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적분시리즈: 리듬게임을 만들수 있을까? 9. 키보드/마우스 처리

∫ 2t dt=t²+c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9.07.20 22:55:32
조회 140 추천 0 댓글 3




한동안 코딩에 열중하느라 강좌가 늦어졌다. 그 사이에 많은 부분을 뜯어고쳤으니, 어디 어디가 바뀌었는지부터 설명하겠다.

class MState
{
protected:
    GGame* const m_pGame;
public:
    MState(GGame* pGame) : m_pGame(pGame){}
    virtual ~MState(){};
    virtual void OnProc()=0;
    virtual void OnPostProc()=0;
    virtual void OnDraw()=0;
    virtual void OnLost()=0;
    virtual void ()=0;
    virtual void (int KeyCode)=0;
    virtual void (int KeyCode)=0;
    virtual void OnDrawSkip()=0;
};

가장 큰 변화라고 할 수 있는 것은 MState가 이벤트호출시 매번 받던 Game* pGame인자를 받지 않게했다. 그 대신아예 멤버변수로 Game* const m_pGame을 선언했다. 그리고 생성자에서 Game* pGame을 받아서 m_pGame에저장한다.
이에 따라서 MState를 상속받는 MPlayGame클래스에서도 마찬가지의 변화가 일어났다.

또한 위 코드에서 볼 수 있듯이 전체적인 이벤트처리가 다양해졌다.
키보드이벤트 과 이 추가되었고
그리기가 생략될 경우에 OnDraw대신에 OnDrawSkip이 호출된다.

GGame클래스에서도 변화가 일어났다.

class GGame
{
    friend class MState;
protected:
    ......
    bool m_activated;
    BYTE m_keystate[256];
    bool m_drawskip;
    void _getkeystate();
    void _getcursorpos();
    void OnDraw();
    void (int keycode);
    void (int keycode);
    void OnDrawSkip();
public:
    enum{
        KS_Pressed=1,
        KS_Down=2,
        KS_Up=4,
    };/*
      GetKeyState함수의 리턴값으로 사용된다.
      */
    POINT m_cursorpos;
    ......
    GRET SetDrawSkip(bool skip);
    bool GetDrawSkip();
    int GetKeyState(BYTE keycode);
};

바뀐 부분만 살펴보자면 먼저 MState클래스가 friend클래스로 선언되어서 MState클래스에서 GGame의 protected,private에도 접근할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OnRender를 OnDraw로 이름을 바꿔서 통일시켰다. 또 ,,OnDrawSkip이추가되었고, ,을 처리할수 있게 m_keystate[256]변수가 추가되고, 열거형KS_Pressed, KS_Down, KS_Up이 추가되었다.
OnDrawSkip을 처리할 수 있게 m_drawskip변수도 추가되었다.
현재 키보드의 상태를 알아오는 _getkeystate함수와 마우스좌표를 알아오는 _getcursorpos함수가 추가되었다.
마지막으로 현재 키상태를 조사하는 GetKeyState함수가 추가되었다.

GGame::GGame() : ...... m_drawskip(false)
{
    ......
    memset(m_keystate, 0, sizeof(m_keystate));
}

생성자에서 m_drawskip를 false초기화하고, m_keystate를 0으로 초기화했다.

void GGame::_getkeystate()
{
    for(int i=0;i<256;i++)
    {
        if(m_keystate[i] & KS_Pressed)
        {
            if(GetAsyncKeyState(i))
            {
                m_keystate[i]=KS_Pressed;
            }
            else
            {
                m_keystate[i]=KS_Up;
            }
        }
        else
        {
            if(GetAsyncKeyState(i))
            {
                m_keystate[i]=KS_Down | KS_Pressed;
            }
            else
            {
                m_keystate[i]=0;
            }
        }
    }
}

현재 키보드상태를 조사해오는 함수이다. 함수 설명에 앞서서 WinApi 중 GetAsyncKeyState함수와 GetKeyState함수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겠다.
둘 다 키보드 상태를 조사해오는 함수지만, GetKeyState는 큐에 쌓여있는 키보드상태를 가져오고, GetAsyncKeyState는 큐는 무시하고, 현재 키보드 상태를 가져온다.
보통 때에는 큰 차이가 없을지 몰라도, 컴퓨터가 버벅거리거나해서 키가 제때에 처리되지 않고 큐에 쌓이게 되면, GetKeyState함수는 이전의 키 상태를 가져와버리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키보드처리가 중요한 게임에서는 GetAsyncKeyState함수를 쓰는게 바람직하다.

