는 아이가 「반동」의 가족임을 직감할 수 있었다. 전씨는 그때 끌려오던 아이의 표정이 어땠는지, 몸짓이 어땠는지는 잘 기억하지 못한다. 차마 눈 뜨고는 볼 수 없는 광경이었기 때문이다.
 
  전씨가 눈을 떴을 때 金교사는 자신이 끌고 온 아이를 칼로 찌른 후 고구마밭 고랑 사이에 처박고 있었다. 전씨는 다리를 후드득 떨었다. 金교사의 목소리가, 6·25 전쟁 前에 학교에서 노래를 부를 때는 그토록 멋지게 들렸던 목소리가 귀신의 음성처럼 웅웅 울렸다.
 
  金교사는 그곳에 있던 아이들을 향해 칼에 찔려 밭고랑에 처박혀 있는 아이에게 돌을 던지라고 외쳤다. 그 아이는 이미 죽어 있는 것 같았다. 아이들은 돌을 들었고 전씨도 돌을 들었다. 전씨는 그때 자신이 들었던 돌의 무게가 천근보다 무겁게 느껴졌다. 차마 던질 수는 없었다. 전씨가 던진 돌은 힘없이 부들부들 떨고 있는 자신의 발 앞으로 떨어졌다. 도망을 갈 수도 없었다.
 
