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철강산업 르네상스 접어드나...수요 급증에 공장 증설 잇달아

적급(198.7) 2021.07.23 09:59:47
조회 87 추천 0 댓글 0

https://m.g-enews.com/view.php?ud=202107201351071362e8b8a793f7_1&ssk=favorset&md=20210720153803_R
2021-07-20

철강산업 르네상스 접어드나...수요 급증에 공장 증설 잇달아

올해 철강가격은 전 세계적으로 기록적인 급등을 보였다. 철강 수요산업의 수요가 크게 늘어나면서 코로나19 이후 줄였던 공급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가시화 되고 있는 양상이다.

특히 가장 많은 철강 수요국인 중국과 러시아는 자국의 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철강 수출을 제한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루마니아의 전기로 메이커인 AFV 벨트라메그룹의 카를로 벨트라메(Carlo Beltrame)대표는 "루마니아에 연간 약 60만t의 철근과 와이어 로드를 생산할 수 있는 2억5000만 유로 규모의 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난 10년 전 유럽의 철강제조업체들은 공장을 폐쇄하고 근로자들을 줄이면서 공장 가동률을 최저로 감축했지만 지금은 전혀 다른 모습이다. UBS그룹의 자료를 보면 작년에만 유럽 내 72개의 용광로가 가동을 멈추었다.

올해 초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인프라에 투자하기를 원하며, 유럽연합은 순제로 탄소배출량에 도달하기 위한 투자를 원한다고 말했다. 전기로 메이커인 미국의 뉴코, 미국철강공사 그리고 SSAB AB 등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대표적인 기업 중의 하나이다.

아르셀로미탈 SA분석가의 추정에 따르면, 중국 이외의 세계에서 가장 큰 맥도날드 또는 펩시코보다 더 많은 수익을 올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서부 최고의 철강업체인 아르셀로미탈(ArcelorMittal)은 블록버스터 수익을 위해 설정된다. 키방크 캐피탈 마켓과 뱅크 오브 아메리카는 "2022년까지 이 좋은 시기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미국 철강 가격의 급등을 이끄는 프로그램은 올해를 마지막으로 보고 있다"고 전망한다.

그러나 일부 분석가들은 현재의 랠리가 장기적으로 더 나은 시기를 예고할 수 있으며, 결국 가격이 이전보다 더 지속 가능한 수준으로 정착할 수 있다고 예측한다.

런던 리버룸 캐피탈(Liberum Capital Ltd.)의 상품 전략 책임자인 톰 프라이스(Tom Price)는 "중국 이외의 철강 산업은 르네상스 시대에 접어들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의 철강 생산량은 전 세계 철강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대부분 석탄 화력발전에 의한 용광로를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정부는 막대한 환경부담을 갖지 않겠다는 판단아래 철강생산량 조정 지침을 확고히 하고, 수출을 억제하고 있는 상황이다.

철강전문 수입회사 칼라니쉬의 토마스의 구티에레즈는 "중국의 철강생산 제한은 거의 확실하게 제자리를 찾을 것이다. 이로 인해 해외철강업체는 조금 편안한 잠을 잘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하나의 낙관론은 미국과 유럽의 철강과 관련한 인프라의 새로운 초점이다. 바이든은 신규 도로 건설과 철도 및 주택 공급에 주력하고 있으며, EU는 코로나 바이러스 복구 패키지와 그린 딜의 일환으로 청정에너지를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같이 강철을 필요로 하는 정책은 바이든이 제안한 인프라 계획에 의해 처음 5년 동안 연간 약 500만t의 수요가 증가될 것이라고 런던의 컨설팅 CRU 그룹은 추산했다.

그러나 비관론도 있다. 2022년 말까지 미국에서 계획된 용량은 460만t에 불과할 것이라고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분석가 앤드류 코스그로브는 예상하고 있다.

