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삼성은 반도체 무너지면 부도 확정이란다

라그(146.185) 2021.07.17 16:15:02
조회 387 추천 2 댓글 0
														

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92&aid=0001964338
미·일 반도체전쟁 시작
.
.
.
미·일 반도체 분쟁의 와중에 큰 한국반도체

viewimage.php?id=23b8df35f1dd3bad&no=24b0d769e1d32ca73dec8ffa11d02831046ced35d9c2bd23e7054e3c2d8a67b5dfae22c98b6d50c08365cddf42cd985e749c40debe6103e1e63b35135766c10278a24e92

1988년 세계 반도체 매출 톱 20. 한국의 삼성전자가 18위에 진입해 있다.

.
.
.
미·일반도체 협정은 1986년, 91년, 96년 세차례에 걸쳐 이뤄지며 일본내 미국산 반도체 점유율 20.2% 실현으로 종결된다.

당시 세계 1,2위의 경제강국인 미국과 일본의 반도체 분쟁은 일본의 반도체가격을 올리고 생산설비투자와 R&D기회를 막아버렸다. 1854년 미국의 페리 제독이 철로 만든 증기선인 이른 바 흑선(黑船)을 이끌고 요코하마에 입항, 일본을 개항시킨 것에 버금가는 힘의 통상외교였다. 일본정부는 이를 관리통상(Managed trade)이라고 비난하였다. 이 분쟁은 1996년 공동발표문이라는 형태로 서로의 체면을 세워주지만 구속력없는 방식으로 봉합됐다.

하지만 83년 3월15일 이병철 회장의 이른 바 '도쿄선언'으로 비로소 반도체산업에 눈을 뜬 삼성전자를 비롯한 한국의 반도체기업들에겐 절호의 기회였다. 진입장벽없이 이 20세기의 연금술에 참여할 귀한 기회를 제공받은 천금같은 기회였다. 실제로 1996년 두번째 미일 반도체 주기가 완료될 즈음 일본내 외산 반도체 점유율이 30%를 넘게 될 때 가장 큰 기여를 한 것은 한국과 대만의 반도체기업들이었다.


https://www.digitimes.com/news/a20210715VL200.html
2021-07-16

Samsung may have appeared to be neck and neck with TSMC in recent years. In 2019, TSMC introduced an enhanced version of its 7nm node and Samsung answered the challenge with its 6nm process. In 2020, when TSMC launched its 5nm and 6nm process technologies, Samsung claimed its 5nm node was going into commercialization.

최근 몇 년간 삼성은 TSMC와 맞먹는 것처럼 보였을 것이다. 2019년 TSMC는 7nm 공정의 개선판을 선보였으며 삼성은 자사의 6nm 공정으로 도전장을 냈다. 2020년 TSMC가 6nm 및 5nm 공정 기술을 선보였을 때 삼성은 자사의 5nm 공정이 상용 생산에 돌입할 것이라고 주장했었다.

In 2021, TSMC is highlighting an enhanced 5nm node while Samsung is boasting of its 4nm process. These technological breakthroughs that Samsung has hyped up has ended up being all sizzle and no steak. The market did not favor its 6nm or 4nm process. No world-class heavyweight customers seem to have adopted Samsung's advanced nodes for volume production.

2021년 TSMC가 자사 5nm 공정의 개선판을 선보이자 삼성은 자사의 4nm 공정으로 허세를 부렸다. 삼성이 내세운 허세는 결국 겉은 요란하고 알맹이는 없는 것으로 판명 났다. 시장은 삼성의 6nm 또는 4nm 공정을 선호하지 않았다. 세계적인 거물 기업들이 삼성을 선택하지 않았다는 말이다.

TSMC, on the other hand, saw its 5nm node contribute 14% of its first-quarter 2021 revenue and 7nm node 35%. The gap between TSMC and Samsung is quite evident. We can make the assumption that TSMC has secured over 80% of the global revenue generated from 7nm and more advanced processes.

반면 TSMC는 5nm 공정이 2021년 1분기 매출의 14%, 7nm 공정은 35%를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SMC와 삼성의 격차는 아주 뚜렷하다. TSMC가 7nm 및 더 고급 공정에서 전 세계 매출의 80% 이상을 확보했다고 볼 수 있다.

Some Korean market research organizations even put it at 85%. We'll stay conservative and assume it's 80%. Based on this assumption, TSMC will enjoy a quick return on investment while Samsung's investment will go down the drain. Samsung may be able to endure this situation for two to three years but if it continues into future generations of process nodes, Samsung will have to find ways to guarantee profitability in the coming years.

