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메이플스토리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메이플스토리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학생 킥보드 체포 트위터 반응 주갤러
- 그알에 출현한 32세 캥거루족.jpg 코드치기귀찮아
- 훌쩍훌쩍 설치류 외모지상주의 최대 피해자 레전드 ㅇㅇ
- 최근 중국의 결정사 남녀 비율 ㅋㅋㅋ 주갤러
- 고3때 친구때문에 마약성 물질에 중독된 만화 하이바라
- 지최대 탈락 작품입니다. 스읍
- 오사카 초단기 여행 - 프롤로그 (20장) doer
- 골든위크동안 다닌곳들 ウマyoん
- 싱글벙글 여성전용 주차칸 주차 ㅇㅇ
- 고전) 싱글벙글 대학교 시험 레전드 ㅇㅇ
- 사채돈 100만원이 5일만에 360만원이 되는 기적 부갤러
- 싱글벙글 죽어라 이교도 ㅇㅇ
- 첫사랑만 천년째 하는 엘프.manhwa 4화 보푸리
- 마법소녀기담 ABC 109화 존크라운
- 버그 걸리는 히로인 만화(지최대 탈락작) 다를로스
싱글벙글 파브르가 연구했던 곤충이 모티브인 포켓몬들.jpg
오늘은 ”파브르 곤충기“의 저자이자 곤충박사로 유명한“장앙리 파브르“가 연구했던 곤충들과 그들을 모티브로 삼은 포켓몬들을 알아보자1. 쇠똥구리 - 구르데파브르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딱정벌레목의 곤충파브르가 프랑스의 들판에서 쇠똥구리가 동물의 배설물을 굴리는 모습을 우연히 보고 흥미를 느끼게되는데“왜 쇠똥구리들은 배설물을 공처럼 굴리지?”라는 의문을 품고 본격적으로 연구하게됨그렇게 그가 알아낸 사실은 쇠똥구리는 배설물을 말아서 공처럼 만드는데 특정 크기의 공만 선호하고 굴리는 방향이나 방식이 일정했으며 그 안에 알을 넣고 키운다는 것어느날에는 쇠똥구리의 공을 뺏어서 지켜봤더니 공을 찾으러 다니다가 못 찾으면 처음부터 공을 다시 만들었다고함이걸 통해 쇠똥구리가 공을 굴리는 이유는 ”사고“ 때문이 아닌”본능“ 때문이란걸 알게됨참고로 쇠똥구리 포켓몬 구르데가 굴리는 공은 배설물이 아니라 진흙2. 도롱이벌레 - 도롱충이도롱이벌레는 애벌레 시기에 근처에있는 나뭇잎이나 나뭇가지와 돌맹이 등등의 재료들로 도롱이를 만들어서 그 안에서 살아가는 곤충임어느날 파브르가 도롱이벌레의 도롱이를 벗겨봤는데당황한듯 보이더니 얼마안가 곧바로 주변에 재료들을 탐색해 다시 새로운 도롱이를 만들었다고함이동할때는 도롱이를 짊어진채로 몸 절반만 밖으로 빼서 이동함암컷은 평생을 도롱이속에서 지내고 수컷은 나방이 됨그래서 도롱이벌레 포켓몬인 도롱충이도 암컷은 도롱마당으로 진화하고수컷은 나방 포켓몬인 나메일로 진화함근데 나메일은 도롱이나방이 아니라 꿀벌부채나방에 더 가깝다고함3. 메뚜기 - 콩알뚜기파브르는 이 작은 곤충이 어떻게 그렇게 높이 점프할 수 있는지 궁금해했는데메뚜기를 붙잡고 땅에 놓은 뒤 얼마나 멀리 뛸 수 있는지를 반복 측정했다고함그 결과 뒷다리 근육의 구조와 힘을 분석하고 ”탄성 에너지의 효율적 사용“이라고 결론을 내림메뚜기 포켓몬 콩알뚜기는 제 3의 다리가 하나 더 있는데 이걸로 10m 이상 높게 점프한다고함4. 무당벌레 - 이올브(무당벌레 번데기,무당벌레 유충)(무당벌레 성충)두루지벌레(유충),레돔벌레(번데기),이올브(성충)주로 먹는 먹이는 진딧물로, 하루에 수십마리의 진딧물을 먹는다고함그래서 농업에 매우 유익한 곤충이라고 칭찬했음실험으로 진딧물 군락 근처에 무당벌레를 놓자마자 곧바로 사냥에 돌입했다고무당벌레 포켓몬 이올브는 벌레/에스퍼 타입이라 똑똑하고 사이코 파워를 발산한다고함5. 매미 - 아이스크정확한 모티브는 참깽깽매미매미는 수컷 매미만 울고 우는건 짝을 찾기 위해서라는걸 연구했고매미의 내부 기관인 진동막을 떨게해서 소리를 낸다는 해부학적 구조도 설명함(매미 유충)토중몬(유충)매미 유충은 땅 속에서 몇 년을 살다가 여름에 땅 밖으로 나와 단 몇 주 동안 짝을 찾다가 짝짖기 후 죽는다는걸 관찰함직접 땅을파고 유충이 나오는것도 보고, 탈피 순간도 세세히 기록함(매미 허물)껍질몬(허물)매미 허물 포켓몬인 껍질몬은 게임에서 토중몬이 아이스크로 진화할때 파티멤버 슬롯이 비어있으면 자동으로 얻게됨- dc official App
