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인도철학사 1 인도철학의 이해

귀두컷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4.02.27 01:58:05
조회 284 추천 3 댓글 2
														

 

viewimage.php?id=20a4c332e0c021&no=29bcc427b18a77a16fb3dab004c86b6f01720db71ff9b164c92677c33efaad9e9a1734e516726ac457c58b50254e601c5e43611f35d4367c45

 

인도철학의 이해

 

철학은 경이감에서 출발한다고 흔히 말하지만 철학이란 단순히 인간의 순수한 지적 욕구를 만족시키려고 영위되는 것은 아니다. 철학적 사유의 배후와 근거를 살펴볼 것 같으면, 철학이란 삶의 궁극적인 문제들과 근본적인 관심사들의 해결을 위한 인간의 끊임없는 모색인 것이다. 그리고 인간이 추구해 온 삶의 문제들과 관심사란 두말할 것도 없이 그들이 처해 있는 문화적 전통 역사적 상황에 따라 많은 차이와 다양성을 보여준다.

 

인도철학도 물론 인도인의 전통적 사회와 문화, 그리고 그들이 추구해 온 삶의 가치와 이상을 떠나서 이해될 수 없다. 인도인들은 전통적으로 인간이 마땅히 추구해야 할 4가지 가치를 말해왔다. 즉 욕망, 부, 의무, 해탈이다. 이들 네 가지 가치는 모두 인간존재 자체가 필연적으로 지니고 있는 요구에 바탕을 두고 있는 것이다. 욕망이란 인간의 본능적인 성적 즐거움과 만족을 추구하는 것이며, 부란 행복한 삶의 조건이 되는 물질적인 풍요를 의미하며, 의무란 사회적 동물로서의 인간의 삶에 없어서는 안 될 윤리적인 질서를 가리키며, 해탈이란 인간이 유한한 삶을 넘어서서 영원한 삶을 향유하려는 종교적 갈망에 바탕을 둔 것이다.

 

인도철학을 연구하는 거의 모든 학자들은 인도철학의 지배적 관심사는 무엇보다도 해탈의 추구에 있다고 의견을 모으고 있다. 즉, 어떻게 하면 인간이 고통스럽고 유한하고 속박된 삶을 초월하여 절대적이고 영원한 자유를 얻을 수 있는가 하는 것이 인도인의 철학적 사유의 배후에 깔려 있는 최대의 관심사라는 것이다. 이렇게 보면 인도철학은 강한 종교적 색채를 지니고 있다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여기서 종교적이라고 하는 말은, 서양의 전통에서처럼 어떤 초월적인 신에 의하여 주어지는 초이성적인 계시에 근거한 신앙활동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철학적 활동을 하는 궁극적 목표가 종교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뜻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서양에 있어서는 철학은 희랍의 문화전통에서 유래하였으며, 종교는 히브리적, 성서적 전통에 기본을 두고 있기 때문에, 서양에서는 철학과 종교 사이에 항시 긴장관계가 존속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문화전통의 근본적 이중성을 지니지 않는 인도에서는 철학과 종교 사이에 그러한 대립관계가 성립하지 않았던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인도의 종교는 그 근본성격상 어떤 초이성적 신의 계시에 근거를 둔 신앙의 종교라기보다는 오히려 인간의 지혜와 신비적 체험에 바탕을 둔 경향이 강하므로, 서양에서 말하는 소위 신앙과 이성의 대립이라는 문제는 제기되지 않았던 것이다. 다른 말로 바꾸어 말할 것 같으면 인도의 종교는 철학적 종교요, 인도의 철학은 종교적 철학이라 해도 좋을 것이다.

 

인도인의 해탈에 대한 갈망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는 그들이 어떻게 인간의 삶의 상황을 이해하고 있었는가를 고찰함이 중요하다.

