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블랙홀탄생원리모바일에서 작성

기존블랙홀vsmQ1(115.137) 2014.03.08 11:14:51
조회 228 추천 0 댓글 0

지식백과
네이버
사전
검색
입력 내용 삭제
통합검색
연관목차
자연천문학일반
폰트 작게폰트 크게펼쳐보기
블랙홀
거대 블랙홀 탄생의 비밀
그렇다면 대부분의 은하 중심에 존재하는 거대 블랙홀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전문가들은 크게 세 가지 정도의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하나의 아이디어는 별의 시체인 블랙홀 하나가 형성된 후 수백만 년 동안 엄청난 양의 물질을 꿀꺽꿀꺽 삼키면서 거대 블랙홀로 성장했다는 것이다. 또 다른 가능성은 별의 시체인 블랙홀들이 군집을 이루고 있다가 서로 병합하면서 결국에는 하나의 거대 블랙홀이 되었다는 것이다. 또는 하나의 거대한 가스 구름이 뭉쳐지면서 거대 블랙홀이 탄생했을 수도 있다. 물론 전혀 다른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다.
2000년 6월 196차 미국천문학회에서 발표된 결과는 거대 블랙홀에 대한 많은 것을 말해준다. 미국천문학자들이 주축이 된 국제공동연구팀은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관측한 30개 이상의 거대 블랙홀에 대한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이 가운데 10개의 거대 블랙홀은 연구팀이 새로 발견한 것이다. 허블 우주망원경의 통계 조사 결과, 거대 블랙홀은 은하의 진화와 상당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가장 중요한 사항은 거대 블랙홀의 최종 질량이 초기에 정해진 것이 아니라 은하 형성 과정에서 결정된다는 점이다. 다시 말하면 은하 중심에 자리잡은 괴물인 거대 블랙홀은 태어날 때부터 거대했던 것이 아니라 우주의 초기 형성기에 은하의 가스와 별들을 적당량씩 잡아먹으며 성장했다는 것이다. 거대 블랙홀이 은하보다 먼저 탄생한 것이 아니라 은하와 함께 진화해 왔다는 뜻이다. 또 거대 블랙홀이 성장하는 데는 은하들이 서로 충돌, 병합해 하나가 될 때 은하 중심에 있던 개개의 블랙홀들이 하나로 합쳐지는 사건도 한몫했다.
연구팀은 놀랍게도 거대 블랙홀이 한 은하의 \'핵심부\' 질량 가운데 정확히 0.2%(후에 나온 연구에서는 0.5%)를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찾아냈다. 은하 핵심부란 타원은하를 구성하는 별들이나 나선은하의 중앙 팽대부(bulge) 별들을 말한다(나선은하의 경우 주변부의 나선팔을 제외한 부분이 중앙 팽대부지만, 타원은하의 경우 은하 전체가 중앙 팽대부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 발견은 허블 우주망원경의 두 종류 관측에 근거한 것이다. 하나는 물이 하수구로 소용돌이치며 빨려들듯이 주변 가스가 블랙홀로 빨려드는 속도를 측정해 블랙홀의 질량을 알아낸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은하 중심 주변에 있는 별들의 운동을 측정해 블랙홀의 질량을 파악한 것이다. 은하의 팽대부(bulge)가 무거우면 무거울수록 별들의 속도는 점점 더 큰 것으로 밝혀졌다.
이런 경향은 은하의 규모에 따라 블랙홀의 덩치가 달라진다는 뜻이다. 즉, 작은 은하에 있는 블랙홀은 상대적으로 영양 부족 상태로 단지 태양 질량의 수백만 배에 지나지 않는 반면, 거대한 은하의 중심에 자리한 블랙홀은 태양 질량의 10억 배 이상인 것이다. 특히 태양 질량의 10억 배 이상인 거대 블랙홀은 주변 가스와 별들을 너무 게걸스럽게 먹어치워 한때 우주에서 가장 밝은 천체인 퀘이사로 확 타올랐을 정도다.
허블 우주망원경의 이 같은 발견은 이전부터 의심받았던 블랙홀과 은하의 비밀스런 관계를 폭로했다. 처음으로 블랙홀의 형성과 성장이 은하 형성과 밀접하게 관련된다는 점을 밝혔던 것이다. 한 은하를 형성하는 사건과 은하의 블랙홀이 퀘이사로 빛나게 하는 사건이 사실 똑같은 사건이라는 점을 암시한다. 은하가 형성되는 초기에 거대 블랙홀이 주변 물질을 잡아먹는 것은 블랙홀 자체가 몸집을 불리는 과정일 뿐 아니라 한 은하의 진화에서 중요한 과정, 즉 퀘이사로 빛나는 시기임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퀘이사는 은하 중심의 블랙홀에 물질이 유입되고 블랙홀이 성장한다는 신호인 셈이다.
