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율리야 티모셴코 - 우크라이나 오렌지 혁명 - 우크라이나 역사, 경제

중러vs미일(109.163) 2014.02.25 15:07:12
조회 464 추천 0 댓글 0

율리야 티모셴코


율 리야 볼로디미리우나 티모셴코(우크라이나어: Юлія Володимирівна Тимошенко, Yulia Volodymyrivna Tymoshenko, IPA: ['julijɑ ʋɔlɔ'dɪmɪriʋnɑ tɪmɔ'ʃɛnkɔ], 결혼 이전의 성: 흐리햔(우크라이나어: Григян), 1960년 11월 27일 ~ )는 우크라이나의 여성 정치인이다. 2004년 오렌지 혁명 때의 주요 인물이며, 전 우크라이나의 총리이다.


2765D9385309A9BB0B3A68


소 련 우크라이나 공화국 동부의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드네프로페트로프스크)에서 라트비아인 아버지와 러시아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대학교에서 경제학을 전공했다. 대학 졸업 후 지역 공장에서 직원으로 일하다가, 페레스트로이카 열풍 속에 1989년 비디오 대여점을 차렸다. 소련 붕괴 후 대여점은 대형 체인으로 키워 내며 사업 수완을 발휘했고, 그 후 에너지 관련 기업을 경영하였다. 1995년 ~ 1997년 국영인 연합에너지시스템 사장을 지내며 많은 재산을 모았으며, 러시아에서 수입하는 가스와 석유에 의존하는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와 밀접한 관계를 맺었다.


1996년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 당선되었으며, 우크라이나 에너지 정책에 깊숙이 관여했다. 1999년 부총리를 맡아 빅토르 유셴코 밑에서 에너지 민영화 작업을 추진했다. 그러나 이로 인하여 기존 정치 세력과의 알력이 깊어지면서 2001년 1월 레오니드 쿠치마 대통령은 그를 해임했으며, 곧 공문서 위조와 탈세 혐의로 기소되었다. 같은 해 유셴코와 함께 쿠치마 정권을 무너뜨리려는 시도를 했으나 실패했다. 


2002 년 율리야 티모셴코 블록을 창당하여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다시 당선되었으며, 국민의 인기가 높았다. 2004년 11월 대통령 선거에서 우리 우크라이나의 지지를 받은 빅토르 유셴코 후보가 낙선했다는 발표가 있자, 부정선거에 불복하여 대규모 시위를 주도하며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이는 오렌지 혁명으로 불리며, 결국 유셴코가 최종적으로 대통령이 되었으며, 티모셴코는 그 공로로 2005년 1월 총리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권력층 간의 갈등이 계속되면서 그 해 9월 유셴코 대통령은 내각을 해산시켜 티모셴코는 총리직에서 물러났다. 그러는 사이 그는 에너 지회사 사장 재직 시절 러시아 고위 관리에게 뇌물을 건낸 혐의로 러시아 검찰의 수배를 받기도 했다.


2006 년 총선에서 그가 이끄는 율리야 티모셴코 블록은 더 많은 의석을 확보했다. 2007년 총선에서 빅토르 야누코비치 총리가 이끄는 지역당에 근소하게 패했으나, 다른 당과 연정을 구성, 2007년 12월 다시 총리 자리에 올랐다. 2008년 말, 세계 금융 위기, 러시아와의 에너지 분쟁, 남오세티아 전쟁과 관련된 그루지야 문제 등으로 다시 빅토르 유셴코 대통령측과의 대립이 격화되어 연정이 붕괴되었으나, 총리직에서 해임되지는 않았다.


2009년 7월에는 대한민국을 방문하여 이명박 대통령을 접견하였다.


티 모셴코 총리는 화려한 외모와 뛰어난 능력으로 인기가 높지만, 최근 계속되고 있는 우크라이나의 정치·경제적 불안으로 총리 자리를 위협받기도 했다. 2010년 1월 17일에 치러지는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결과는 빅토르 야누코비치에게 패하여 당선되지는 못했다. 2010년 2월 7일에 결선 투표에 다시 참여했으나, 또 한번 빅토르 야누코비치에게 패하여 대통령으로 당선되지 못하였다. 잠시 빅토르 야누코비치 밑에서 총리를 하였으나, 얼마 후에 사임하였다.