처음에 m_keystate를 256개의 배열로 선언한 이유는 키코드 0~255번 사이에 키보드의 모든 키가 할당되기 때문이다.즉, 그 256개만 검사하면 모든 키를 검사한것이라는 얘기이다. m_keystate에 현재 키의 상태, 눌려졌는가, 떼어졌는가의모든 정보를 담기 위해서 KS_Pressed=1, KS_Down=2, KS_Up=4라고 정의했다.
KS_Pressed는 현재 키가 눌려있을때 셋되고, KS_Down은 막 키가 눌러졌을때, KS_Up은 막 키가 떼어졌을때 셋된다.

(m_keystate[i] & KS_Pressed)를 하여 1이 나오면 키가 눌려있는 것이고, 0이 나오면 키가 눌리지 않은 것이다.
GetAsyncKeyState가 0이 아닌값을 리턴하면 키가 놀려져있는 것이고, 0을 리턴하면 키가 눌려지지 않은것이다.
각각의 경우를 따져 4가지로 분기하여 KS_Pressed, KS_Down, KS_Up을 설정했다.

void GGame::_getcursorpos()
{
    GetCursorPos(&m_cursorpos);
    if(!m_dev.fullscreen)
    {
        ScreenToClient(m_dev.hwnd, &m_cursorpos);
    }
}

이 함수는 현재 마우스커서의 위치를 알아온다. 그러기 위해서 WinApi함수인 GetCursorPos를 호출하는데, 이 함수는 모니터 좌상단을 (0,0)으로 보고 화면상의 커서의 위치를 알아낸다.
따라서 전체화면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화면상의 위치가 아닌 작업영역상의 위치를 알아와야 하므로,
ScreenToClient함수를 사용하여 화면상의 좌표를 현재 윈도우의 작업영역상의 좌표로 변환해준다.

GRET GGame::SetDrawSkip(bool skip)
{
    m_drawskip=skip;
    return 0;
}

bool GGame::GetDrawSkip()
{
    return m_drawskip;
}

그리기 생략여부를 설정하고 알아오는 함수이다. 설명할게 없을 정도로 간단하다.

void GGame::OnCreate()
{
    GStrings strs;
    strs.Load(&DataInFile(L"textures.str"));
    for(size_t i=0;i<strs.size();i++)
    {
        LoadTexture(strs[i].c_str());
    }
    LoadSprites(&DataInFile(L"sprites.dat"));
    SetState(new MPlayGame(this));
}

void GGame::OnProc()
{
    if(m_pstate)m_pstate->OnProc();
}


void GGame::OnDraw()
{
    if(m_pstate)m_pstate->OnDraw();
}


void GGame::OnPostProc()
{
    if(m_pstate)m_pstate->OnPostProc();
}

void GGame::OnLost()
{
    if(m_pstate)m_pstate->OnLost();
}


void GGame::()
{
    if(m_pstate)m_pstate->();
}


void GGame::(int keycode)
{
    if(m_pstate)m_pstate->(keycode);
}


void GGame::(int keycode)
{
    if(m_pstate)m_pstate->(keycode);
}


void GGame::OnDrawSkip()
{
    if(m_pstate)m_pstate->OnDrawSkip();
}

이벤트 처리부분이다. 특별한거는 없고, 주목해야할 부분은 OnCreate에서 new MPlayGame을 할때 MPlayGame의생성자가 GGame*pGame을 필요하게 바뀌었으므로 (MState의 생성자가 바뀐것을 기억하라.) this포인터를 넘겨주었다.

