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아이폰, 클리핑으로 사전 한번 만들어 보려고 하는데...

뉴파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9.12.09 10:37:39
조회 749 추천 0 댓글 4





설명이 고스란히 있어도, 도저히 모르겠다.



저걸 다 어떻게 실행해야 하는지도 모르겠고(exe프로그램처럼 클릭해서 뚝딱 설치되는 것도 아니고...)
이해가 안 가는 부분은 따라하려고 해도 따라 할 수가 없다.

가령, 크롬에서 \'호출\'을 한다는데, 이 \'호출\'이 뭔지 잘 모르겠고. 사전을 긁어와야 하는 건 알겠는데, 뭘 어떻게 긁어 와야하는지도 모르겠고.

어디 사전 만드는 설명 일반인도 잘 따라가게끔 설명해논 곳 없나여?

이거 일반인도 쉽게 배울 수 있게끔, 쉽게 풀어서 설명할 순 없음? 원래 프로그래밍이란 게 그런 거임?


--

<H3><H3>클리핑</H3>

아이팟 터치(iPod Touch)용 <U>표준국어대사전</U> <U>   </U>에 대한 기능은 <U>    </U> <U>이전 강좌</U>에서 소개했다. 따라서 여기서는 이 사전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클리핑하는 방법을 이야기하겠다. 아이팟 터치용 표준국어대사전은 이미지를 지원하며 표제어가 51\'0440개인 아주 방대한 분량의 사전이다. 웹의 데이타를 그대로 따왔기 때문에 아이팟 터치용 사전 치고는 예쁘며 파일의 크기가 상당히 크다. 이미지를 포함한 사전 파일은 총 566M에 달한다. 사전에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U>    </U> <U>weDict</U>에서는 사용할 수 없고 오로지 <U>    </U> <U>딕셔너리 유니버샬</U>(Dictionary Universal)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3895236851_27e8f4654a_m.jpg 3896022300_5282371416_m.jpg 3895236809_61dc66a0b8_m.jpg 3896022344_08c007ec29_m.jpg

먼저 가장 왼쪽의 그림은 현재 등록되어 있는 사전 정보다. 두번째 그림은 사전의 정보이다. 표제어의 수는 <U>스타딕</U> 사전 파일을 만들면 자동으로 추가된다. 사전의 이름과 설명은 정보 파일을 직접 편집해서 추가한 것이다. <U>표준국어대사전</U> <U>   </U>을 클리핑하면서 가끔 출몰되는 단어를 보면 재미있는 단어들이 많았다.

먼저 행사다. <U>행사</U> <U>   </U>는 우리말로는 \'어떤 일을 시행함. 또는 그 일.\'이라고 정의돠어 있지만 북한말로는 \'국가나 사회단체 따위가 일정한 계기와 목적 밑에 특별히 조직하는 대중 정치사상 사업의 하나\', 기껏하여 한다는 일이나 짓.이라고 한다. <U>    </U> <U>행정편의주</U>의 때문에 갖은 전시행사가 열리는 우리나라에서 보면 우리말 정의 보다는 북한말 정의가 더 가슴에 와닿는다. 또 사전을 만들다 보니 <U>후장총</U> <U>   </U>이라는 단어도 있었다. \'후장\'이 가지는 비속어적인 이미지가 있기 때문에 이 단어 자체가 조금은 우수웠다. 아무튼 완성된 사전의 파일의 정보는 다음과 같다.

408,417,612사전 정보를 담고 있는 메인 사전 파일
9899794표제어의 색인을 담고 있는 인덱스 파일
985사전의 설명과 사전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정보 파일
177,011,084총 9189개의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는 이미지 폴더
197,218,769스타딕의 배포본 형태로 압축한 파일

<H3>클리핑</H3>

<U>국립국어원</U> <U>   </U><U>표준국어대사전</U> <U>   </U> 2002년판은 동아출판사에서 사전으로 만들어 배포했다. 그러나 최근에 완성된 표준국어대사전은 무슨 이유인지 모르겠지만 이렇게 배포되지 않는다. 오로지 <U>표준국어대사전 사이트</U> <U>   </U>를 통해서만 사전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PC에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있지만 이 프로그램도 기본적으로 표준국어대사전을 검색한 결과를 되돌려 주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표준국어대사전을 <U>    </U> <U>딕셔너리 유니버샬</U>에서 사용할 수 있는 사전 파일로 만들기 위해서는 클리핑 작업이 필수적이다.