작성자 : 짜잔고정닉
무궁화호 클래식과 나뭇결 초기 구분법
무궁화호 클래식 객차와 나뭇결 초기형 객차는 언뜻 보면 닮은 구석이 많기에 헷갈리는 경우가 많더라고 그래서 두 객차를 구분하는 방법을 올려보려 해 구분법을 굳이 알아야 될 이유가 없다는건 잘 알고 있으니까 그냥 재미로 읽어주면 좋겠음 그럼 ㄱㄱ 1. 객실 선반먼저 가장 잘 알려진 방법으로 객실 내부의 선반으로 구별할 수 있지 은색 스테인리스 선반 - 클래식 주황색 선반 - 나뭇결 초기 즉, 위 사진이 클래식이고 아래 사진이 나뭇결 초기 클래식 선반 근접샷 클로버를 닮은듯한 특유의 무늬가 있다 나뭇결 초기 선반 근접샷 잘 보면 선반의 색상, 재질 뿐만 아니라 형태도 차이가 있음 2. 차호 및 제작사 글 작성일 기준 현재 운행중인 클래식 객차는 모두 6량으로 12161호 ~ 12166호가 해당 (전부 1996년식) 따라서 이 역시 윗 사진이 클래식, 아래 사진이 나뭇결 초기 6량 전부 방송실 객차임 (그렇다고 해서 무조건 3호차에 조성되지는 않더라고) 외부에서도 대차에 부착되어 있는 스티커를 통해 차호를 알 수 있음 (여담이지만 두 차량 모두 동일한 NT-21 대차를 사용하고 있기에 대차의 차이점은 X) 두 객차는 제작사로도 구분이 가능해 클래식 - 현대정공, 한진중공업 제작 (1994 ~ 1996) 나뭇결 초기 - 대우중공업 제작 (1996 ~ 1997) 제작사 패찰은 통로문 왼쪽 아래에 있어서 촬영이 어렵기 때문에 찍어둔 자료가 거의 없음 ㅈㅅ (위 사진은 보존 및 전시 차량에서 촬영) 3. 측등 가장 많이 헷갈려하는 차체 외부 구분 언뜻 보기엔 똑 닮은 객차지만 측등(후미등)의 갯수와 위치가 완전 다르기에 익숙해진다면 아주 쉽게 구분할 수 있음 윗 사진처럼 측등이 차체 좌우 2개씩 장착되어 있고, 장착된 위치가 회색 도장면이면 클래식 아래 사진처럼 측등이 차체 왼쪽에 1개만 장착되어 있고, 장착된 위치가 파란색 도장면이면 나뭇결 초기 나뭇결 초기는 반대편의 측등 위치가 위 사진과 다르긴 하지만 파란색 도장면에 장착된건 동일함 2019년 쯤 모두 은퇴하여 현재 운행하고 있지는 않지만, 측등이 차체 우측 1개만 장착된 클래식 객차도 존재 이는 1994년에 제작된 클래식 객차의 특징으로 1995 ~ 1996년에 제작된 클래식 객차는 앞서 언급했듯 차체 양쪽에 장착됨 4. 내부 벽 무늬 마지막으로 창문 밑 내부 벽면 무늬로도 구분이 가능해 클래식은 스크래치 같은 무늬라면 나뭇결 초기는 말 그대로 나뭇결 무늬 각각 클래식, 나뭇결 벽면 무늬 근접샷 이 또한 여담이지만 두 객차 모두 벽면 무늬에서 별명이 유래된 케이스 나뭇결은 나뭇결 무늬라 그렇고, 클래식은 과거 70년대, 80년대에 제작된 객차랑 벽면 무늬가 동일해서 클래식하다고 하여 클래식 객차라는 별명이 붙게 됨 주의! 앞에서 내부 얘기할 때 안 다루고 마지막에 언급하는 이유가 있는데, 위 사진들처럼 도입 당시부터 있던 내장재가 일부 유지된 객차도 있는 반면, 내장재 교체 공사를 통해 같은 무늬로 바뀐 클래식/나뭇결 객차도 있기에 벽면 무늬만으로 100% 구분할 수는 없음 간단 요약 클래식 객차 - 현대정공, 한진중공업 제작 - 6량만 남아있으며 차호는 12161 ~ 12166 - 측등이 회색 도장면에 있음 - 은색 스테인리스 선반 - 스크래치 벽면 무늬 나뭇결 초기형 객차 - 대우중공업 제작 - 측등이 파란색 도장면에 있음 - 주황색 선반 - 나뭇결 벽면 무늬 이상 글 읽어줘서 정말 고맙고 질문이나 오류 있으면 이야기해줘
작성자 : ㅇㅇ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