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CES 2024] IT 기자가 본 '디지털 헬스'의 4가지 트렌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1.11 14:20:38
조회 165 추천 0 댓글 0
[라스베이거스=IT동아] 디지털 헬스케어는 기존의 의료 범위에 디지털 기술을 융합한 새로운 형태의 건강 관리 방법이다. 미국 FDA는 디지털 헬스케어가 모바일 건강, 건강 정보기술, 웨어러블 장치, 원격 건강 및 원격 의료, 맞춤형 의료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라 보고 있다. 또한 디지털 헬스케어는 일상적인 기기를 활용해 질병을 더 면밀히 관리하고, 개인화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고, 소비자 가전 전시회(CES 2024)에서도 ‘헬스케어 및 웰니스’가 대단히 중요한 시장으로 여겨지는 상황이다.


디지털 헬스는 CES 2024의 주요 관전 포인트 중 하나다 / 출처=IT동아



특히 올해 CES 2024에서는 대기업은 물론 스타트업들을 중심으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는 디지털 헬스케어 트렌드를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되고 있다. IT 기자의 입장에서 바라본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의 변화와 추세를 네 가지로 짚어본다.

보다 쉽고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진화 중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을 관통하는 핵심 키워드는 간편함이다. 디지털 헬스 자체가 보다 가볍고 접근성이 좋은 의료 방안을 뜻하는 말이다 보니, 누구나 쉽고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나아가야 한다.


싱귤러 윙스는 비침습 방식의 혈당 모니터링 단말기로 연속해서 혈당을 관리 및 측정하도록 돕는다 / 출처=IT동아



대만의 싱귤러 윙스(Singular wings)가 선보이는 비트인포(Beatinfo) 서비스는 헬스케어 단말기를 장착하고 있으면 심박수나 활동, 프로그램 등을 맞춤으로 측정하고 생리학적 보고서로 내놓는다. 또한 비침습 방식의 혈당 모니터링 단말기와도 연동해 장기적으로 혈당을 측정하고 관리하도록 돕는다. 아울러 간병인이 있는 경우 원격으로도 건강 상태나 혈당 등을 모니터링하고 알림을 받을 수 있는 식으로도 제공된다.


소변 검사를 직접 하는 것은 물론, 더 많은 정보를 구하고 데이터화한다는 점이 핵심이다 / 출처=IT동아



프랑스의 의료용 진단기기 전문 기업 이키(iki)는 CES 2024에서 소변 검사를 활용한 개인화된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을 선보였다. 현재 개인용 소변검사 기기의 경우 나트륨 함량이나 단백질 함량 등을 측정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반면 이키의 제품은 소변의 산도, 요산, 알부민, 칼슘, 마그네슘 등 총 열 가지의 항목을 키트 방식으로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고, 기기가 자동으로 스마트폰에 데이터를 보내 추적 관찰한다. 본인이 직접 건강 관리를 할 수 있도록 간편하고, 또 의료 목적으로도 도입할 여지가 있다.

‘의료 기기’도 디지털 헬스로 발돋움해



애보트의 아베이르 이중 챔버 무전극 심박조율기 / 출처=IT동아



애보트의 아베이르 이중 챔버 무전극 심박조율기는 CES 2024에서 최고 혁신상을 받은 제품이다. 심박 조율기(페이스메이커)는 이미 60여 년 가까이 사용된 제품이어서 충분히 유무선 방식으로 소형화가 되어있다. 하지만 애보트 아베이르 이중 챔버 무전극 심박조율기는 기존 페이스메이커 대비 10분의 1로 크기를 줄였다.

각각의 조율기를 우심방 또는 우심실에 각각 삽입하면, 독자적인 임플란트 간 통신 방식을 통해 장치의 조율 기능을 동기화한다. 또한 추후에 타이밍을 바꿀 수도 있고, 하나만 먼저 장착해 이식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도 있다. 무선 동기화 기술과 초소형화 기술이 일반 의료기기 시장과 융합해 급진적인 혁신을 일으키고 있다.


아큐레이트 메디테크의 24 BPM 커프리스 혈압 모니터 / 출처=IT동아



또한 기존의 웨어러블 장치가 FDA 승인을 받는 정식 의료 기기로 진화하는 사례도 등장하고 있다. 아큐레이트 메디테크의 아큐레이트 24 BPM 커프리스 혈압 모니터는 손목에 장착하고 꾸준히 혈압을 측정하는 기기다. 기존에 압력을 가해 측정하는 혈압 측정 장치와 달리, 아큐레이트의 솔루션은 두 개의 압전 소자를 각각 배치하고, 혈압이 압전 소자를 건드리면서 발생하는 음파와 진동을 분석해 혈압을 판독한다. 또한 FDA 승인을 취득한 의료기기인 만큼 신뢰성도 충분하다.