GRET GGame::MessageLoop()
{
    bool islost=false;
    MSG msg;
    if(m_pd3dd)OnCreate();
    while(1)
    {
        if(PeekMessage(&msg,NULL,0,0,PM_REMOVE))
        {
            if(msg.message==WM_QUIT)return 0;
            TranslateMessage(&msg);
            DispatchMessage(&msg);
        }
        else
        {
            if(m_pnewstate)
            {
                if(m_pstate)delete m_pstate;
                m_pstate=m_pnewstate;
                m_pnewstate=NULL;
            }
            _getkeystate();
            _getcursorpos();
            OnProc();
            for(int i=0;i<256;i++)
            {
                if(m_keystate[i] & KS_Down) (i);
                if(m_keystate[i] & KS_Up) (i);
            }
            if(islost)
            {
                if((!m_dev.fullscreen || m_activated) && Reset3DDevice()==0)
                {
                    islost=false;
                    m_pspr->Device();
                    ();
                }
            }
            else if(m_drawskip)
            {
                OnDrawSkip();
            }
            else
            {
                m_pd3dd->Clear(0, NULL, D3DCLEAR_TARGET, D3DCOLOR_XRGB(64,128,192), 1.f, 0);
                if( SUCCEEDED(m_pd3dd->BeginScene()) )
                {
                    m_pspr->Begin(D3DXSPRITE_ALPHABLEND);
                    OnDraw();
                    m_pspr->End();
                    m_pd3dd->EndScene();
                    if(m_pd3dd->Present(NULL, NULL, NULL, NULL)==D3DERR_DEVICELOST)
                    {
                        islost=true;
                        m_pspr->OnLostDevice();
                        OnLost();
                    }
                }
            }
            OnPostProc();
            m_drawskip=false;
        }
    }
    return 0;
}