일부 한국 시장조사기관들은 85%로 보고 있다. 낮게 잡아서 80%라고 봐도 TSMC는 빠른 투자비 회수로 수익을 내고 있지만, 삼성은 모든 투자 노력이 물거품이 된다는 말이다. 2~3년 정도는 삼성이 이런 상황을 견뎌낼 수 있겠지만 차세대 공정에서도 이런 추세가 이어진다면 삼성은 수익을 내기 위한 특단의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Let's not forget the fact that Samsung's mobile phone business contributed 75% of the corporation's earnings in its prime despite going downhill in recent years. Although Samsung's semiconductor business generates one-third of the corporation's revenue, it contributes half of the corporation's profits; but for the most part, the contribution is made by memory chips. Samsung has to ensure that its memory chips continue to sell well and at high prices.

최근 몇 년간 삼성의 스마트폰 사업이 내리막에 있지만, 전성기 때는 삼성의 수익에서 75%를 차지했다는 사실을 잊으면 안 된다. 삼성의 반도체 사업은 회사 매출의 3분의 1을 차지하며 회사 이익의 절반을 차지한다. 하지만 반도체도 대부분 메모리가 기여하고 있다. 삼성은 메모리 반도체가 지속해서 고가에 잘 팔려야 생존할 수 있다.

Losing to Taiwan in the foundry sector may not be deadly to Korea, but that may not be the case if Korea stumbles in the memory market on challenges from Micron or even some newcomers like YMTC. If this happens, Samsung will be going downhill from there. Without its edge in memory chips and mobile phones, could Samsung be shifting focus toward the foundry business?

반도체 파운드리 산업에서 한국이 대만에 밀려나는 것은 타격이 크지 않지만, 미국 마이크론이나 심지어 중국 YMTC 같은 도전자에 밀려서 메모리 시장에서 밀려나면 나라가 휘청거리게 된다. 메모리에서 밀려나면 삼성은 내리막길로 직행이다. 메모리 반도체와 스마트폰에서 경쟁력이 없어진다면 삼성이 과연 파운드리 사업에 경영을 집중할 수 있을까?

Samsung isn't really a challenger for TSMC. No one in the foundry sector is strong enough to beat TSMC. TSMC could only be intimidated by governments. Which governments? Could it be the US government, the Chinese government or the Taiwanese government? I'll let the readers figure out the answer.

삼성은 TSMC의 적수가 아니다. 파운드리 산업에서 TSMC를 능가하는 기업은 없다. TSMC는 정부에 의해서만 흔들릴 수 있다. 어느 나라 정부? 미국 정부? 중국 정부? 대만 정부? 그 답을 알아내는 것은 독자들의 몫으로 돌린다.

---------------------------------------------------------------------------------------

뭐긴 뭐야 삼성도 그렇고 TSMC도 그렇고 미국 정부 눈 밖에 나면 망하는 것은 순식간이다.
그 잘나가던 일본 반도체 산업이 무너진 것도 미국 정부에 찍혀서 결국 몰락했는데...

