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본 블랙기업에 대해 알아보자앱에서 작성

글벙글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6.18 12:12:29
조회 3016 추천 18 댓글 9
														

일본 블랙 기업에 관한 기사보다가 재미있어서 가져와봄


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913762bc3261bfb65f706fc3cf693d4306fc2a8d2b8f7594191ad1fd5f3a2b3236ed7e

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913762bc3261bfb65f706fc3cf693d4238a8932643d652acb272300a3b89813a1b3bbb




-----------------------------------------------------

블랙 기업도 │ ★☆☆☆☆

("블랙 기업 아니야?" 라고 가볍게 말함)

-----------------------------------------------------


▶회식에 강제로 참여시킴


회식을 좋아하고 직원들 간의 교류를 좋아하는 직원이라면 문제가 없을지도 모릅니다만 권유받는 사원이 거절할 수 없는, 강제적으로 참가해야 하는 사내의 인관 관계로 되어 있다면, 그 불만 때문에 블랙 기업이라고 생각할지도 모릅니다.




▶상사보다 먼저 돌아가면 혼냄


일본의 옛 풍습으로 '윗사람보다 먼저 돌아가는 것이 실례에 해당한다' 라는 생각을 갖고 있는 분들도 적지 않을지도 모릅니다만 지금은 시대도 바뀌고 노동시간에 대해 세상이 민감하고 잔업 문제에도 있듯이 정해진 시간에는 돌아가야 하는 시대가 되고 있습니다.


사원의 워라벨을 생각해 보면, 블랙 기업이라고 인식될 수도 있을지도 모릅니다.




▶퇴직할 의사를 전하면 만류됨


만약 직원들이 '지금 하는 일이 힘들다' , '이제 이 회사에서 일하고 싶지 않다' 라고 느낀다면, 그에 대해 기업은 뭔가 해결책을 제시한 후 만류를 해야 할 것입니다.


만약 그것을 할 수 없는데 만류를 하는 것이라면 사원의 불만이 되어 버립니다.




▶우산이 없어짐


도덕성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만, 우산꽂이에 있는 직원의 개인 우산을 공유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일까요.


중학생 시절에 우산이 없어지는 사건은 드믈지는 않았지만 회사 안에서 이런 사건이 일어나고 있는 것은 아웃이라고 생각합니다.


우산을 가지고 돌아가는 것이 한 사람뿐이라고 해도, 회사의 도덕성이 낮음으로 보여져, 블랙 기업이라고까지는 아니지만,


"오프화이트"한 기업이라고 생각되어 버릴지도 모릅니다.




▶체육계 같은 상하 관계(똥군기)가 있다.


학창시절에 체육계의 동아리를 경험하고 있는 사원이라면, 아무것도 위화감을 느끼지 않을지도 모르지만,


체육계의 동아리에 속하지 않았던 사원은 위화감으로 느껴 어쩔 수 없을 것입니다.


체육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선배가 후배를 부려먹는 행위나, 회식에서의 원샷 등은, 블랙 기업이라고 보여질지도 모릅니다.






-----------------------------------------------------

블랙 기업도 │ ★★☆☆☆

(지인에게 "힘든 곳에서 일하고 있네" 라고 들음)

-----------------------------------------------------


▶타임 카드가 없음


사원의 노동 시간을 파악하는데 필요한 타임 카드 혹은 시간 기록 시스템.


근로기준법에서는 타임카드가 없는 것에 대해 위반이라는 것이 없지만,


직원의 잔업비를 내는 데 근로시간을 관리하지 못하면 올바른 잔업수당을 받을 수가 없습니다.


설령 간주 잔업비로 매달 잔업비를 지불하고 있는 기업에 관해서도 타임 카드가 없으면 간주 잔업비가 너무 적은지를 재는 지표가 없다는 것이 되어버립니다.


사원으로부터 "잔업을 하고 있는데 월급이 너무 적다", "타임 카드가 없기 때문에, 잔업비가 나오지 않는다" 등의 말을 듣게되면, 블랙 기업으로 보여져도 어쩔 수 없을지도 모릅니다.




▶급여를 시급에서 환산해서는 안 된다는 풍습이 있음


직원 중에는 매달 급여를 그 달 노동시간으로 나눗셈을 해서 시급 계산을 하는 사람도 있지 않을까요.


젊은 사원이라면 '아르바이트가 시급이 좋다' 라는 사람도 있을 수 있습니다.