그 반증으로 철강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유럽의 생산자들은 확장에 열중하지 않고 있다. 미국 철강 최고 경영자 데이비드 버릿(David Burritt)은 지난 4월 주주들에게 회사가 작년에 폐쇄된 두 개의 용광로를 다시 시작할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미국 제2의 철강업체인 클리블랜드 클리프는 켄터키의 애슐랜드 공장을 폐쇄하고 인디애나 하버 웨스트의 용광로를 철거할 예정이다. CEO 루렌코 곤칼베스는 4월에 "빚을 갚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유럽의 철강 생산자들은 지난 10년간 고통스럽게 생산량을 삭감한 이후 새로운 역량에 투자하는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아르셀로미탈은 우선순위를 주주 수익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는 부분적으로 정부가 병든 철강 회사를 지원하기 위해 시행한 보호주의 조치가 영원히 지속되지 않을 것이라는 두려움 때문이다.

그러나 하늘 높은 가격임에도 불구하고 철강가격은 변화될 징후가 없다. 이런 가운데 바이든은 여전히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부과한 외국산 철강에 대한 관세를 폐지하지 않았으며, 지난달 EU는 세이프가드 조치를 3년 더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어쨌든 철강 산업에는 더 많은 지원이 진행 중이다. EU는 결국 그린 딜의 일환으로 수입 철강에 관세를 부과할 것이며, 이는 러시아와 같은 탄소 집약적 생산자들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다른 나라들도 중국의 제한적인 조치로 인한 격차를 해소할 수 있다. 인도는 최고 생산자와 함께 용량을 높인다는 설정을 하고 있다. JSW그룹은 2030년 이전에 용량을 4500만t으로 두 배 이상 늘리겠다는 목표이다.

AFV 벨트라메는 루마니아에 철근과 철조망 공장을 건설할 예정이다. 이 공장은 철강 단위생산량 대비 세계에서 가장 낮은 탄소배출량은 나타낼 것이라고 말한다.

카를로 벨트라메는 "이 슈퍼 사이클이 몇 달 더 지속될 것이라고 믿고 있다. 우리는 벽돌이 필요하고, 시멘트가 필요하고, 강철이 필요하다. 그리고 기업가로서 기존의 산업을 변화시키는 데 어려움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