빅 토르 야누코비치 전 대통령이 근소한 차로 복권하면서 오렌지 혁명 이후 그녀의 정권에 대한 겨냥 수사가 전방위로 이뤄진 가운데 러시아와의 가스 배관 계약 시 대통령의 직권을 이용해 우크라이나의 국익을 훼손시켰다는 이유로 7년형이 인도됐다. 더군다나 복역 이후에도 3년 동안 공직 출마 및 취임 자체를 불가능하게 한 판결이 내려졌다. 유럽연합은 이미 판결이 이뤄지기 전부터 유죄 선고 시 우크라이나에 대한 검증 및 반발을 예고한 상태여서 유럽연합과 러시아의 반발도 거세질 조짐이 일고 있다.


http://ko.wikipedia.org/wiki/율리야_%8

B모셴코


----------

오렌지 혁명


오렌지 혁명은 2004년 11월-12월에 발생한 우크라이나에서 빅토르 유셴코의 지지자들에 의한 일종의 정치적 시민저항이다. 이 혁명은 빅토르 유센코의 지지자들이 조직하고 추진했으며, 빅토르 야누코비치의 정치적 반대자들이 합세했다. 


오 렌지 혁명은 중앙선거 관리 위원회가 예비 결과에서 빅토르 야누코비치가 승리한 것으로 발표하면서 시작했다. 우크라이나 최고 재판소는 유권자들의 투표와 예비 집계 과정 중에 이러한 위반사실을 확인하고 중앙선거 관리 위원회의 선거 결과에 대한 발표를 취소하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2차(결선)투표를 다시 거행하도록 명령했다. 


이 명령으로 시위대는 우크라이나 정부가 최고재판소의 결정을 기다리도록 저지했으며, 최고 재판소의 결정을 근거로 대통령 선거 결선 재투표 진행을 성사시켰다. 재투표 결과 승리를 쟁취한 것은 빅토르 유센코이다.


이 저항은 서부와 중부 지역을 기반으로 했으며, 당시 집권 여당의 후보자(빅토르 야누코비치)는 우크라이나의 동부와 남부를 장악하고 있었다. 


서방 각국의 여론은 우크라이나 야당(빅토르 유센코)의 편이였다. 일련의 유럽 국가의 국가정치지도자들이 대립하고 있는 양측의 협상 중재자로 나섰다.


오 렌지색은 우크라이나 혁명의 상징이다. 오렌지색은 독립 광장의 집회활동에 사용되기 이전부터, 젊은이들과 정치적 관심이 높은 주민들이 옷이나 장신구 등에 착용하였었다. 이후 오렌지색에 빅토르 유셴코의 상징이 더해졌다. 유셴코 선거 위원회는 자신들의 상징으로 오렌지색을 사용하였다. 오렌지색 바탕 위에 ‘Так!’ (러시아어로는 Да!, YES!라는 의미)이라는 로고를 새겨 넣었다. 유셴코의 지지자들은 혁명의 상징으로써 오렌지를 서로에게 선물했으며, 정적에게도 선물하였다.


http://ko.wikipedia.org/wiki/오렌지_혁명

-------------


우크라이나 역사


우 크라이나(우크라이나어: Україна, 영어: Ukraine)는 동유럽의 국가이다. 남쪽과 남동쪽으로는 흑해와 아조프 해, 동쪽과 북동쪽으로는 러시아, 북쪽과 북서쪽으로는 벨라루스, 서쪽으로는 폴란드, 슬로바키아, 헝가리, 남서쪽으로는 루마니아, 몰도바와 접한다. 키예프(Kyiv)는 우크라이나의 수도이며 가장 큰 도시이다. 동유럽 평원과 이어져 있으며 기후는 비교적 온화한 편이다. 공용어는 우크라이나어 및 러시아어를 사용하며 인구의 절반(주로 동남부 지역)은 러시아어 사용자이다.


우 크라이나의 역사는 동슬라브족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었다. 최소한 9세기 무렵 이후로는 우크라이나의 영토가 중세 동슬라브 문화의 중심지가 되었다. 키예프 공국으로 알려진 이 나라는 유럽에서 가장 크고 강력한 나라가 되었으나 12세기에 분열되었다. 


14세기부터 우크라이나 일대는 여러 지방 세력에 의해 분열되어 몽골족·폴란드·리투아니아 등의 지배를 받았다. 19세기까지 우크라이나의 가장 큰 부분이 러시아 제국에 통합되었고, 나머지 부분은 오스트리아-헝가리의 통제하에 놓였다. 