만약 시급 계산을 한 금액이 그 현의 최저임금을 밑도는 것 같으면 틀림없이 직원으로부터 '블랙 기업이다' 라는 말을 들을 것입니다.


그런 직원들에 대해서 오래 회사에 있는 선배님들께서 "급여를 시급 게산하는 것은 법도다." 라고 하신 적이 있는 분들도 적지 않을까요.




▶복리후생이 충실하지 않음.


복리후생에는 사회보험 등 법률로 정해져있는 '법정복리'와 법률에서는 정해져 있지 않는 '법정외복리'가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법정외복리'의 내실화에 관해서입니다.


법정외복리란 회사가 법정복리 이외에서 부담을 하여 행하는 복리후생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주택 수당이나 월세 보조, 가족 수당으로부터 휴양소등의 시설의 보유나, 음식점이나 오락시설등에서 우대,할인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등이 있습니다.


사원의 스트레스 체크가 의무화된 가운데, 복리후생이 충실하지 않은 것은 '블랙 기업' 이라고 생각되어 버릴지도 모릅니다.




▶왠진 몰라도 출근시간이 빠름.


출근 시간은 9시인데 7시나 8시 같은 1시간 이상 전에 출근을 강요받는 경우도 있는 것 같습니다.


'아침에 미팅 자료 작성이 끝나지 않았기 때문에', '오늘까지의 제출 자료가 끝나지 않았다' 등의 일주일에 한 번이나 한 달에 한번꼴로 일어나는 사레라면 큰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매일 출근 시간 2시간 전에 와서 평범하게 일을 하고 있다.


그것이 상습화되어 있다고 한다면 조금 문제일지도 모릅니다.


일찍 출근한 만큼의 임금이 지급되고 있다면 불만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수도 있지만, 일찍 출근해서 평범하게 일하고 있다면 '블랙 기업' 이라고 불릴 것입니다.




▶휴지는 개인이 지참함.


휴지 뿐만 아니라 사내 비품은 모두 자기 부담으로 구입하여 활용되고 있는 기업도 있지 않을까요.


휴지를 지참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이야기를 들었을때는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휴지나 티슈, 쓰레기 봉투 등과 같은 반드시 필요한 비품류는 회사에서 준비 해주셨으면 합니다.






-----------------------------------------------------

블랙 기업도 │ ★★☆☆

(부모님에게 "정말 그 회사 괜찮아? 시골로 돌아와" 라고 들음)

-----------------------------------------------------


▶자사 제품을 사지 않을 수 없음.


모 편의점에서 매출 할당량을 달성하지 못하면 종업원이 물건을 직접 매입해 월급에서 공제된다는 소식이 화제가 됐습니다.


달에 정해진 할당량을 달성하기 위해 자사 제품을 사지 않으면 안 되는 상태는 블랙기업이 아닐 수 없을 것입니다.


의류 업계나 편의점 등의 서비스업 등에서 많이 볼 수 있을 것 같네요.





▶휴일 출근이 많음.


휴일이 토, 일, 공휴일 이라고 채용할때 말했음에도 불구하고 휴일 출근이 만성적이라고한 이야기를 듣기도합니다.


이 휴일 출근에 관해서도, 제대로 타임 카드에 기입해, 근무 시간에 반영을 한 후에 휴일 출근 수당이나 대휴 제도가 완비되어 있는 것이 '화이트 기업' 이라고 불리는 기업입니다.


반대로 휴일 출근을 해도 대체휴가, 휴일출근수당이 없으면 '블랙기업' 이라고 불려도 어쩔수 없을 수도 있겠죠.





▶교통비가 나오지 않음.


출퇴근에 활용되는 교통비가 아닌 영업 교통비가 나오지 않는다고 한 사례입니다.


트위터나 커뮤니티들을 보다보면 몇 사례를 찾을 수 있었지만 실제로 그런 기업이 있다고는 들어본 적이 없습니다.


조사해 본 결과 교통비는 법률적으로 지급되지 않아도 된다고 합니다만,


이 시대에 교통비가 지급되지 않는 것은 '블랙기업'이라고 불려도 어쩔 수 없는 것이 아닐까요.





▶자가용을 일에 이용하고 있음.


영업에 있어서 전철로의 이동이 아닌 자동차로의 이동을 하고 있는 기업은 많이 있을 것입니다.


전철로의 이동으로는 옮길 수 없는 자재나 고객이 전철로의 이동이라면 접근이 불편한 영업 형태의 기업이라면, 자동차에서의 영업은 당연하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그런 경우에 있어서 회사차가 준비되어 있지 않고 자가용으로 영업을 하고 있는 기업도 있는 것 같습니다.