또한 연구팀의 결과는 우리은하처럼 작은 중앙 팽대부를 지닌 은하들의 중심에 왜 태양 질량의 수백만 배에 해당하는 자그마한 블랙홀이 자리하는지를 설명한다. 반면 거대한 타원은하는 태양 질량의 수십억 배인 블랙홀을 지니고 있는지, 일부는 아직도 퀘이사와 비슷한 활동을 보여주는지를 말해준다. 그렇다면 중앙 팽대부가 없는 나선은하는 어떨까? 은하 중심에 블랙홀이 아예 없거나, 아니면 허블 우주망원경이 찾아내기에 너무 작은 블랙홀이 자리하고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런 결과가 초기 거대 블랙홀의 씨앗이 어디에서 생겼는지를 말해주지는 않는다. 그리고 은하 형성 과정이 왜 블랙홀이 그렇게 정확한 비율의 질량을 갖도록 만들었는지를 설명하지 못한다. 다만 분명한 것은 얼마나 많은 질량이 블랙홀로 빨려 들어가는지를 결정하는 과정이 은하 형성의 세부와 무관하게 거의 똑같은 결과를 만들어낸다는 사실이다.
아무튼 허블 우주망원경의 통계 조사 결과는 대부분의 은하 중심에 거대 블랙홀이 자리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블랙홀은 여느 은하만큼이나 흔한 천체가 된 것이다. 이제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관측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블랙홀을 찾는 일이 중요하다. 이 정보는 은하 형성 동안 매우 빠르게 성장한 블랙홀의 씨앗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거대 블랙홀은 별 질량의 블랙홀과 아무 상관이 없을까? 거대 블랙홀보다 더 작은 블랙홀은 없을까? 2000년 9월에는 NASA의 찬드라 X선 망원경이 별 질량의 블랙홀과 거대 블랙홀을 이어주는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다. 불규칙은하 M82에서 태양 질량의 500배에 해당하는 블랙홀을 발견했던 것이다. 흥미롭게도 이 블랙홀은 M82의 중심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혹시 이 블랙홀은 점차 몸집을 키워가며 중심으로 자리를 옮기는 과정에 있는 것이 아닐까?
2002년 9월 17일에는 미국 우주망원경 과학연구소가 전혀 뜻하지 않은 곳에서 블랙홀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다름 아닌 구상성단 중심부였다. 구상성단은 수만-수백만 개의 매우 늙은 별이 공 모양으로 밀집된 성단(별무리)으로 주로 은하의 외곽부(헤일로)에 위치한다. 우리은하에는 150여 개의 구상성단이 있다. 놀랍게도 구상성단 중심부에서 발견된 블랙홀은 별 질량의 블랙홀과 거대 블랙홀의 중간 크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구체적으로 우리은하에 있는 M15라는 구상성단과 안드로메다 은하에 있는 G1이라는 구상성단에서 각각 중간 크기의 블랙홀이 발견됐다. 즉 지구로부터 3만 2,000광년 떨어진 구상성단 M15에서는 태양 질량의 4,000배인 블랙홀이, 220만 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 은하의 구상성단 G1에서는 태양 질량의 2만 배인 블랙홀이 각각 포착됐던 것이다.
구상성단에서 발견된 중간 크기의 블랙홀은 별 질량의 블랙홀과 거대 블랙홀을 이어주는 고리로 보인다.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관측된 거대 블랙홀들의 경우 질량이 큰 은하일수록 더 무거운 블랙홀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은하 중심의 거대 블랙홀은 은하 질량의 약 0.5%에 해당한다. 이런 경향은 구상성단 중심부에서 발견된 중간 크기의 블랙홀에도 그대로 이어졌다. 즉, 중간 크기의 블랙홀은 구상성단 질량의 0.5%를 지닌다는 뜻이다. 이런 비율은 블랙홀의 형성과 진화에 대해 근원적인 어떤 과정이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이미지 갤러리 가기
구상성단이나 은하가 무거울수록 중심부의 블랙홀도 무겁다.
가로축은 구상성단이나 은하의 질량이고, 세로축은 블랙홀의 질량이다. 도표에 그려진 천체는 왼쪽 아래부터 구상성단 M15, 구상성단 G1, 작은 나선은하, 큰 나선은하, 타원은하다.
