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중국 BYD, 전기차 배터리를 LFP로 바꾼 이유는?

ㄹㅁㄷ(198.7) 2021.08.09 10:40:03
조회 65 추천 0 댓글 0

https://www.evpost.co.kr/wp/%EC%A4%91%EA%B5%AD-byd-%EC%A0%84%EA%B8%B0%EC%B0%A8-%EB%B0%B0%ED%84%B0%EB%A6%AC%EB%A5%BC-lfp%EB%A1%9C-%EB%B0%94%EA%BE%BC-%EC%9D%B4%EC%9C%A0%EB%8A%94/

BYD, 전기차 배터리를
리튬인산철(LFP)배터리로 바꾼 이유

중국의 BYD 가 자사의 모든 전기차에 들어가는 배터리를 리튬 인산철(LFP) 기반의 배터리로 교체하는 작업을 완료했다고 한다.

BYD 의 SUV 모델인 Tang 모델에서부터 적용이 되는데, 기존의 전기차 배터리와 다르게 리튬이온 배터리가 아니라는 점이 특징이며, 이 LFP 기술을 기반으로 한 배터리 팩 설계를 새롭게 적용하여 배터리 셀을 모듈로 조립하는 단계를 생략하고, 배터리 팩 내부 공간의 활용률을 높인 점도 특징이다.

그런데, 이 LFP 배터리는 직접도가 낮아 배터리 밀도를 높이기에는 한계가 존재하는 대신, 저렴하고 안정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그런데, 왜 BYD 는 전기차 배터리를 왜 바꿨을까?

유럽 공략을 위한 선택

BYD 에서 이렇게 LFP 가 보이는 장단점이 분명함에도 배터리를 바꾼 이유는 유럽진출을 위해서다.

유럽진출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안정성이 높아야 하는데, 리튬-인산철 배터리의 경우에 300ºC 의 고온과 260% 과충전에서도 화재나 폭발 반응을 보이지 않았으며, 심지어 배터리에 못을 박는 관통 테스트에서도 배터리가 화재를 일으키지 않았다는 점에서 상당히 안정적인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수명 역시 120만km 의 테스트에서도 좋은 수준을 보여, 유럽시장 진출시 위험이 적다는 점이 BYD 가 배터리를 전격적으로 교체한 이유로 보여진다.

BYD 에서는 리튬-인산철 배터리(LFP) 를 기존의 LFP 배터리가 갖고 있던 에너지 밀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배터리 팩의 부피를 줄이는 방법을 선택했다.

단일 셀 배터리로 구성된 블레이드 배터리가 셀을 모듈로 조립하는 단계가 없어 기존의 배터리팩 대비 50% 더 적은 부피를 차지하게 만들었으며, LFP 배터리가 적용된 BYD Han 모델의 경우, 1회 충전시 NEDC 기준으로 605km 의 거리를 주행할 수 있는 수준을 보이며, 배터리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였다고 한다.

BYD 에서는 이렇게 새로운 전기차 배터리를 위해 13억 유로. 한화 약 1조 7,791억원을 투자했다고 한다.

또한, 자동차 생산능력을 확장시키고 있는 만큼, 단순히 중국 자동차 회사가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 배터리를 교체했다가 아니라 본격적인 유럽진출을 노리고 있는 만큼, 우습게 볼 내용이 아니라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전기차 분야는 이미 중국이 한국을 추월한 상태라고 한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1420992 에이치엔 투자주의 딱지 떼자마자 발기하노 ㄷㄷ ㅇㅇ(175.223) 21.08.11 45 0
1420991 크래프톤 과대평가+중국빔 쌍으로 맞은거지?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1 100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