SaaS, 클라우드 등 통해 빅데이터·디지털화



뉴트릭스는 타액 기반으로 의료 데이터를 생성하고, 클라우드 상에서 데이터를 관리 및 분석하는 솔루션을 만들었다 / 출처=IT동아



스위스의 메디테크 기업 뉴트릭스(Nutrix)는 의료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최초로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형태로 제공하는 플랫폼 지센스(gSense)를 개발했다. 지센스는 타액에 있는 코티솔과 포도당 농도를 감지해 피로도 및 혈당 등의 건강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애플리케이션으로 데이터화한다.

구축된 데이터는 클라우드 서버로 이동한 뒤 자체 기술력을 조합해 적절한 맞춤형 의료 지도 형태로 제공된다. 기존의 건강관리 솔루션은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까지만 했으나, 지센스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활용하는 단계까지 완성한 것이다. 추후 완성도가 높아지면 더 다양한 측정 방안과 원격 모니터링까지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번거로움 줄이고 실용적 방향으로 발전한 제품도 눈길



CES 2024 주요 전시관인 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에서 바디로그의 수면 측정 솔루션이 소개되고 있다 / 출처=IT동아



웨어러블의 번거로움 등을 줄이거나, 실용적인 방향으로 진화한 디지털 헬스 제품들도 많다. 바디로그의 수면 측정 솔루션은 체스트 클립과 패치, 매트리스 기어 세 가지로 구성돼 있으며, 해당 기기들을 사용하고 자면 다양한 건강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특히 수면 품질 등에 집중하는 타사 제품들과 달리 수면 시 자세부터 심·뇌혈관계와 관련된 데이터, 근골격계, 신경계 등 의료용 데이터 등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춰 만성 질환을 지속적으로 관리 및 추적할 수 있도록 돕는다. 활용도에 따라 개인의 건강 분석은 물론 병원이나 요양원 등에서도 원격으로 환자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것까지 가능해진다.


위스메디컬의 웨어러블 생체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착용의 불편함을 줄인 새로운 형태의 웨어러블 장치다 / 출처=IT동아



기존에 착용해야 하는 웨어러블 기기의 불편함을 한층 줄인 방식의 디지털 헬스 제품도 등장했다. 위스메디컬(wismedical)의 웨어러블 생체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시계나 스티커 방식이 아닌 실리콘 재질로 몸 중심부에 부착하는 방식이다. 덕분에 부착 방법도 간단하고, 탄력이 있어서 다양한 움직임에도 불편함을 줄였다.

특히나 이동 시 흔들림이 적어 더 정확하게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무게도 10원 동전 세 개 정도에 불과해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 이를 활용하면 의료 기관에서 24시간 심박 및 산소포화도 추적 등이 가능하고, 원격 의료나 운동 관리 등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웨어러블은 시계 형태여야 한다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실용적인 형태로 발전한 좋은 사례다.

디지털 헬스케어, 스마트폰처럼 접하는 시대가 올지도


CES 2024 디지털 헬스 부스들을 둘러보며 느낀 점은 디지털 헬스 시장 전반이 접근성을 크게 높이는 쪽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점이다. 의료에 대해 아는 바가 없는 IT 기자임에도 디지털 헬스케어 자체가 누구나 다룰 수 있도록 진화하고 있다는 것을 여실히 느낄 수 있을 정도다. 게다가 디지털 헬스 제품들은 의료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준의 고도화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이것을 더 쉽고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제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사람들이 스마트 워치를 사용하는 것처럼, 디지털 헬스케어 제품도 일상적으로 누리게 될지 모른다. 아큐먼 리서치 앤 컨설팅은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이 2023년부터 연평균 25.3%씩 성장해 2032년까지 1조 5920억 달러(약 2095조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IT 인프라의 고도화와 사용자 친화적인 디지털 헬스 플랫폼 개발, 맞춤형 의료 경험 등이 시장 규모 확대에 크게 기여하는 것이다. 올해 CES에서도 이런 흐름을 충분히 느낄 수 있었던 만큼, 앞으로도 디지털 헬스는 꾸준히 주목받는 주제가 될 것이다.