 

인도인은 인간의 삶을 윤회하는 삶이라고 이해했다. 인생은 지금의 삶이 유일한 삶이 아니라 식물의 세계와 같이 계속해서 생사의 과정을 되풀이하며 여러 형태의 삶을 영위하게끔 되어 있다는 것이다. 인간이 행한 행위는 뿌려진 씨와 같아서 반드시 그 열매, 즉 결과를 보고야 말며, 우리가 행한 무수한 행위는 그 결과가 현세에서 다 얻어지기는 어렵기 때문에 또 하나의, 혹은 하나 이상의 내세에서 그 결실을 맺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인도인의 인생관에 의할 것 같으면, 삶과 죽음은 두 개의 반대 현상이 될 수 없으며 단지 죽음으로써 생 자체나 혹은 생에 대한 책임이 회피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죽음의 반대는 또 하나의 생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서양의 전통적 인간관은 대체로 이분법적인 인간관이었다. 즉 사람은 영혼과 육체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와는 달리 인도의 인간관은 무아설을 주장하는 불교를 제외하고는 인간은 세 가지 측면을 가지고 있다고 보는 삼분법적인 인간관 보여주고 있다. 불생불멸의 영원한 자아라는 것이 존재한다는 것을 인정해 왔다. 이 참자아는 윤회의 세계에서 고통을 당하는 현상적 자아와는 전혀 다른 것으로서, 이 참자아를 현상적 자아로부터 명확하게 구별하여 혼동하지 않고 인식하는 것이 인도인에 있어서 최고의 철학적 지혜로 간주되어 왔다. 한편 현상적 자아라는 것은 몸과 마음의 복합체로서 우리들의 상식적, 경험적 세계의 자아를 의미한다. 인도철학은 몸과 마음 사이의 어떤 본질적 차이를 인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서양에서와 같은 이원론적 인간관은 발달되지 않았으며, 그 대신 참자아인 본질적 자아와 현상적 자아, 혹은 형이상학적 자아와 형이하학적 자아와의 구별이 결정적으로 중시되게 된 것이다. 인간이 윤회의 세계에서 고통을 당하는 것은 자기의 참자아를 알지 못하고 스스로를 현상적인 자아, 즉 거짓된 자아와 동일시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참자아의 성격, 그리고 참자아와 현상적 자아와의 관계에 관해서는 인도의 철학들이 각기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기는 하나, 이 두 가지 자아의 혼동된 상태를 인생의 최대의 문제로 삼고 있음에는 공통성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어떻게 하여 참자아가 현상적 자아의 영향으로부터 해방되어 영원한 자유를 누릴 수 있는가 하는 것이 인도철학의 근본적인 종교적 관심사인 것이다. 따라서 눈에 보이는 현상의 세계를 넘어서서 보이지 않는 실재의 세계를 탐구하는 형이상학적 사유는 인도철학의 근간을 이루게 된 것이다.