메시지루프부분이 좀 바뀌었다. OnProc을 호출하기 바로전에 _getkeystate, _getcursorpos를 호출하여키보드상태, 커서좌표를 얻어온다. 그리고 OnProc이 호출된 후에 m_keystate에서 KS_Down이 셋된 것은이벤트를 호출해주고, KS_Up이 셋된 것은 이벤트를 호출해준다.
그리고 m_drawskip이 참일 경우에는 그리기부분에 돌입하지 않고 OnDrawSkip을 호출하고 m_drawskip이 거짓일때 그리기부분에 돌입한다. 그리고 m_drawskip은 매 프레임 마지막부분에서 거짓으로 다시 설정한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151507 형들, 근데 예전에 하고 싶었던게 지금은 그닥이라면 어쩌까?? [2] 두룸(211.243) 09.10.08 63 0
151506 왜 바이오스에서 CD롬 인식이 안되는지 여기 물으면 화낼꺼임? [5] 숙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08 165 0
151503 자바 과젠데..좀 도와주세요 [2] ㅁㄴㅇㅁㄴㅇ(110.76) 09.10.08 55 0
151497 Rhea 횽 두번째 짤 [6] 개쉛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08 89 0
151495 Rhea 횽 짤 [5] 개쉛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08 95 0
151492 C# 파일스트림 만들어서 안에 공백이나 줄바꿈 넣을려면 어떻게?? [5] 클라리네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08 91 0
151491 fguy횽 외국계 갈라면 어케 해야함? [11] 나도진로(124.61) 09.10.08 308 0
151490 역사는 돌고 돈다고 하더라. [7] rntj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08 146 0
151489 이건 어떨때 뜨는거야? [5] 신발라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08 98 0
151488 나도 진도상담 쫌 부탁... [17] alg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08 164 0
151487 나도 진로상담쩜 부탁 [30] 아주아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08 275 0
151485 다시 진로상담좀 부탁.. [24] ㅋㅋㅋ(121.141) 09.10.08 280 0
151484 네이트온 문자 보내기 dll을 만들었는데... [5] 물속의다이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08 154 0
151483 밥먹고 와서 코딩좀 해봐야지 [3] DMW(220.68) 09.10.08 86 0
151482 DLL 질문 [3] 물속의다이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08 108 0
151481 오픈하자마자 유지보수하는 개쉛기의 궁금증 [13] 개쉛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08 186 0
151480 개X기보세요. 대충 손댄 쿼리 [3] 좆뉴비(203.248) 09.10.08 116 0
151479 모델링 파일 변환 질문 [1] 학생(125.128) 09.10.08 71 0
151477 좆뉴비횽에게 구걸하는 개쉛기의 쿼리 [4] 개쉛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08 104 0
151476 비베질문이야 후... [1] Benjamin(210.125) 09.10.08 78 0
151475 나 분노의 구글링했어 [2] 뽕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08 137 0
151474 [구인] 제가 나간 자리를 대신할 분을 찾습니다. [7] fguy(211.192) 09.10.08 313 0
151473 핸폰으로 디씨질하기... [8] 임베디드(112.150) 09.10.08 129 0
151472 c+이용해서 구구단 프로그램을 만들라구 하는데요 [6] 김교수(210.125) 09.10.08 96 0
151471 대구경북에서 일하는 횽들... [8] 아주아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08 121 0
151470 자바공부하는 늅늅이야 [7] 뽕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08 89 0
151469 밑에 쓴 쿼리질문에서 굳이 기능을 쓰고싶은 이유.sql [16] 개쉛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08 96 0
151468 아침부터 신세한탄 -- 아, 관두고싶다 [8] 아주아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08 158 0
151466 alarm(), usleep()을 같이 사용하면 문제있나요? [6] printf(211.232) 09.10.08 159 0
151465 쿼리 간단한 질문점 부탁드린다. [10] 개쉛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08 100 0
151463 아침을 여는 뉴스 [9] LightEach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08 146 0
151462 자바질문) 플그램 실행중에 q를 눌르면 나가게 하는 방법이 없을까요? [4] ㅇㅇ(207.233) 09.10.08 84 0
151461 최근 24시간동안 블로거들이 관심있어한 단어들. rntj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08 75 0
151460 인하대랑 동국대중 어디가 조아? ㅠㅠ [11] ㅠㅠㅠㅠㅠㅠ(121.152) 09.10.08 218 0
151459 학교에 감미다. [1] 김주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08 86 0
151458 자바 ㅠㅠ잘하시는분 도와주실수있으신가여 ㅠㅠ..........♡ [19] 안쓰런여대생(211.204) 09.10.08 203 0
151457 그 입장료 간단한 프로그램 이거 돌려봐 [5] 맥콜(124.61) 09.10.08 111 0
151456 동기부여된 사원을 확실히 고르는게 기업 성공의 길인듯 [3] jujubar9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08 122 0
151455 빡친다... 두번 째 패배... [2] 임베디드(112.150) 09.10.08 108 0
151453 다들 즐쿰~ [2] Vita500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08 253 0
151452 이거 간단한 프로그램 작성 좀 해주셈 [15] 생짜초보쩌리(166.104) 09.10.08 182 0
151451 Ynobe횽 고마워 [1] 어쩌라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08 42 0
151450 jsp+톰캣+mysql 요렇게 뭐하나 만들려고 하는데요 전부 무료인가요? [9] 좆뉴비비비비(221.163) 09.10.08 89 0
151449 아 자고싶다. [2] 졸려(112.149) 09.10.08 38 0
151447 게임 회사 연봉 테이블.txt [17] 개발자(115.138) 09.10.08 1124 0
151446 어제 BBQ 갔다 왔다능 [12] alg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08 123 0
151445 자바학원에서 자바기초반(완전초보) 들으면 1개월에 수강료가 어느정도임?? [7] 우퀠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08 202 0
151444 첫 서류통과 [60] 참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08 327 0
151443 고미뉴. [5] 김주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08 167 0
151441 2차원 배열 탐색에 대한 질문 에 대한 O(n) 풀이 - 수정2차 [9] Ynob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08 123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