글 / IT동아 남시현 (sh@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CES 2024] 역대 최대 규모로 마무리된 CES··· '2% 아쉬움' 남긴 대한민국▶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크리모 “스마트 토이, 교육에서 디지털 치료까지”▶ [CES 2024] 전기차 시대 준비하는 소재·부품·에너지 기업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3451 다쏘시스템 “제품 설계 혁신…’AI·버추얼 트윈'으로 달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99 0
3450 빗썸, 이더리움 멀티체인 지원 등 ‘입출금 서비스 개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1001 0
3449 [주간투자동향] 클라우드호스피탈, 20억 원 규모 프리 시리즈A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133 0
3448 [스타트업-ing] 레디큐어 “디지털 엑스선, 치매 환자·가족에게 희망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79 0
3447 스마트폰 보호필름 선택은 이렇게![이럴땐 이렇게!]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2 243 0
3446 우주의 신비 푸는 디지털 카메라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2 554 0
3445 늘어나는 '와이파이 7' 지원··· 2024년 와이파이 전환 원년 될까? [1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2 6969 6
3444 주목할 만한 올해 출시 예정 전기차 살펴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8 108 0
3443 스마트폰 업계, 2023 부진 인공지능으로 씻는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8 179 0
3442 플로우 “생기부 작성, 입시지도 업무에도 AI 활용하는 시대 온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8 137 0
3441 ‘14인용 LG 디오스 오브제컬렉션 식기세척기’ 출시, 대용량 제품군 강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8 119 0
3440 거래소 점유율 좌우하는 ‘거래 수수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8 906 0
3439 ‘AI 기반 학업성취도 평가·분석’…기술 고도화 나선 교육업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7 112 0
3438 가상자산 신고센터 사례로 보는 이용자 유의사항 5가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7 323 0
3437 [리뷰] 프레임 확장으로 활용도·가성비↑ AMD 라데온 RX 7600 XT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7 1006 0
3436 존 모리스 씨게이트 CTO “30TB 장벽 넘은 드라이브, 데이터센터 혁신 이끌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154 0
3435 [자동차와 法] 도로상 장애물로 인한 교통사고의 법률적 문제와 해결방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301 1
3434 설 연휴 맞이 무상점검 실시하는 車 제조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96 0
3433 PC 부팅 실패나 오류를 고치려면 이렇게![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808 2
3432 [뉴스줌인] 실속형 무선청소기 LG 코드제로 ‘A9 에어’, 고급형 모델 대비 차이점은?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5 996 1
3431 [리뷰] 가성비 맞춘 전동형 책상, 핏쳐 L1 모션 데스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5 97 0
3430 [스타트업 법률실무 마스터링] 스타트업 법률실무 (2) 스톡옵션 부여 및 행사 관련 분쟁 방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5 89 0
3429 라온로드 “클라우드 기반 교통체계 시장은 블루오션, 우리가 개척 중”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5 91 0
3428 빗썸, ‘창업 경진대회’ 유망기업 10개 선정···1위 반프 수상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5 101 0
3427 반세기 이상 이어진 역사…BMW 5시리즈 발자취 살펴보니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5 835 3
3426 [시승기] 8세대에 걸친 진화…수입차 1위 탈환의 주역 ‘BMW 뉴 5시리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114 0
3425 [리뷰] 넓은 공간감과 보강된 저음, 젠하이저 레퍼런스 헤드폰 ‘HD490 프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113 0
3424 대기업과의 협업 기회 제공 ‘창업도약패키지(대기업 협업형)’ 참여 기업 모집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170 0
3423 애플, 올 연말에 '생성형 AI' 윤곽 제시한다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1119 0
3422 "부산 워케이션 센터, 모두에게 열린 최적의 업무 공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104 0
3421 "BGF리테일의 신속성과 업무 효율, 협업 툴 플로우에서 비롯됐죠"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412 1
3420 30kg 무게 들어 올리는 '고하중 협동로봇' 선보인 ‘유니버설 로봇’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1 122 0
3419 '2024년의 키워드는 AI'··· 주목할 만한 각국의 AI 하드웨어 기업은?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1 971 2
3418 백승학 치과교정학회장 “치아교정, 충분한 경험과 지식 갖춘 의사가 중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1 87 0
3417 [리뷰] 휴대성-성능 모두 챙긴 비즈니스 노트북, 에이수스 엑스퍼트북 B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1 105 0
3416 [IT애정남] 한쪽 이어폰을 교체한 경우, 양쪽 이어폰을 연결하려면?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1 600 0
3415 [IT애정남] 휴면회원이 활성 회원으로··· 왜 자꾸 안내가 올까요?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1 1934 9
3414 푸조 “올해 ‘E-408·E-5008 전기차 투입’과 ‘챗GPT 적용’으로 승부수”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1 739 1
3413 [KTVF] 원컴 “궁극형 QiFi 솔루션으로 무선 충전 기술 보편화에 앞장서겠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1 101 0
3412 [EV 시대] ‘영국 EV 인프라’ 살펴보니...가로등에도 충전시설 구축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0 486 0
3411 [IT하는법] 외부 앱 설치 차단으로 스마트폰 피싱 막는 법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0 1206 0
3410 LG전자, 중기부와 함께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 찾는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0 142 0
3409 IBM-한국퀀텀컴퓨팅, IBM 왓슨x 및 양자 컴퓨터 국내 도입 위해 협력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0 803 2
3408 [KTVF] 칼렛바이오 “글로벌 포장 산업의 표준이 되겠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0 91 0
3407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픽셀로 “눈 건강 관리, 안구 질환 예방하는 아이케어 솔루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0 146 0
3406 [뉴스줌인] 본격 출시 시작한 ATX 3.1 파워 서플라이, 바뀐 점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0 490 0
3405 [리뷰] 온디바이스 AI를 위한 중견급 CPU, AMD 라이젠 5 8600G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9 108 0
3404 [주간투자동향] 에니아이, 157억 원 규모의 프리-시리즈A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9 134 0
3403 겨울철 주행거리 줄어드는 ‘전기차’ 사용…이렇게! [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9 135 0
3402 LG전자 '올레드 에보' TV 활용, 글로벌 AI 아티스트 작품 선보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9 143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