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무기 경쟁에서 뒤처진 미군 ①앱에서 작성

중갤러(106.101) 2024.05.17 11:12:28
조회 66 추천 0 댓글 0

흔히 미군 하면 최첨단 무기로 무장한 세계 최강의 군대를 떠올린다. 할리우드 영화를 보면 미군은 외계인이 쳐들어와도 싸워 이기고 지구를 지키는 천하무적으로 묘사된다. 게다가 전 세계 국방비의 절반 가까이 사용해 ‘천조국*’으로도 불리는 미국이니 그 어떤 나라도 대적할 수 없어야 당연할 것 같다.


*천조국은 원래 조선 시대에 사대부들이 명나라를 하늘로 떠받들던 것을 빗대어 한국이 미국을 맹목적으로 따르는 현상을 비꼬려고 사용한 은어였다. 그러나 지금은 주로 국방예산이 한 해 천조 원에 달하는 나라라는 뜻으로 쓰인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미국의 군사력이 예전만 못하다는 분석이 나오기 시작했다. 최근 미국은 북한이 대륙간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며 본토를 대놓고 위협해도 유효한 군사적 대응을 하지 못하고, 아프가니스탄에서는 슬리퍼 신고 다니는 탈레반 부대에 쫓겨 무려 9조 원에 달하는 무기를 두고 야반도주하고,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의 공격을 받는데도 무기만 지원하고 참전은 하지 않겠다고 선언해야 하는 신세가 되었다.


미국의 군사력은 세계 질서의 중요한 변수다. 따라서 미국의 군사력이 실제 얼마나 약해졌는지 파악하고 그 원인이 무엇인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군사력을 파악하려면 군인과 무기 수준은 물론 작전 능력, 정치적 안정성과 경제력, 동맹관계 등 다양한 요소를 살펴봐야 한다. 여기서는 무기에 집중해서 분석한다.


1. 북한과 첨단 무기 경쟁에서 밀린 미국


미 국무부 자료에 따르면 2019년 기준 북한의 군사비 지출액은 최대 110억 달러라고 한다. 이는 607억 달러인 한국의 18%, 7,300억 달러인 미국의 1.5% 수준에 불과하다. 이것만 놓고 보면 북한과 미국의 무기 수준은 비교할 필요도 없을 것 같다.


그런데 현실에서 미국은 북한과 첨단 무기 경쟁에서 밀리고 있다.


최근 세계 유수의 군사 강국들이 앞다퉈 개발에 몰두하는 극초음속 미사일 사례를 보자.


극초음속은 보통 음속의 5배, 즉 마하 5 이상의 속도를 말한다. 일반적인 탄도미사일은 대부분 이 정도 속도로 날아간다. 심지어 단거리 탄도미사일도 마하 5의 속도를 내는 게 있다. 따라서 극초음속 미사일이라고 하면 단지 속도만 빠르다고 해당하는 게 아니다. 극초음속 미사일의 핵심은 비행 고도다. 탄도미사일의 약점은 높이 올라가다가 상대의 레이더에 일찍 걸린다는 점이다. 그래서 탄도미사일만큼 빠르면서도 저고도로 날아가 레이더에 최대한 늦게 걸리게 하려고 개발한 것이 극초음속 미사일이다.




▲ 회색 점선은 대륙간 탄도미사일 궤적, 파란색은 극초음속 활공체 궤적, 빨간색은 극초음속 순항미사일 궤적이다. 회색 영역은 미사일을 감지하는 레이더의 탐지 범위를 나타내는데 탄도미사일에 비해 극초음속 미사일은 훨씬 늦게 레이더에 포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 2019 Geopolitica Futures


또 저고도로 날아가니 정찰위성으로 감시해도 배경 산란 때문에 감지가 어렵다. 거기다 방향 조절이 가능해 요격 회피 능력까지 갖추고 있다.


이처럼 극초음속 미사일이 ‘방패’를 뚫을 수 있는 강력한 ‘창’이다 보니 내로라하는 군사 강국들이 기술 개발 경쟁을 하고 있다. 여러 전문가는 극초음속 미사일이 미래 전쟁의 ‘게임체인저’가 되리라 전망한다.