표준국어대사전의 클리핑 주소는 <U>http://stdweb2.korean.go.kr/search/View.jsp?idx=1</U> <U>   </U>로서 idx의 값을 1에서 518063까지 바꾸면 총 510440개의 표제어를 클리핑할 수 있다. 또 클리핑을 하다 보면 중간에 빠지는 주소가 종종 나타난다. 과거에 표준국어대사전에 등록했지만 표준이라는 말에 걸맞지 않아 삭제한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빠진 데이타는 다음과 같다. 5만개 단위로 클리핑했기 때문에 5만개 단위로 빠진 인덱스를 추가했다.

50000-887=49113
50000-798=49202
50000-734=49266
50000-697=49303
50000-738=49262
50000-695=49305
50000-634=49366
50000-780=49220
50000-659=49341
50000-596=49404
18063-405=17658
518063-7623=510440

<H3>클리핑 방법</H3>

클리핑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다음 그림은 <U>표준국어대사전</U> <U>   </U>에서 <U>불국사</U> <U>   </U> 페이지를 인덱스로 연 뒤 소스 보기를 한 것이다.

3896022132_1eb36c0d2c.jpg

①에서 ^를 제거한 뒤 표제어로 사용한다.
①과 ②를 합쳐서 사전 페이지의 제목으로 사용한다.
③은 설명으로 사용한다. 다만 이렇게 하면 웹 페이지처럼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class 속성 대신에 style 속성으로 바꿔야 한다.
④는 이미지이다. 이 주소를 그대로 사용해도 되지만 이렇게 하면 인터넷 연결이 끊기면 그림이 표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부분은 filename.jpg로 바꾸고 사전 폴더에 res라는 하위 폴더를 만들고 이 폴더에 filename.jpg를 넣어두면 <U>    </U> <U>딕셔너리 유니버샬</U>(Dictionary Universal)이 알아서 이미지를 가져온다.

이렇게 클리핑한 데이타를 표제어, , 설명순으로 두면 사전 파일의 한 행이 만들어 진다.