  『도망을 가면 경찰의 앞잡이로 몰려서 가족들을 죽일 텐데 도망을 갈 수 있겠습니까. 당시 우리 백수면 사람들은 피란을 가면 밤손님들한테 반동으로 몰리고, 피란을 안 가면 경찰들에게 빨치산 앞잡이로 몰리던 상황이었어요. 운명을 하늘에 맡길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6·25를 겪은 영광 사람들에게서 자주 들을 수 있는 단어가 있다. 「숙청」이라는 말과 빨치산을 지칭하는 「밤손님」이라는 단어가 그것이다. 특히 지금은 북한 관련 보도에서나 들을 수 있는 「숙청」이라는 말을, 그들은 일상 용어처럼 사용했다. 강한 자극을 받은 언어는 오래 기억에 남을 수밖에 없다. 영광 사람들이 말하는 「숙청」은 곧 죽음을 의미했다. 6·25 전쟁 중 영광 사람들의 의식 속에서는 죽음에 대한 공포가 떠나지 않았던 것이다.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외모와 달리 술 일절 못 마셔 가장 의외인 스타는? 운영자 24/07/01 - -
AD LS증권 해외선물 수수료 $2.49 할인 이벤트 운영자 24/07/01 - -
AD #삼성선물 #해외선물모투대회 #총상금 #2250만원 운영자 24/07/01 - -
7279558 잘사는 순위 전국 시도별 종합소득 순위 ㅇㅇ(223.39) 06.30 37 0
7279557 세상에 돈 많은 사람이 이렇게 많나봐 ㅇㅇ(223.38) 06.30 62 0
7279555 영끌이들 현재 대화안됨 부갤러(121.125) 06.30 36 2
7279553 김포 파주 영종도 가면 애들 많이 낳고 살더만 ㅇㅇ(58.236) 06.30 38 0
7279552 나는 이 얘기가 무척 마음에 들더라 [1] ㅇㅇ(175.223) 06.30 62 1
7279551 서울집값 너무 쌉니다 [1] ㅇㅇ(39.7) 06.30 47 0
7279549 시발 인생 존나 좆같네 부갤러(168.126) 06.30 38 0
7279548 빚내기 싫어하면 4대보험에 매달 세금 다떼가는 직장인보다 ㅇㅇ(58.236) 06.30 28 0
7279547 미래가 끝났다는게 크다니까 ㅋ [1] 원룸맨(110.35) 06.30 75 3
7279546 출산관련글에서 존나웃겼던게 [2] ㅇㅇ(39.7) 06.30 77 5
7279545 지금 폭락이들이 가장 놓치고 있는 점 ㅇㅇ(223.38) 06.30 41 1
7279544 부자로 태어나면 인생 행복할 거 같죠? [3] ㅇㅇ(39.7) 06.30 61 0
7279543 솔직히 성동구 10년전에 25평 3억하던건 사람들이 무지해서고 ㅇㅇ(58.236) 06.30 43 0
7279542 영끌이들의 일련의 사태에 대해서 흐린눈하냐?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30 64 3
7279541 르노 현기가 보낸 스파이 아니냐? ㅋㅋㅋㅋㅋㅋㅋㅋ [1] 부갤러(39.7) 06.30 56 1
7279540 해수면올라가면 강서구가 떡상하네 ㅇㅇ(182.227) 06.30 37 0
7279539 무조건 대기업만 가라. 밑으로는 쳐다도 보지마셈 부갤러(168.126) 06.30 35 0
7279538 무주택자 개돼지 여러분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Ass(175.193) 06.30 25 0
7279535 오빠 나 동탄 살고싶어! ㅋㅋㅋ(119.197) 06.30 65 0
7279534 [이상렬의 시시각각] 부자와 인재가 떠나는 나라 ㅇㅇ(203.232) 06.30 35 0
7279533 교통비 전기비 이런것도 다 빚내서 통제해서 덜올리는건데 ㅇㅇ(58.236) 06.30 21 0
7279532 서민들은 대체 왜 출산하냐 [3] ㅇㅇ(39.7) 06.30 74 4
7279531 2억짜리 빌라사서 1억 분담금 내면 10억짜리 집 ㅇㅇ(39.7) 06.30 44 2
7279529 걍 부갤에는 폭등이들만 글쓰라고 두는게 맞다 [2] 부갤러(121.125) 06.30 40 1
7279528 2030들아 대학갈 때 이미 자기객관화 해줬잖아 [2] ㅇㅇ(223.38) 06.30 55 4
7279527 갱기도개돼지너거덜은 사람새끼가 아닌뎈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Ass(175.193) 06.30 29 1
7279526 진짜 병신들이 서초 압구정 20억 30억짜리 아파트만 보고 이생망 이생망 [1] 부갤러(49.169) 06.30 59 2
7279525 역대 30대가 제일 쉽게 아파트 살수있는 세대임 [3] ㅇㅇ(114.202) 06.30 108 6
7279524 본인 '나중에 볼 동영상' ㅁㅌㅊ? ㅇㅇ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30 39 0
7279523 전국 아파트 비율 포화도 체크 ㅇㅇ(223.39) 06.30 41 0
7279522 인스타로 물건 파는거 왜 사는거지 [1] 부갤러(223.38) 06.30 35 0
7279521 캐리/금융 3대장에.. 음..나두ㅠㅠ 끼고 싶은 나라.. 야스이■센타치(212.102) 06.30 46 0
7279520 영어없는 시험은 별의별놈 다 들어옴 [1] 부갤러(118.131) 06.30 64 1
7279519 물리는애들은 지들이 입지 ㅈ병신같은 경기도에 비싸게 주고 샀으니 물리는지 [1] 부갤러(49.169) 06.30 42 3
7279518 재건축 공사기간 왜 길어지고 인건비 올라간줄 아냐? ㅇㅇ(58.236) 06.30 37 0
7279517 대부분 영끌이들의 착각 ㅇㅇ(223.38) 06.30 33 0
7279516 폭락충들 특) [2] 부갤러(45.94) 06.30 35 0
7279515 과천써밋 20억주고 들어가느니 한강 구축아파트 들어감 [3] 부갤러(49.169) 06.30 144 1
7279514 나 40먹고 무주택인데 책임지라고 애비한테 따지라고 부갤러(211.104) 06.30 27 0
7279511 무주택 빨갱이개딸 너거덜은 재뻥이 변호사비용도 모금헙니깤ㅋㅋ Ass(175.193) 06.30 23 0
7279510 폭락이들은 애비를 원망하라고 ㅋㅋㅋㅋㅋㅋㅋ 부갤러(211.104) 06.30 27 0
7279509 과천 1써밋은 매물 수준 ㅇㅇ(219.250) 06.30 107 2
7279508 재건축 물건 사니까 분담금 5억씩 처맞는거지 ㅋㅋㅋㅋ 대단지 재개발물건을 [4] 부갤러(49.169) 06.30 77 2
7279507 대기업 못가면 끝장난 인생 맞음. [2] 부갤러(168.126) 06.30 58 0
7279506 연봉 173억인데400억짜리 에테르노 압구정 산거는 무리한거냐? 증여세 부갤러(121.153) 06.30 48 0
7279505 애초에 한국에서 르노사는 저능아가 있음??? [3] 부갤러(39.7) 06.30 60 1
7279503 동탄이 경기도 대장이자 경기도 1위인 이유 알려줌 [21] 원ㅇㅇ(112.169) 06.30 1457 65
7279502 전국 의사면허수가 서울아파트 세대수 절반임 ㅋ ㅇㅇ(58.236) 06.30 47 3
7279501 영끌이들 븅신 맞음ㅋㅋ [1] ㅇㅇ(223.38) 06.30 53 1
7279500 포마새끼부랄자르고싶다 노구(211.192) 06.30 21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