직장에서의 이동에 자가용을 사용하고 있으면, 그 차의 수명이나 가솔린, 오일 등의 유지보수비등의 부담은 어떻게 되어 버리는 것일까요.


만약 사고를 일으켜 버렸을 때는 자동차 보험이나 수리비 등은 어느 쪽이 부담해야 하는 것일까요.


자가용을 회사용으로 활용하는 것은 '블랙기업' 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입니다.





▶친척,지인,친구에게 영업을 함.


일반 소비자를 위한 서비스나 상품을 판매하고 있을 때 볼 수 있는 케이스일것입니다.


만약 그 상품이, 그 영업 담당자에게 있어서, 정말로 친척,지인,친구에게 자랑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상품의 매력을 전한 후에 원한다고 말하면 상품을 판매해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사장이나 상사의 방침으로 계약 받을 때까지 친척,지인,친구에게 끈질기게 달라붙는 식의 회사라면 '블랙기업' 이라고 해도 되겠죠.







-----------------------------------------------------

블랙 기업도 │ ★★

(우울증에 걸린 직원이 늘어남)

-----------------------------------------------------


▶성희롱, 갑질, 욕설이 난무함.


이건 완전히 블랙이라고 생각하지만, ★4개로 해드렸습니다.


지금은 남성사원이 여성사원에 대해 'ㅇㅇ짱' 이라고 부르는 것이 여성은 성의롱으로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상사로부터의 성희롱이나 갑질, 욕설에 대해서는 부하직원이라면 좀처럼 반론을 할 수 없는 일입니다.


상대방의 입장을 생각하고 대하지 못하면 큰 문제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직원들의 트라우마가 되어 버리거나 우울증의 원인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사내 환경 등의 재검토를 할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구직공고와 근로계약의 내용이 다름.


이직해 온 직원이나 신입사원에게 구직공고에 적혀 있는 내용과 근로계약이나 근로형태가 차이가 있는 것은 '블랙기업'이라고 말하는 가장 큰 요인이라고 생각 할것입니다.


구직공고에 적혀 있는 초임 금액, 잔업 여부, 복리후생 내용이나 승진이나 상여금 액수 등이 막상 입사를 해서 현실이 보이는 순간에 이럴 수는 없다 라고 되겠지요.





▶서비스 잔업이 횡횅하고 있음.


정시 시각이 되면 타임카드나 출퇴근 시스템 등으로 퇴근인증을 하고 그 후 자리로 돌아가 일을 한다.


이는 바로 '블랙기업' 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일의 실수에 벌금을 청구함.


일의 실패나 할당량 미달성, 경비 정산 지연 등 직원들이 일으킨 실수에 대해 벌금을 청구하는 기업도 있는 것 같습니다.


기업이 주체로 행해지고 있는지, 상사나 부서가 주체로 행해지고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컴플리언스적으로도 '블랙기업' 이라고 말해 버릴 것입니다.


애초에 업무상 손실을 개인의 부담으로 하는 것은 근로기준법 위반입니다.





▶유급이라는 개념이 없다.


유급휴가제도는 사원에게 꼭 부여되는 제도입니다.


하지만 중소기업이나 벤처기업 등에 흔히 듣는 것은 '유급은 있지만 쓸 수 없다', '유급을 소화하고 싶지만 말할 수 없다' 와 같은 말입니다.


유급휴가는 근로기준법이 정하는 노동자의 권리이기 때문에 원래대로라면 사용하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유급 취득을 거부하는 회사는 '블랙기업' 이라고 해도 틀림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사원이 성수기 등에 유급을 소화해 버리면 사업부 등에 큰 폐가 될 가능성도 있으므로 유급휴가를 사용할 기간에 관해서는 상담을 받고 서로 이해를 한 후 승낙을 할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회사용 PC를 자기가 부담함.


일에 활용하는 PC를 자기 부담으로 준비해야 한다는 건 사실 들어본 적은 없지만 그런 사례도 있는 것 같습니다.


신입사원이 입사할 때 'PC를 자기 부담으로 구입한다' 라는 말을 들으면 그런 큰돈을 준비할 수 있을리가 없습니다.


물론 그렇게까지 무리하게 구입하게 하고 있다면 '블랙기업'이라고 말해 버릴 것이 틀림없습니다.


회사측으로서는 예산안에서 경비를 들여 준비를 하는 것으로, 비싼 것이 되어 버릴지도 모릅니다만.