극초음속 미사일에도 몇 가지 종류가 있는데 보통 가장 먼저 개발하는 게 극초음속 활공체(HGV)다. 극초음속 활공체는 일단 미사일에 실려 우주 가까이 날아오른 다음 분리, 글라이더처럼 활강하며 목적지까지 날아간다. 이때 속도가 마하 5 이상으로 매우 빠르다. 따라서 극초음속 활공체를 개발하려면 공기저항을 이기고 이런 극초음속을 유지하는 기술, 마찰로 인해 표면온도가 2천 도까지 올라가는데 이를 견디는 기술, 활공체 주변에 발생하는 플라스마에 영향을 받지 않는 센서 기술, 극초음속 상태에서 자세와 방향을 제어하는 기술 등 매우 높은 수준의 과학기술력이 필요하다. (황기영 외, 「극초음속 활공 비행체(HGV)의 연구개발 동향」, 『한국항공우주학회지』 제48권 제9호, 2020, 732쪽.)


현재 러시아, 중국은 극초음속 활공체를 실전 배치했고 미국은 아직 개발 중이다. 또 한국, 일본, 인도, 프랑스, 독일, 영국도 개발 중이다. 또 여러 나라들이 극초음속 활공체의 다음 단계인 극초음속 순항미사일도 동시에 개발하고 있다.


그런데 이런 극초음속 미사일 경쟁에 북한이 혜성처럼 등장했다. 2021년 9월 28일 북한은 극초음속 미사일 화성포-8형 시험발사에 성공하였다. 미사일에서 분리된 극초음속 활공체는 약 450킬로미터 거리를 평균 고도 30킬로미터로 활공하였다. 북한이 공개한 사진을 보면 중국의 극초음속 활공체 DF-ZF와 유사하게 납작한 모양임을 알 수 있다.


2022년 1월 5일 북한은 두 번째 극초음속 미사일을 시험 발사했다. 북한은 이 미사일의 이름을 공개하지 않았으며 사진을 보면 앞서 발사한 화성포-8형과는 다른 원뿔형 활공체임을 알 수 있다. 즉, 북한은 2종의 극초음속 미사일을 동시에 개발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 글에서는 편의상 ‘극초음속 2호’로 부르겠다.


북한은 이날 시험발사 결과 120킬로미터를 측면 기동하여 700킬로미터를 날아가 표적을 명중했다고 밝혔다.


6일 후인 11일 북한은 ‘극초음속 2호’ 2차 발사를 하였다.


군 당국은 탄두 속도가 마하 10, 고도 60킬로미터 이내 활공, 선회 비행 등 극초음속 미사일의 특성이 모두 나타났다고 밝혔다. 또한 700킬로미터를 날아갔다고 하였다.


반면 북한은 600킬로미터 밖에서 활공체가 분리되어 활공 재도약과 240킬로미터 선회비행을 거쳐 1천 킬로미터 떨어진 표적을 맞혔다고 발표했다.


북한의 발표가 사실이라면 군 당국은 극초음속 2호가 활공 재도약을 할 때쯤 추적에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이날 시험을 ‘최종 시험발사’라고 하여 이후 극초음속 2호의 대량 생산과 실전배치가 있을 것임을 암시했다. 권용수 전 국방대 교수는 “북한이 앞으로 한두 번 더 시험발사를 한 뒤 극초음속 미사일 실전 배치를 선언할 수 있다”라고 우려했다. (「남, 극초음속 부인하자…북, 마하10 보란듯 쐈다」, 중앙일보, 2022.1.12.)


그런데 일각에서는 2021년 10월 11일 개막한 북한의 국방발전전람회에 전시된 사진을 토대로 북한이 극초음속 2호를 비공개로 두 차례나 시험 발사했다고 주장한다. 이게 사실이라면 이미 4차례나 시험발사를 했다는 것이고 실전 배치도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예상대로 북한은 2022년 4월 25일 열병식에서 극초음속 2호를 대량 생산하고 있음을 드러냈다.




▲ 2022년 4월 25일 열병식에 등장한 극초음속 미사일.    


반면 미국은 일찍부터 극초음속 미사일 개발에 뛰어들었으나 실패를 거듭하고 있다. 미국은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 다르파)과 공군의 팰컨(Falcon) 프로그램, 육군사령부의 ‘고등 극초음속 무기(AHW)’ 개발, 육·해군 공동 개발하는 ‘공동 극초음속 활공체(C-HGB)’, 공군의 ‘극초음속 타격 무기(HCSW)’와 ‘공중 발사 신속 대응 무기(ARRW)’ 등 여러 극초음속 미사일 개발 시도를 하였다.