추천 비추천

2

고정닉 0

0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1380508 해외뉴스사이트중에 댓글시스템있는거 없냐 ㅇㅇ(110.45) 21.08.05 24 0
1380507 10년전에도 셀슬람들이 제일 좆같았는데 아직도 살아있네 ㅅㅂ ㅇㅇ(121.145) 21.08.05 57 0
1380506 형들 한화시스템 어떄 찰리즈(118.36) 21.08.05 169 0
1380505 뉴스는 네이버 다음 카카오아니면 못보겠움... 댓글때문에 ㅇㅇ(110.45) 21.08.05 70 0
1380504 우리엄마가 원룸 하나 가지고 잇는데. 재개발 허용된다고 [9] ㅇㅇ(220.118) 21.08.05 314 0
1380502 요새 흔한 05년생.jpg [13] 우에엥(1.230) 21.08.05 4545 23
1380501 서양여자와 결혼해야하는 이유 [1] ㅇㅇ(117.123) 21.08.05 349 4
1380500 셀트 주주들은 경쟁종목들에 열등감이 있냐 [2] ㅇㅇ(121.145) 21.08.05 119 2
1380498 눌림매매하는데 살게없노 [3] ㅇㅇ(223.39) 21.08.05 215 0
1380495 하닉 조만간 13 뚫겠네 ㅁㄴㅇ(39.7) 21.08.05 162 0
1380494 아 온도가 애매해서 잠이 안오네 씨발거 [1] ㆍㅂㅇ(118.235) 21.08.05 90 0
1380493 주린이 질문좀 받아주셈 [1] ㅇㅇ(49.164) 21.08.05 82 0
1380491 진지하게 나 불쌍하다 생각하고 기부좀 해주면 안되냐? ㅇㅇ(118.41) 21.08.05 101 0
1380488 카뱅 5만원 찍고 운지각 아니냐? [2] ㅇㅇ(125.181) 21.08.05 509 0
1380486 어제 국장이 존나게 오른이유 [5] 구토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5 663 1
1380484 침대 씨발새끼 왜케 비싸 [3] ㅇㅇ(220.118) 21.08.05 253 0
1380483 대한항공 외인이랑 기관보소 ㅇㅇ(118.41) 21.08.05 435 0
1380482 하루에 1퍼씩만 소소하게 먹고 싶다 [2] ㅇㅇ(203.223) 21.08.05 161 0
1380478 amc 20달러대노 ㅇㅇ(61.215) 21.08.05 59 0
1380475 할아버지 아빠 다 성공했는데 ㅇㅇ(121.165) 21.08.05 115 0
1380474 날씨를 잘 아는 주갤럼이나 기상청에서 일하는 주갤럼은 봅니다. [4] ㅇㅇ(121.136) 21.08.05 132 1
1380473 이번생에허락되지않은것 [2] ㅇㅇ(121.165) 21.08.05 216 0
1380471 5만원만 빌려주실분 부탁드립니다.. [6] ㅇㅇ(223.39) 21.08.05 148 0
1380470 카톡 오픈챗 노짱 사진 올려도 정지노.. ㅇㅇ(218.149) 21.08.05 58 0
1380468 현실적으로 30살에 1억 모으면 잘 모은거? [4] dd(222.236) 21.08.05 259 1
1380467 주식할때 신용 쓰지말라는 이유가뭐임? [4] ㅇㅇ(118.221) 21.08.05 308 0
1380466 gs 리테일 실적 어케됬냐? [3] ㅇㅇㅇㅇ(175.223) 21.08.05 215 0
1380465 모투 씹고수 [2] ㅇㅇ(59.12) 21.08.05 286 0
1380464 맞춤법을 잘 지켜서 써야 하는 이유는 생각보다 단순함 [1] ㅇㅇ(118.217) 21.08.05 102 0
1380463 카겜관련 친구 2명중 누구 말이 맞는거냐..? [7] ㅇㅇ(61.75) 21.08.05 338 1
1380462 딱 20억이 안심하고 퇴사할정도 되는돈인듯 [2] ㅇㅇㅇㅇ(175.223) 21.08.05 169 1
1380461 내꺼주식 어떤거같음 주식한지 2주됨 [4] ㅇㅇ(112.147) 21.08.05 381 2
1380460 자산20억이면 [4] ㅇㅇ(58.237) 21.08.05 168 0
1380458 시발 내일 제발 올라라 [1] ㅇㅇ(175.209) 21.08.05 148 1
1380456 일본에 혐한 무리가 있다면 한국엔... [5] ACADEMIA(119.196) 21.08.05 129 2
1380455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 유출없었대 [1] ㅇㅇ(118.45) 21.08.05 129 4
1380452 헐 이거 진짜냐? ㅎㄷㄷㄷㄷㄷㄷ [1] ㅇㅇ(121.136) 21.08.05 505 1
1380449 ㅅㅂ 우림기계 최재형 관련주인거 오늘 사고 알았다 [2] ㅇㅇ(118.217) 21.08.05 180 0
1380447 네이버 가즈아~! [2] 구름의마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5 309 0
1380446 남자는 성격 외모 경제력 집안 학력순으로 중요함 [2] ㅇㅇ(223.62) 21.08.05 137 0
1380444 미국 개좆같은 말좆음봉 발생ㅋㅋㅋㅋㅋㅋ ㅇㅇ(223.38) 21.08.05 163 0
1380443 존나 개박살나서 당장 꺼져도 이상하지 않을 노트북 ㅇㅇ(1.228) 21.08.05 82 1
1380442 하이브 언제 오르노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3] ㅇㅇ(223.39) 21.08.05 172 0
1380441 5만원만 빌려주실분..도와주세요.. [4] 그짓(223.39) 21.08.05 74 0
1380439 자유민주체제던,공산 체제던 "기득권은 항상 존재" [5] 이탈자 211.202(211.202) 21.08.05 98 3
1380437 얘들아 나 마음 고쳐먹었다 [6] ㅇㅇ(210.96) 21.08.05 228 0
1380435 진지하게 메디컬쪽 투자생각하는놈있냐 [1] ㅇㅇ(117.111) 21.08.05 71 0
1380434 오늘 CU 실적발표하면 GS리테일이랑 존나 비교되겠네 ㅋㅋ [2] ㅇㅇ(121.145) 21.08.05 189 0
1380433 다우지수 파멸적 하강중 [2] ㅇㅇ(112.153) 21.08.05 249 0
1380432 석렬이의 1일 1 ㅈ소리에 중독된다 [2] ㅇㅇ(106.102) 21.08.05 127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