직원을 위해서도 PC는 회사에서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

블랙 기업도 │ ★★

(완전 아웃)

-----------------------------------------------------


▶급여 지급 지연이 다발함.


이건 망설임 없이 ★5 일 것입니다.


일하고 있는 사원에 대해서, 기업이 환원할 수 있는 가장 큰 보수입니다.


지불 기한을 넘겨 버린다는 것은 직원으로부터의 신뢰 관계가 없어져 퇴직, 기소 같은 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회보험이 없음.


사회보험은 기업의 규모나 업종에 따라 가입하는 것이 강제되어 있기 때문에 사원에 대해 사회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것은 아닐까 생각합니다만.


사회보험이 없는 회사는 '블랙기업'이 틀림없을 겁니다.





▶서비스 잔업이나 잔업 비용이 전액 지급되지 않음.


직원이 일한 시간에 대한 급여가 지급되지 않는다는 것은 '블랙기업' 입니다.


잔업비 미지급분을 바탕으로 기소하는 일도 일어날 수 있을 것입니다.


한 번이라도 이런 사건이 터지면 세간에서는 '블랙기업' 딱지를 붙이고 맙니다.





▶과로사,자살 사례가 있음.


아까도 설명을 한, 후생 노동성의 블랙기업 리스트에 틀림없이 실립니다.





▶위법행위(탈세, 분식회계, 마약, 반사회적 세력)


회사의 존속에도 관여할 정도로 큰 문제입니다.


세상의 신뢰를 잃게 되어, 만년 '블랙기업' 이라는 끝없는 늪에 빠져 버립니다.





▶퇴직계를 내면 징계 면직 처분을 받는다.


퇴직 의사가 있는 사원의 미래를 망치는 일이 되어 버립니다.


이런 짓을 해버리면 틀림없이 '블랙 기업' 입니다.





-----------------------------------------------------

마지막으로


어떠셨나요?


멋대로 블랙기업이라고 생각되어 버리는 케이스나 사례를 찾아내 등급을 매겼습니다만, 만약 해당되는 사례가 많은 기업은 재검토가 필요할지도 모릅니다.


만약 조금이라도 짚이는 부분이 있는 인사가 있다면, 회사의 제도의 재구축이나 컴플리언스를 엄격하게 하는 등 블랙 기업이라고 불리지 않는 기업 만들기를 진행시켜 나갑시다.


복리후생을 충실히 하고, 사회보험 등 노무 주위의 정비를 해 나가는 대처가, 내정 사퇴나 조기 퇴직의 방지로 이어져 기업의 이직률을 낮추는 것으로 이어질지도 모릅니다.