팰컨 프로그램으로 개발된 HTV-2는 납작한 세모꼴 활공체로 2010년 4월 22일과 2011년 8월 10일 두 차례의 비행 시험 모두 실패하였다. 비슷한 형태의 활공체인 AHW는 2011년 11월 17일 첫 비행 시험에서 3,700킬로미터 떨어진 목표물을 타격하는 데 성공했다. 그런데 2014년 8월 25일 두 번째 비행 시험에서 발사 직후 비행 제어에 실패해 자폭시켜버렸다.


원뿔형 활공체인 C-HGB는 2021년 10월 첫 실험에 나섰으나 추진체 오작동으로 아예 점검도 못 했고 2022년 6월 실험에는 중간에 이상이 생겨 실험을 완료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올해(2023년) 실전 배치하려는 목표를 2024년으로 미뤄야 했다.


HCSW는 예산 문제로 중간에 중단하였고 ARRW는 2021년 3차례 시험 비행에 실패한 끝에 2022년 12월 9일에야 ARRW 최종 시제품 발사에 성공하였다.


이처럼 북한은 2022년 1월에 극초음속 미사일 최종 시험을 끝내고 대량 생산에 들어간 반면 미국은 2022년 12월에야 처음으로 시험에 성공하였다. 시험을 반복해 안정성, 신뢰성을 확보한 뒤 대량 생산을 해서 실전 배치하려면 아직도 시간이 더 필요한 것이다. 극초음속 미사일 경쟁에서 미국이 북한에 밀렸다.


극초음속 미사일 말고 차량 이동식 대륙간 탄도미사일도 미국은 개발을 중도 포기했으나 북한은 오래전에 완성하였다. 또 북한은 미국에 없는 저수지 발사 탄도미사일이나 철도 이동식 탄도미사일 같은 무기도 개발하였다. 이런 무기들은 다양한 전술 운용을 가능하게 한다.


물론 북한이 몇 가지 첨단무기 개발에서 미국을 앞질렀다고 해서 전체 군사력까지 앞선다고 보는 건 무리라고 얘기할 수도 있다. 여전히 미국은 전반 무기 분야에서 훨씬 다양하고 성능 좋은 무기를 가지고 있으며 전체 무기 비축량도 더 많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군사 과학기술 강국만이 개발할 수 있다던 극초음속 미사일을 비롯한 첨단 무기 분야에서 북한이 앞선 현실은 미국의 첨단 무기 개발 분야에 심각한 허점이 있음을 말해준다.


게다가 인류의 전쟁 역사를 보면 한두 가지 첨단 무기가 승패를 가르거나 전황을 뒤바꾸는 경우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기원전 1680년 패권국 이집트를 무너뜨린 힉소스인의 ‘전차’, 임진왜란 때 활약한 ‘신기전기화차’와 ‘거북선’, 1898년 500명의 영국군이 1만 4천 명의 수단 무장세력을 단 40분 만에 제압하게 만든 ‘기관총’, 1차 세계대전 한복판에 등장한 영국군의 신무기 ‘MK-1 전차’ 등 신무기가 전쟁에서 결정적 변수가 된 사례는 얼마든지 있다.