우 크라이나는 러시아 혁명 후의 혼란과 끊임 없는 전쟁 속에서 여러 차례 독립을 시도하여 1917년에 민족국가를 건설했으나, 1922년에 소비에트 연방에 강제합병되었다. 1923년 소비에트 연방 헌법의 적용을 받았다. 1991년 소련 해체와 함께 독립하였다. 


군사력 운영의 질적 수준은 아직 러시아와 벨라루스의 중간사이다. 지하자원도 풍부하여, 도네츠 탄전의 석탄, 크리보이로그의 철광석, 카르파티아 유전과 천연가스, 그 밖에 망간, 우라늄, 식염, 칼리염, 석회석 등을 산출한다. 


주민은 73%가 우크라이나인, 22%가 러시아인이다. 산업으로는 석탄·철광·선철의 생산에 있어서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 풍부한 수력전기를 이용하여 기계제조공업·화학공업이 크게 발달했으며 유수의 공업지대를 이루고 있다.


석 탄업, 철강업, 기계제조업, 화학공업의 중심은 돈바스·드네프르지역이며, 드네프르강의 하구에서 키예프까지의 사이에는 6개소의 수력발전소가 단계상(段階狀)으로 건설되어 있다.우크라이나의 경지율은 약 70%에 이르고 있어, 겨울밀·옥수수·보리·사탕무·해바라기·포도의 재배, 가축사양 등에서는 구 소련 시절 매우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온 난한 크림반도 남단과 광천(鑛泉)이 솟는 카르파트 지방은 중요한 관광·보양지이다. 러시아의 작가 니콜라이 고골의 작품 〈타라스 부리바〉의 배경이 되기로도 알려졌다. 공용어는 우크라이나어 및 러시아어가 쓰이고, 국민의 대다수가 믿는 종교는 우크라이나 정교회이다. 최근에도 우크라이나에서는 스킨헤드가 극성을 부리고 있으며, 이는 러시아 만큼 무시무시한 네오나치즘 스킨헤드가 활동하는 상태이다.


우크라이나는 항공우주산업, 로켓·미사일, 레이더, 전기·전자시스템, 가스터빈 분야 등에서 우수한 방산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유즈노예 로켓엔진 설계업체액체로켓 부분 세계 최고 로켓 엔진 설계 업체이다. 소련 시절 전략 로켓군의 지상 발사 전략 탄도탄은 모두 여기서 설계되었다.