중국의 철강 생산량은 전 세계 철강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대부분 석탄 화력발전에 의한 용광로를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정부는 막대한 환경부담을 갖지 않겠다는 판단아래 철강생산량 조정 지침을 확고히 하고, 수출을 억제하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이 해외로 물량을 풀면 가격이 언제든지 급락할 수 있다고 한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1359593 시원하게 3000 아래로 뚫어줬으면 좋겠다 SMG0317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30 41 0
1359592 카겜 지금 씹악재 있음 [1] ㅇㅇ(223.39) 21.07.30 223 3
1359590 관상만 따지면 군대에서 어떤 편임??? [2] ㅇㅇ(223.62) 21.07.30 103 0
1359589 팜스토리 목표가 6천원 [1] ㅇㅇ(211.237) 21.07.30 87 0
1359588 클래시스 루트로닉 둘 중 뭐사야 돼?? [2] 도체(123.199) 21.07.30 113 0
1359587 삼전 자살자들 이러다 10만명 나올듯 [5] ㅇㅇ(118.235) 21.07.30 186 0
1359586 키 크는 수술 할까싶다 [1/1] ㅇㅇ(39.7) 21.07.30 75 0
1359584 카겜 93층에서 깃발흔들며 기다리고 있어요~ ㅇㅇ(222.232) 21.07.30 62 0
1359583 한국보수가 진짜 보수라면 이런 정책 해봐라 [2/1] 케말파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30 104 2
1359582 이번달 마이너스 10만원 [1] ㅇㅇ(118.235) 21.07.30 59 0
1359581 누가 누가 이기나… 엘디플 650주(117.111) 21.07.30 68 0
1359580 내 계좌도 파란색 창 밖에도 비가 ㅇㅇ(106.101) 21.07.30 35 0
1359579 두중 주주들 필독.Fact ㅇㅇ(180.71) 21.07.30 127 1
1359578 삼성전자 꼭지에 산 사람들 슬슬 짜증 밀려오겠네 [4] ㅇㅇ(220.118) 21.07.30 221 3
1359577 금>코인>현금>토토>한국주식 안전자산 순위 ㅇㅇ(210.103) 21.07.30 39 0
1359576 지굼 카겜은 재료가 없다 ㅇㅇ(180.189) 21.07.30 57 0
1359575 이제 앱확인했는데 카겜 나락갔네ㅜ [2] ㅇㅇ(211.213) 21.07.30 80 0
1359573 나라 망했냐? [1] ㅇㅇ(106.252) 21.07.30 112 0
1359572 HMM 마지막 기회다 불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30 104 0
1359570 카겜 신나는 노래를 불러본다 신나는 카겜~~ 어이 간다~꽉잡아라 [1] ㅇㅇ(61.74) 21.07.30 85 2
1359569 네이버 평단 45 탈출가능하냐 ㅠㅠ [1] ㅇㅇ(211.36) 21.07.30 150 0
1359568 고닉 종목으로 달면 거르라니까 ㅋㅋ ㅇㅇ(118.235) 21.07.30 38 0
1359567 너의 곡~소리가~ 들려~ ㅇㅇ(119.69) 21.07.30 48 0
1359566 생건 개씨발 어케 더떨구냐 ㅋㅋㅋㅋㅋㅋ [1] ㅇㅇ(210.103) 21.07.30 145 0
1359565 큐라클 심심해서 31000원때에서 3주샀는데 ㅇㅇ(180.226) 21.07.30 107 0
1359564 흠 세일 기간에 안산 흑우들 없지? [1] ㅇㅇ(39.7) 21.07.30 162 0
1359563 국내 기관이 더 개새기들 아니냐?? [3] ㅇㅇ(110.70) 21.07.30 134 2
1359562 한국보수는 보수가 아니다 [1/1] 케말파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30 70 0
1359561 에스엠 실적 무조건 좋게 나오는거 맞음? [2] ㅇㅇ(125.142) 21.07.30 182 0
1359560 다날 지금 타도 안늦었다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30 148 0
1359559 와 현대차 계단식 우하향아님? [1/1] 구름의마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30 265 0
1359558 삼영화학은 왜 저러는거냐? [1] ㅇㅇ(211.237) 21.07.30 96 0
1359557 개미 한번 터니까 패닉 오지네 ㅋㅋㅋ ㅇㅇ(112.170) 21.07.30 97 0
1359556 아 덕성 시발 라면쳐먹다가 ㅇㅇ(122.36) 21.07.30 85 0
1359555 이게 다 신용충 때문이야 ㅇㅇ(125.132) 21.07.30 79 0
1359554 인트로메딕 큰일났다형들 [2] ㅇㅇ(1.214) 21.07.30 101 0
1359553 와~오늘 진심 올블루다~ 수심도 깊다 hellcat(223.38) 21.07.30 69 1
1359552 게임주 하나 추천해줄까 [4] ㅇㅇ(223.39) 21.07.30 333 0
1359551 주갤은 이런곳이야? 믿음이 없어 [2] ㅇㅇ(121.131) 21.07.30 94 0
1359550 한국이 선진국 가입했다고 청구서 날아온다 [1] 다럽(185.56) 21.07.30 153 1
1359549 카겜 시발 섹스련 점마 어뒈가누? ㅇㅇ(121.184) 21.07.30 54 0
1359548 카겜 양봉뜨는날 종가에 살예정 [2] ㄴㅇ(203.231) 21.07.30 155 0
1359547 화학 반도체들고있는데 철강 부럽다 ㅇㅇ(110.70) 21.07.30 77 0
1359546 오늘같은날 주식하는 방법 ㄹㄹㄹ(223.33) 21.07.30 120 0
1359545 다날 계속 호재쏘네 오를거같노??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30 137 0
1359544 오늘장 살벌하노 진스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30 103 0
1359543 주갤에서 뒤진다 뒤진다 곡소리 나면 ㅇㅇ(106.252) 21.07.30 97 0
1359542 HMM 왜 갑자기 4만원..? [5] ㅇㅇ(218.147) 21.07.30 256 0
1359541 삼전 78층에 넣었다 [2] ㅇㅇ(110.8) 21.07.30 150 0
1359540 이제 hmm 40500원 이상으로 못오를듯 ㅇㅇ(58.231) 21.07.30 101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