- dc official App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AD 보험상담은 디시공식설계사에게 받으세요! 운영자 24/02/28 - -
854561 동탄 미시룩 입고온 경리 오늘 30분 조퇴갈김 중갤러(106.101) 06.07 88 2
854560 대구살때 신기했던게 [1] ㅇㅇ(118.235) 06.07 52 0
854558 천만원 마렵냐? 왜 자꾸 천만원 얘기하는 의도부터 풀어봐라 중갤러(115.95) 06.07 12 0
854556 아니 채용공고에 월급 적힌거 보통 세후로 알지않냐?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41 0
854555 83살에 재산 20억이면 많은거냐 중갤러(106.101) 06.07 14 0
854554 ★ 가공 일 MCT,CNC 하려는 애들 잘봐라 ★ 홍금보와성룡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27 1
854552 40살 후반에 [4] 중갤러(106.101) 06.07 62 0
854551 ㅈ소 공장 다는 애들 중이 희안한 마인드 중갤러(211.234) 06.07 26 0
854549 전직 20인 이하 중소다니다 교순소 붙었는데 만족도 [7] 중갤러(211.234) 06.07 64 2
854548 중소인이 80퍼맞냐?? [4] 중갤러(175.223) 06.07 77 0
854547 념글 존나 웃기네 ㅋㅋㅋㅋㅋ 씨발 [1] 중갤러(118.235) 06.07 47 0
854546 민방위 정도는 여자도 받을만 하지않냐?? [1] 중갤러(223.62) 06.07 20 0
854545 강소기업이고 구내식당 있으면 좋은회사냐?? [5] 중갤러(211.219) 06.07 48 1
854542 실수령200 1년동안 1000만원모았네.. 죽고싶다진짜 하... [6] ㅇㅇ(211.38) 06.07 84 0
854541 씨발 이 좁은 나라에 인구가 너무 많다 개씨발 [4] 중갤러(27.35) 06.07 46 0
854540 나도 26살에 좆소드가서 3년하고 대겹으로 이직함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49 0
854539 좆소200 vs 방구석 쌀먹 400 [1] 중갤러(211.107) 06.07 36 0
854538 요즘 젊은애들이 공장와서 못버티긴하더라 [46] 홍금보와성룡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2448 28
854537 좆소 2교대 생산직 가면 손가락 잘린다;;.. [1] 23살 모쏠아다(106.101) 06.07 35 1
854536 공장에서 지게차 탄다 [4] ㅇㅇ(223.38) 06.07 58 1
854535 소개팅하려고 옷 삿는데 [6] 중갤러(211.241) 06.07 113 1
854534 할거없으면 공무원 해라? [1] ㅇㅇ(211.234) 06.07 44 3
854533 솔지깋 공장 중붕이들이 유흥많이다니는건 팩트다 ㅇㅇ [7] 홍금보와성룡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71 0
854532 무조건 뭐라도 경력해놓는게 훨 나음 [4] ㅇㅇ(61.43) 06.07 75 2
854531 여자들이 많은 업종은 가면안됨 [4] 중갤러(211.241) 06.07 71 0
854529 돈벌고 싶으면 당장 2교대 생산직 들어가라 [6] 중갤러(211.234) 06.07 65 0
854528 빡통고졸로 살아도 무시받지않는 나라가 되었으면 [6] ㅇㅇ(218.53) 06.07 52 2
854526 좋소다녀도 행복하다 [2] 중갤러(39.7) 06.07 40 0
854525 2교대도 환경만좋고 상여금을 이정도준다면 ? [4] 홍금보와성룡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41 1
854524 와 진짜 재기마렵다 마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33 0
854523 EZ2DJ 알면 틀딱이냐? [4] 중갤러(116.127) 06.07 48 0
854522 좃소의 상징은 여자실장이 원탑이다 [1] 중갤러(118.235) 06.07 39 0
854520 3달도 안된 여직원 [3] 중갤러(118.235) 06.07 80 2
854519 면접 분위기가 이렇게 좋았는데도 연락이 안오는구나 [6] 중갤러(121.129) 06.07 80 0
854518 이번주 토요일 쉬는 경리 인스타..jpg [2] ㅇㅇ(116.121) 06.07 123 0
854517 다른건몰라도 진짜 회사좆같아도 이것만 보고가라 ㅇㅇ [3] 홍금보와성룡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47 2
854516 내가보기엔 2교대보다 3교대가 더 피곤하다 본다 ㅇ [5] 홍금보와성룡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42 0
854515 박원순, 안희정처럼 되고싶어? [1] ㅇㅇ(1.228) 06.07 35 0
854514 돈벌라면 2교대 하는게 맞다 [5] 중갤러(211.234) 06.07 42 0
854513 솔직하게 능력없으면 결혼은 양심적으로 포기해야지. 아니.. [4] 홍금보와성룡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32 0
854512 관리 잘하면 노안 안옴 ㅋㅋ [5] 중갤러(106.101) 06.07 96 0
854510 젊음이 최고다. 거울을 봐라 애들아 ㅇㅇ [1] 홍금보와성룡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39 0
854509 근데 주야2교대도 맞는 사람은 존나오래하던데? [10] 홍금보와성룡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98 2
854508 열심히하는게힘들어요 [1] 중갤러(220.70) 06.07 19 0
854507 일하기싫어 미치겠네 씨발 [3] ㅇㅇ(106.102) 06.07 48 0
854506 요샌 번따라고 하지도 않지 않냐 [2] Adrie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53 0
854505 경리년 너무 예쁜데 어떡하지 [5] ㅇㅇ(223.39) 06.07 91 0
854504 내가 지방사는데 일단 다른거몰라도 ㅇㅇㅇ [1] 홍금보와성룡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27 0
854503 31살에 8.6억 정도 모았으면 평범해? 보통이야? 중갤러(218.145) 06.07 22 0
854502 파이류 과자중에서 후레시베리가 최고존엄이다 [3] 중갤러(121.65) 06.07 33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