구상성단의 블랙홀은 거대 블랙홀로 성장할 씨앗의 훌륭한 후보다. 구상성단은 우주에서 가장 오래된 별들을 포함하고 있다. 구상성단의 블랙홀은 성단이 형성되던 수십억 년 전에 함께 태어났을 것이다. 이 중간 크기의 블랙홀이 씨앗 역할을 해 시간에 따라 점점 성장함으로써 거대 블랙홀이 탄생했을 것으로 예측된다.
연관목차블랙홀
거대 블랙홀의 또 다른 증거, 제트
우리은하 중심에 자리한 거대 블랙홀
거대 블랙홀 탄생의 비밀
원자만한 크기의 미니 블랙홀
블랙홀과 시간여행
출처
블랙홀 : 살림지식총서 034, 이충환, 2003.10.15, ㈜살림출판사, 제공처의 다른 책보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밴드         라인         블로그         트위터         카카오톡         보내기         북마크
의견 1
의견쓰기
수정내역 0
돌고래아들 돌아들 (samg****)
아주 잘 봤어요
2013-06-15 12:28 | 신고
답글쓰기 00
공감 많은 의견공감 많은 의견 안내 자세히 보기 1개 의견 전체보기
거대 블랙홀 탄생의 비밀
함께 많이 본 표제어
1 블랙홀에 사람이 들어간다면? 과학선생님도 궁금한 101가지 과학질문사전
2 독을 가진 생물들 마법전사 호머와 사막의 밤
3 라오스의 국가 문장 라오스 개황
4 퀘이사 천문학 작은사전
5 시력은 어떻게 계산될까? 고교생이 알아야 할 생물 스페셜
천문학일반
주간 조회 TOP
1 블랙홀에 사람이 들어간다면? 과학선생님도 궁금한 101가지 과학질문사전
2 별의 일생 대단한 하늘여행
3 태양계 대단한 하늘여행
4 24절기 대단한 하늘여행
5 웜홀과 화이트홀 블랙홀
더보기
새로운 사전
유네스코인류무형문화유산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효과
세계브랜드백과 스타벅스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어원 500가지 세탁기
한국의 대표적인 지성인과 학자들로부터 전해듣는
열린연단 : 문화의 안과 밖 강연 시리즈  
검색검색
입력 내용 삭제

폰트 작게폰트 크게맨위로
로그인 PC버전 전체 앱 전체서비스
© NAVER Corp. 도움말 문의 및 신고
네이버앱의
지식백과 홈화면에 바로가기 추가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AD 보험상담은 디시공식설계사에게 받으세요! 운영자 24/02/28 - -
703606 느긋하게 런닝머신즐기는 아이손파편혜성아 빨리좀달려봐 화성이믄그리안멀어 먼달리기속도..졸귀(115.137) 14.03.08 72 1
703605 시속1.5ㅡㅡ...조금더빨라지라고!!ㅠ.ㅠ혜성힘내라힘내라 ㅠ.ㅠ (115.137) 14.03.08 135 3
703604 38 광땡이라서 터진다는게 아니고요 딱 씨벌 지능.. 진짜.. [2] 最終鬼畜滅殺抹殺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3.08 98 3
703603 화성목성사이에서 저속도라면 오늘안에 파편이지구로떨어질가능성 있다 (115.137) 14.03.08 123 1
703602 파편이 혜성꼬리가보인다는건 엄청난밝기와에너지라는거야 장난아니라고 파편자체혜성꼬리(115.137) 14.03.08 90 0
703601 이건그 최근초신성폭발 을얘기하는거다 그게마지막초신성폭발이라는거도 배제중인 파편자체혜성꼬리(115.137) 14.03.08 116 0
703599 이것도봐라 분열원인관련 다른소행성과의충돌 즉 충격 내가말한거랑비슷하다 (115.137) 14.03.08 74 0
703598 머사월까지갈꺼있나 당장 오늘이나내일부터도가능하지 그블랙홀이있는데 파편100~300개(115.137) 14.03.08 50 0
703597 야그리고 화성과목성이믄 얼마안머네 캬..역시화성 근처에먼가있다싶더니 ㅋㅋ (115.137) 14.03.08 74 0
703596 저소행성 바위들이 운석이될거라니 기대해보자 ^@^ (115.137) 14.03.08 102 2
703595 뭐그래서 파편 혜성닮 은운석은 빠르면 4월부터12월까지 쏟아지기시작 (115.137) 14.03.08 70 0
703594 더브리가 파편이 본체보다듸먼저오고 본체 는 아마마지막일거야 아이손항성진화(211.36) 14.03.08 87 1
703593 더브리가 파편이 먼저오나보네 열개는시작이다 수백개예상.. (211.36) 14.03.08 77 0
703592 나사믿지마랬지?2013년부터 소행성분열중인데 혜성닮았데 아이손일가능성있음 (211.36) 14.03.08 90 2
703590 혜성과같은 꼬리까지발견 진짜임 (211.36) 14.03.08 164 2
703589 소행성분열발견 기사 진짜네 (211.36) 14.03.08 535 1