추천 비추천

3

고정닉 0

0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AD 보험상담은 디시공식설계사에게 받으세요! 운영자 24/02/28 - -
696025 자 안티가문아들 vs자뻑뇌제로 시!작! [2] (115.137) 14.02.10 83 0
696024 자뻑뇌제로 다른 닉네임으로와도 너인거다티난다 논리 드립 [2] (115.137) 14.02.10 72 0
696023 럭키맨 대가리에 피도 안 마른새끼 핌불베르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2.10 38 0
696021 논리대마왕 키워 대장 자뻑뇌제로 [1] (115.137) 14.02.10 72 0
696020 이란 함대 미 영해 첫 접근…“미 걸프만 주둔에 대응” kbs 뉴스(77.247) 14.02.10 78 0
696019 자뻑뇌제로 울기 오초전이다 (115.137) 14.02.10 48 0
696017 나는 노글래머누님에의해 정화되었다 (203.226) 14.02.10 130 0
696016 이것들이 내가 잠시없어지면 또 고개를 내미네 핌불베르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2.10 33 0
696015 자뻑뇌제로 울기 십초전이다 [1] (115.137) 14.02.10 84 0
696014 이것이 니들이 말하는 삼위일체? [10] (115.137) 14.02.10 164 0
696013 럭키맨 니가 나하고 키배떠서 밟았다고 아나 어이없네 [3] 핌불베르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2.10 70 0
696012 다시 태어난 럭키맨 입니다. 럭키맨(182.219) 14.02.10 41 0
696011 럭키맨 맹세한다 . 옴마니반베홈같은 찌질이새끼가 [11] 럭키맨(182.219) 14.02.10 139 0
696010 2월 11일 일루미나티 카드해석 이후생겨난일들 [1] 안티가문아들(112.146) 14.02.10 1666 1
696009 22살에 키워짓할땐 존나 재밌었는데 몇살더먹고나니까 럭키맨(182.219) 14.02.10 61 0
696008 인터넷하면서 젤 븅신같은게 욕하면서 진짜 싸우는애들 [4] 노글래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2.10 180 0
696007 정상정상 원래가 유치원 이 시간대가 낮잠자다가 엎치락뒤치락 하는 시간대야 (115.137) 14.02.10 24 0
696006 다시금 보는 패드립퍼들 [1] 자뻑뇌제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2.10 139 0
696005 다이아몬드 커플링 받자! 대박! <폼페이>발렌타인데이 이벤트! ㅇㅇ(121.131) 14.02.10 39 0
696004 오늘도 동네북 자뻑뇌제로 좀 패줬는데 이새끼 키워짓 존나못한다 럭키맨(182.219) 14.02.10 81 0
696003 죽고싶을 정도로 힘들때엔 어떡하냐.?0 [5] ㄷㄱ(124.217) 14.02.10 251 0
696002 신인 이자식은 아직 살아있네 (182.219) 14.02.10 36 0
696000 6시 거리더니 [18] 자뻑뇌제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2.10 720 0
695999 골드스타는 항상 느끼는 거지만 저새낀 꼰대인듯 [1] 럭키맨(182.219) 14.02.10 68 0
695998 내일 한반도 전쟁 새벽에 터진다 한반도(180.228) 14.02.10 204 3
695996 옴마니반베홈 이새낀 안오냐 럭키맨(182.219) 14.02.10 53 0
695995 예전에 미갤할때 샤오 아리찡 킬링히트 1인치 등등 (182.219) 14.02.10 77 0
695994 어제도말햇지만 ㅋㅋ [4] 자뻑뇌제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2.10 762 0
695993 싸우지마 븅신들아 ㅡㅡ;; 노글래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2.10 56 0
695992 자뻑이 튀었답니다 글 내려주세요 ㅇㅇ(182.219) 14.02.10 27 0
695990 자뻑 VS옴마니반베홈 학력싸움 자뻑엄마(182.219) 14.02.10 70 0
695989 자뻑 개쳐발릴듯 ㅋㅋㅋㅋㅋㅋㅋ 자뻑애미(182.219) 14.02.10 39 0
695988 자뻑 뇌제로 ㄹㅇ 고졸임?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ㅇㅇ(182.219) 14.02.10 43 0
695987 맙소사! 성숙미 물씬, 물오른 88년 미녀군단! [1] ㅇㅇ(121.131) 14.02.10 218 0
695983 자뻑 튈듯 ㅋㅋㅋㅋ 재 원래 패턴이 저럼 [1] ㅇㅇ(182.219) 14.02.10 65 0
695982 자뻑애미 맛있나요? 오늘 6시에 ㄱㄱ 야채장수자뻑(182.219) 14.02.10 66 0
695980 자뻑형님 건들지마라 여자친구있다. 여자친구있는거만으로도 대단한거다. [4] 안티가문아들(112.146) 14.02.10 80 0
695979 자뻑뇌제로 오늘 6시에 나랑 키워 뜬다. 많은 구경와라 [6] (182.219) 14.02.10 119 1
695978 자뻑뇌제로 저새끼 한 번 밟아??ㅋㅋㅋㅋㅋ [15] (182.219) 14.02.10 774 0
695976 자뻑병신계의 기네스북에 오른 거장을보니 [1] (203.226) 14.02.10 92 0
695975 저게 자뻑뇌제로다 (203.226) 14.02.10 73 0
695974 꿈속에 나는 나인가 내가 아닌가 [1] ilbe.jp(211.178) 14.02.10 76 0
695973 내가 갖고 있는 데이터상 자빡뇌제로는 [6] (203.226) 14.02.10 125 2
695972 키리졸브-이산가족상봉, 지금 정세가완전 아찔하게 흘러가고있다. 오오오오오 [1] 안티가문아들(112.146) 14.02.10 244 0
695971 김연아 실제로 봤던 나로선 [17] (203.226) 14.02.10 505 0
695970 율리야가 금메달딸수도 있는게 [6] (203.226) 14.02.10 235 0
695969 모리의 현재 상황 [1] ..(112.170) 14.02.10 141 0
695968 강원도 현재상황 [3] ..(112.170) 14.02.10 436 0
695967 골드스타 때끼!!우리라도 응원해줘야지 김연아표정봐 매우 비장하고 [1] (115.137) 14.02.10 90 0
695966 연아 은퇴하면..일반인같이 행복을 누렸음좋겠다 (115.137) 14.02.10 87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