추천 비추천

18

고정닉 3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AD 보험상담은 디시공식설계사에게 받으세요! 운영자 24/02/28 - -
62382 요번 부울경 취업박람회 오는갤럼있냐 부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21 57 0
62379 추석전에 관둘거다 [2] ㅇㅇ(118.235) 22.08.21 102 0
62378 출근이다 시발 ㅇㅇ(223.39) 22.08.21 39 0
62377 명절이나 여름휴가 등 이런걸 연차에서 까는거 [4] ㅇㅇ(58.237) 22.08.21 172 0
62376 전기기사+공조기사 2개로 뭐할수있냐 [3] ㅇㅇ(211.108) 22.08.21 191 0
62375 요즘엔 뭐 진짜 서민들은 인생망한듯 [8] ㅇㅇ(124.49) 22.08.21 228 0
62374 JCN울산중앙 인터넷쓰면 답나온거 아님?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21 107 0
62372 생일이면 회사에서 선물뭐줌?? [3] ㅇㅇ(218.158) 22.08.21 110 0
62371 근데 이거 하나는 알아둬라 [1] ㅇㅇ(175.120) 22.08.21 126 1
62370 9월초에 입사하는데 명절선물줌? [4] ㅇㅇ(218.158) 22.08.21 144 0
62369 고덕 추노 했는데 [4] ㅇㅇ(220.84) 22.08.21 199 0
62368 아 저새끼 9급 똥시생충이였음?? [2] ㅇㅇ(223.38) 22.08.21 98 0
62367 아인슈타인 아내도 낙제 제도땜에 고졸이었음 ㅋㅋ [2] ㅇㅇ(180.211) 22.08.21 127 0
62366 그래도 중소기업도 휴가비나 명절때 몇푼 챙겨주지? [8] 99(118.220) 22.08.21 203 0
62365 낙제 제도 도입좀 했으면 좋겠다 ㅇㅇ(180.211) 22.08.21 61 0
62364 오늘도 중졸 180.211한테 어그로 끌리고있네 [16] ㅇㅇ(14.33) 22.08.21 144 2
62363 외노자들도 ㅈ소 아줌마들 뒷담화는 못피하네 [1] ㅇㅇ(121.181) 22.08.21 153 0
62362 혹시 생산관리에서 일하시는분 계심?? [1] ㅇㅇ(218.158) 22.08.21 149 0
62360 저새끼 설잡 이공계 예상한다 ㅇㅇ(223.39) 22.08.21 47 0
62359 ㅋㅋ 존나 병신같다 [10] ㅇㅇ(220.118) 22.08.21 187 0
62358 중소갤인데 중소기업 이야기는 하나도 없네 ㅇㅇ(118.235) 22.08.21 49 0
62357 자유통일을 위한 일천만 국민 서명운동 대한민국(121.170) 22.08.21 13 0
62356 서울대생의 지잡대 까는 글. 재밌노 [13] ㅇㅇ(180.211) 22.08.21 259 1
62355 공대는 인하대,에리카 밑으론 거기서 거긴듯 [2] ㅇㅇ(61.101) 22.08.21 178 1
62354 그래도 친구중에 고졸로 나름 성공한 애들도 있는데 [2] ㅇㅇ(106.101) 22.08.21 131 0
62353 대졸이든 고졸이든 ㅈㅊ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21 107 0
62351 저새끼 그래서 대학어딘데 [7] ㅇㅇ(220.118) 22.08.21 100 0
62350 대졸도 대졸 나름이라는 새끼가ㅋㅋ [6] ㅇㅇ(106.101) 22.08.21 143 2
62349 중갤 발작 버튼 ㅈㅊ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21 39 1
62348 지잡특) 3,4등급으로 딸침 [6] ㅇㅇ(180.211) 22.08.21 130 0
62344 문과가 '그나마' 가기 쉬운 업종이랑 직무가 뭐임?? [2] ㅇㅇ(221.146) 22.08.21 104 0
62342 정상인이면 지잡 까면 수긍할텐데 반응 뜨겁노 [11] ㅇㅇ(180.211) 22.08.21 104 0
62341 좋좋소랑 실제좃소랑 싱크로율 몇퍼임?? [2] ㅇㅇ(222.113) 22.08.21 174 0
62340 대학으로 급나누는 새끼들 특징 [8] ㅇㅇ(1.240) 22.08.21 132 3
62337 남자 심리좀 [1] ㅋㅋ(39.7) 22.08.21 38 0
62336 벌써 내일 출근이네 ... (14.34) 22.08.21 36 0
62335 면접에서 쎄한 느낌들면 바로 나와라 [1] 김개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21 267 3
62334 고졸은 상관없는데,지잡대,좆문대는 못 봐주겠음 [48] ㅇㅇ(180.211) 22.08.21 272 1
62333 부랄이랑 좆 기둥에도 털 나는데 이거 씨발 정상인가요? [4] ㅇㅇ(212.102) 22.08.20 122 0
62331 새로운 대학 교육 제도의 혁신적 모델 ㅇㅇ(221.165) 22.08.20 29 1
62330 중소기업 인테리어 페인트 노가다하는데 회사평가좀 [2] ㅇㅇ(211.203) 22.08.20 100 2
62327 좆소첫출근인데 [4] ㅇㅇ(118.235) 22.08.20 240 0
62326 일본 여배우의 좆소충 일침,뚜드러패기 ㅇㅇ(49.167) 22.08.20 128 0
62325 토목으로 전과해야할듯 [2] ㅇㅇ(117.111) 22.08.20 122 0
62324 나도 삼성엘 갔으면 이자리에 있을수 있었겠지 ㅇㅇ(211.108) 22.08.20 86 0
62322 부모님이 가게 차려줄정도면 은수저냐 [2] ㅇㅇ(59.15) 22.08.20 89 0
62321 fc2 번호좀 알려주실분 ㅇㅇ(183.98) 22.08.20 203 0
62320 누가 더 예쁘냐? [4] ㅇㅇ(49.167) 22.08.20 166 0
62319 9급 4년차 월급 200 인증..jpg [2] ㅇㅇ(117.111) 22.08.20 308 0
62318 지금 9급 공무원 들어가면 희망은 있나요? [5] ㅇㅇ(117.111) 22.08.20 190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