703584 좆됬다;;;; 소행성 산산히 조각나서 지구로 돌진해온단다;;; [8] ㅁㄴㅇㄹ(211.60) 14.03.08 3206 14
703583 당신이 해야할건 아무것도 없다! [10] 空™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3.08 313 1
703582 뭐야? 레인 예언글 뭔 빠른 수정 신공법인가? [2] 뭐야?(119.203) 14.03.08 421 1
703581 종교 믿는놈들 참 안쓰럽다 ㅋㅋㅋ [4] ㅠㅠ(121.153) 14.03.08 134 4
703580 세계3차대전은 물건너감 ㅋㅋ [1] zz(119.203) 14.03.08 203 3
703579 진짜 소름끼치는꿈 해몽좀.. [15] 유동유동(112.158) 14.03.08 459 0
703578 나는 개인적으로 박정희가싫다 [4] ..(112.170) 14.03.08 269 3
703577 우리엄마는 내가너무나다녀서 너무휩쓸리고살지말라하셧지 [3] (61.102) 14.03.08 176 0
703576 안녕하세요. 악마입니다 가브리엘(118.176) 14.03.08 133 1
703575 내가 가장존경하는 사람은 노짱이다 ㅇㅅㅇ [8] ㅇㅅㅇ(121.157) 14.03.08 408 21
703574 너네들은 지구 감옥에 갇힌게 안 답답하냐? [12] Goldsta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3.08 290 4
703573 러' 대표단, 이달 중순 방북…"경제협력 논의" [3] 닉넴고정(118.41) 14.03.08 218 5
703572 미갤러들 책 추천한다 ㅇㅇ(14.47) 14.03.08 100 0
703571 다들 잘자고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3.08 54 0
703570 매체와 사회에 의해 주어진 평균적 삶을 깨버려라. [3] ㅍㅁ(88.150) 14.03.07 411 14
703566 커플 사진으로 갤을 좀 정화시키겠다 [5] Goldsta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3.07 405 0
703562 미래에서 온 사나이 rain의 글은 과장이 안 되었다는게 무섭죠.. [9] 라디오1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3.07 863 1
703561 다이어트음식만들기 및 다이어트음식추천!! [1] ㅇㅇ(125.183) 14.03.07 426 0
703560 3 차 세계대전 완전 임박 [2] 장자크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3.07 400 0
703559 불금의 배경화면용 이미지 - 대형 3. 무지개색큐브(203.128) 14.03.07 80 1
703558 불금의 배경화면용 이미지 - 대형 2. 무지개색큐브(203.128) 14.03.07 61 0
703557 불금의 배경화면용 이미지 - 대형 1. 무지개색큐브(203.128) 14.03.07 177 0
703555 노+포장(4+10)/ 시(7)장 (상거래, 상호) 떠돌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3.07 64 0
703554 오늘 먹은 것들 [4]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3.07 135 0
703550 이 시간부터 일요일 저녁까지 안가게 할 방법은 없냐? a(103.244) 14.03.07 75 0
703547 '별그대' 兩會도 점령…"중국은 왜 못 만드나" 닉넴고정(118.41) 14.03.07 320 0
703546 말뒤에 잼이란거 무슨뜻이냐? [5] 간지탑리님(183.78) 14.03.07 242 0
703545 다음번엔 무슨 일이길래 누차 경고가 있을까? 탈갤한안초(211.196) 14.03.07 254 0
703543 이거부른사람 존나 싸움잘할꺼같은데 나만그렇게느끼는거냐 귀두컷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3.07 89 1
703542 애들아 드디어 비트코인이 현실화됫다 ㅈ됫다 [1] ㅇㅇ(221.138) 14.03.07 717 3
703539 야이 시봘롬들아!! 간지탑리님(183.78) 14.03.07 62 0
703533 잦뉴비들을 위해 정리해준다 긴글주의 [1] ㅇㅅㅇ(121.157) 14.03.07 291 4
703532 오늘 나 이상한 루시드 드림 한 썰 푼다 (스압).txt [1] 머도기(131.203) 14.03.07 978 3
703531 핌불베르트 소환! 귀두컷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3.07 56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