소스보기
<OBJECT id=highlighter_834800_clipboard title=복사 codeBase="http://download.macromedia.com/pub/shockwave/cabs/flash/swflash.cab#version=9,0,0,0" classid=clsid:d27cdb6e-ae6d-11cf-96b8-444553540000 width=16 height=16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PARAM NAME="_cx" VALUE="423"><PARAM NAME="_cy" VALUE="423"><PARAM NAME="FlashVars" VALUE=""><PARAM NAME="Movie" VALUE="http://home.megapass.net/~doapax/SyntaxHighlighter/s/clipboard.swf"><PARAM NAME="Src" VALUE="http://home.megapass.net/~doapax/SyntaxHighlighter/s/clipboard.swf"><PARAM NAME="WMode" VALUE="Transparent"><PARAM NAME="Play" VALUE="0"><PARAM NAME="Loop" VALUE="-1"><PARAM NAME="Quality" VALUE="High"><PARAM NAME="SAlign" VALUE=""><PARAM NAME="Menu" VALUE="0"><PARAM NAME="Base" VALUE=""><PARAM NAME="" VALUE="always"><PARAM NAME="Scale" VALUE="ShowAll"><PARAM NAME="DeviceFont" VALUE="0"><PARAM NAME="EmbedMovie" VALUE="0"><PARAM NAME="BGColor" VALUE=""><PARAM NAME="SWRemote" VALUE=""><PARAM NAME="MovieData" VALUE=""><PARAM NAME="SeamlessTabbing" VALUE="1"><PARAM NAME="Profile" VALUE="0"><PARAM NAME="ProfileAddress" VALUE=""><PARAM NAME="ProfilePort" VALUE="0"><PARAM NAME="AllowNetworking" VALUE="all"><PARAM NAME="AllowFullScreen" VALUE="false"></OBJECT>
인쇄?
<CODE class=number>1.</CODE><CODE class=plain>불국사다보탑    <div style=</CODE><CODE class=string>\'font-weight: bold; font-size: 20px; color: #0000ff; font-family: AppleGothic, nGulim;\'</CODE><CODE class=plain>>불국사^다보탑(佛國寺多寶塔)</div><span style=</CODE><CODE class=string>"font-family:tahoma; font-weight:bold;color:#549606; padding-top:-10px; margin-bottom:-0.1;vertical-align:top"</CODE><CODE class=plain>>「고적」</span><br><ul  style=</CODE><CODE class=string>"font-family:AppleGothic, Sans-serif;color:#000000; line-height:1.5; padding:5px;list-style: none;"</CODE><CODE class=plain>><li><span style=</CODE><CODE class=string>"width:45px; font-weight:bold;color:#cb4a00;vertical-align:top; text-align:right"</CODE><CODE class=plain>> </span>경주 불국사 경내에 있는 대웅전 앞에 있는 두 탑 중 동쪽에 있는 탑. 통일 신라 경덕왕 10년(751)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높이는 10.4미터 정도이며 화강암으로 되어 있다. 국보 제20호. ≒다보탑「1」. <br></li></ul><center><img src=</CODE><CODE class=string>\'fd009sz.jpg\'</CODE> <CODE class=plain>width=</CODE><CODE class=string>\'300\'</CODE><CODE class=plain>><br></center></CODE>

여기서 font-family에서 AppleGothic 다음에 nGulim을 추가한 이유는 nGulim이 고어를 지원하기 때문이다. 즉, 일반문자는 AppleGothic으로 표시하고 고어는 nGulim으로 표시하게 된다. 이런 작업을 idx 1부터 518063까지 하면 된다. 여기서 주의할 것사전 파일에 한글을 포함할 때에는 반드시 파일을 UTF-8로 저장(dict, ifo 모두 해당)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글자가 깨지거나 잘못된 사전 파일로 뜬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이 작업은 수작업으로 할 수는 없다. 따라서 주변에 프로그램을 짤 줄 아는 사람이 있다면 부탁하는 것이 좋다.

<H3>클리핑 어플</H3>

나는 PHP로 간단한 클리핑 프로그램을 짠 뒤 한번에 5만개씩 가져오도록 했다. 1000개의 데이타를 30분에 가져오기 때문에 52만개를 가져오려고 하면 총 10일 20시간이 걸린다. 이런 문제 때문에 총 6개의 프로그램을 돌려 2틀 동안 클리핑 했다. 이과정에서 프로그램의 오류, 브라우저의 오류로 약 100만개의 크리핑 데이타<SUP style="FONT-FAMILY: tahoma"><U>주1</U></SUP>를 날렸다. 즉, 프로그램을 이용해도 쉬운 작업은 아니었다.

프로그램을 짤 줄 모르고 주변에 아는 프로그래머도 없다면 내가 짠 프로그램을 사용해도 된다. 단순히 클리핑을 위해 정말 개발새발로 짠 프로그램이라 소스를 이해하기 조금 힘들 수 있다. 다만 주의할 것은 이 프로그램에 대한 어떠한 질문도 받지 않는다는 점이다. 따라서 자신의 호스팅 서버에 이 프로그램을 돌려보고 동작하면 웃고 그렇지 않으면 지우면 된다. 아울러 이 프로그램에 대한 질문이 올라오면 답하지 않고 바로 삭제할 생각이다.