http://ko.wikipedia.org/wiki/우크라이나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AD 보험상담은 디시공식설계사에게 받으세요! 운영자 24/02/28 - -
717548 이란 남부서 5.3지진 응딩이(211.36) 14.04.17 693 0
717547 김여ᆞ아때도 서명이니 이러다또 시간지나면 언제그랬냐는듯이 잠잠.스크린정치 ㅇㅇ(115.137) 14.04.17 49 0
717546 ㅋㅋㅋㅋ거바 15일이 시작의날임 [1] ㅂㅅ(117.111) 14.04.17 222 0
717545 선장ㄹㅇ 맨날하던일인데 사고회로가 멈춘게아니믄 어케그러냐 [1] ㅇㅇ(115.137) 14.04.17 150 0
717544 이건희가 귀국한 이유 [1] zz(58.140) 14.04.17 627 2
717543 중앙재난본부도 결국 정부소속이니 선장그새끼 잘못만은아니지 박근혀진짜 다른큰일이묻힌걸수있(115.137) 14.04.17 145 0
717542 천안함,경주리조트,세월호 [1] silv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4.17 428 1
717541 이거 누가 퍼트린거냐 ? 네이버 연관 검색어 [5] 신의 회계사(112.146) 14.04.17 546 2
717540 요즘 사태 - 어떤 시공 속으로 들어온 기분.. 뮴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4.17 842 5
717538 미갤여러분 사과드립니다 [4] ㅋㅋ(59.0) 14.04.17 410 8
717537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ㅡ같이보기 에 행정기관 나온다 연관이다되있다 박근혜소름 ㅇㅇ(115.137) 14.04.17 125 0
717536 세월호가 딱 상황좋지 뒤에서조종하기딱임 정치같은데..재난본부도다 위에 [1] ㅇㅇ(115.137) 14.04.17 154 2
717535 4월4일이...4x4 16 ..? [1] 하나둘공(220.123) 14.04.17 211 0
717534 태국총리, 18일 헌재 출두 예정…해임 여부 주목 [1] 닉넴고정(118.41) 14.04.17 262 2
717533 박근혜..일터지는데도 표정봐 참 마인드컨트롤잘한다..수상해진짜ㅇㅇ ㅇㅇ(115.137) 14.04.17 255 1
717532 그리고선장 나중에 풀려날수도있고 선장이 돈받고저랬을수있지 재난본부인가거 ㅇㅇ(115.137) 14.04.17 135 2
717531 근데 저세월호가 스크린다장악한게 꼭 위로때문일까 무언가 은폐일수도있다 스크린정치(115.137) 14.04.17 102 3
717530 제네바 4자회담 시작...외교적 해결 전망 어두워 [2] 닉넴고정(118.41) 14.04.17 190 1
717529 이제 시작입니다. silv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4.17 236 0
717526 2015년 4월4일 이네 블러드문 날짜확인좀하자 ㅋㅋㅋ ㅇㅇ(115.137) 14.04.17 546 0
717524 선장 및 선원들 마인드컨트롤 아닐까? ㅇㅇ(180.231) 14.04.17 200 3
717522 사실 재미로 여기 오고. [3] 개지루한세상(121.141) 14.04.17 426 8
717521 5월7일?양력?음력?무슨사건이? [1] 14.8진실(220.130) 14.04.17 284 2
717520 중국군 前사령관, 주일미군 사령관에 '경고편지' 닉넴고정(118.41) 14.04.17 142 2
717519 아. 2틀에 하나꼴로 터지네. [3] 개지루한세상(121.141) 14.04.17 326 4
717518 오랜만에 와보니 미갤 병신글 좆많아지고 병신좆마니도 판을치는구나 [2] J(46.165) 14.04.17 297 8
717516 리얼!대한항공기, LA공항 착륙 후 공항 시설과 충돌!!! [4] ♡뺀찌♡(223.62) 14.04.17 563 6
717514 경제발전 이룩할 동안 사회의식,윤리의식도 같이 발전해야 되는데 [5] ㅇㅇ(180.231) 14.04.17 171 2
717512 사고 당시 조타실에 선장 없어 [6] 닉넴고정(118.41) 14.04.17 365 6
717511 죽은 자들로 저희 죽은 자를 장사하게 하고 너는 나를 좇으라 금발소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4.17 39 0
717510 칼기LA공항에서 사고난거 낚시아님 방금속보임 [5] 14.8진실(220.130) 14.04.17 410 2
717506 (속보)14.8터지기시작한다.. 칼기 LA공항에서 사고. [1] 14.8진실(220.130) 14.04.17 720 6
717503 이번사건딱봐도 베리칩이랑관련잇네. [2] ;(112.184) 14.04.17 289 3
717501 침목된 세월호를 간단히 알아보자 2탄 [1]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211.247) 14.04.17 768 4
717500 구명뗏목 46척 중 1척만 작동 이유는 [1] 닉넴고정(118.41) 14.04.17 350 7
717499 침몰된 세월호를 간단히 알아보자. 1탄 [5] ㅋㅋㅋㅋㅋㅋㅋㅋ(211.247) 14.04.17 723 3
717498 원래부터 이나라가 이래 [5] ㅇㅇ(175.223) 14.04.17 319 19
717497 4월 19~20일 사이 조심해라 [1] ㅂㅂ(114.206) 14.04.17 460 1
717496 죽은 자들로 저희 죽은 자를 장사하게 하고 너는 나를 좇으라 [2] 금발소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4.17 100 0
717495 최고급호텔평생무료숙박권 최고급레스토랑평생무료식사권 매일휘발유5만리터구입비 금발소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4.17 42 0
717494 여하간 맨날 갈궈주면~~ [1] 옴마니반베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4.17 583 0
717493 죽음 다음에 립서비스 하면 뭐하나 ㅇㅇ(175.223) 14.04.17 71 1
717492 더이상 로리타 못 올리는 우후후가.. [4] 옴마니반베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4.17 182 1
717491 구조작업과 재난관리 실태 손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4.17 47 0
717490 ㅋㅋ 가 우후후인가? [3] 옴마니반베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4.17 108 0
717488 ☆음력 4월4일 전후다.! (세월호 관련) [4] ♡뺀찌♡(182.219) 14.04.17 2359 22
717487 아이피 우회해서 안전하다는 ㅋㅋ 란 유동. [7] 옴마니반베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4.17 620 0
717486 단원고에 조기형태로 게양된 태극기 [2] 닉넴고정(118.41) 14.04.17 391 4
717484 만약 평행이론 이라면 1프로(223.62) 14.04.17 744 1
717483 경찰에 제출한 자료중에...ㅎㅎ [9] 옴마니반베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4.17 543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