프로그램 받기: <U>ClippingKSD.php</U>

프로그램 보기


소스보기
<OBJECT id=highlighter_512887_clipboard title=복사 codeBase="http://download.macromedia.com/pub/shockwave/cabs/flash/swflash.cab#version=9,0,0,0" classid=clsid:d27cdb6e-ae6d-11cf-96b8-444553540000 width=16 height=16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PARAM NAME="_cx" VALUE="423"><PARAM NAME="_cy" VALUE="423"><PARAM NAME="FlashVars" VALUE=""><PARAM NAME="Movie" VALUE="http://home.megapass.net/~doapax/SyntaxHighlighter/s/clipboard.swf"><PARAM NAME="Src" VALUE="http://home.megapass.net/~doapax/SyntaxHighlighter/s/clipboard.swf"><PARAM NAME="WMode" VALUE="Transparent"><PARAM NAME="Play" VALUE="0"><PARAM NAME="Loop" VALUE="-1"><PARAM NAME="Quality" VALUE="High"><PARAM NAME="SAlign" VALUE=""><PARAM NAME="Menu" VALUE="0"><PARAM NAME="Base" VALUE=""><PARAM NAME="" VALUE="always"><PARAM NAME="Scale" VALUE="ShowAll"><PARAM NAME="DeviceFont" VALUE="0"><PARAM NAME="EmbedMovie" VALUE="0"><PARAM NAME="BGColor" VALUE=""><PARAM NAME="SWRemote" VALUE=""><PARAM NAME="MovieData" VALUE=""><PARAM NAME="SeamlessTabbing" VALUE="1"><PARAM NAME="Profile" VALUE="0"><PARAM NAME="ProfileAddress" VALUE=""><PARAM NAME="ProfilePort" VALUE="0"><PARAM NAME="AllowNetworking" VALUE="all"><PARAM NAME="AllowFullScreen" VALUE="false"></OBJECT>

이 프로그램은 HTML에서 정확히 데이타를 클리핑하기 위해 <U>PHP Simple HTML DOM Parser</U> <U>   </U>라는 해석기를 이용한다. 따라서 이 어플을 저장한 폴더에 simple_html_dom.php 파일도 함께 넣어 두어야 한다. 이 파일은 <U>PHP Simple HTML DOM Parser</U> <U>   </U> 사이트에서 simplehtmldom_1_11.zip을 내려받으면 구할 수 있다.

<H3>클리핑 데이타</H3>

위의 어플을 적당한 이름(예: ClippingKSD.php)으로 저장한 뒤 자신이 운영하는 웹 사이트에 올린다. 그리고 <U>크롬</U>(Chrome)과 같은 브라우저로 PHP 프로그램을 호출하면 어플과 같은 폴더에 koreaNNNNNN.txt와 같은 파일이 만들어 진다. 생성 모드가 아니라 추가 모드이기 때문에 클리핑 중간에 브라우저가 죽었다면 어플 소스에서 $min 값만 적당한 값으로 바꿔 다시 실행하면 된다.

3896022410_784eae2bb5.jpg
클리핑 어플 실행 결과

3896022480_cca04625b0.jpg
클리핑된 원시 데이타

파일의 생성일자를 보면 알 수 있지만 9월 5일 부터 오늘까지 클리핑한 것을 알 수 있다. 5만개씩 6개, 두번을 클리핑했기 때문에 이론상 40시간이 걸린다.

위의 그림은 이렇게 클리핑된 원시 데이타이다. 이 데이타를 합치고 스타딕 편집기로 불러와 Build만 하면 사전 파일이 만들어 진다. 다만 처음 어플을 짤 때 고어까지 함께 표시하는 방법을 생각하지 못해 위의 어플을 이용하면 스타일에 nGulim이 추가되지 않는다. 또 본문에 포함된 수식이 여러 개면 인터넷 주소가 그대로 남는다. 이런 문제 때문에 어플을 바꾸거나 나중에 EditPlus와 같은 편집기로 한번 재 가공 해주어야 한다. 다음 그림은 이렇게 재가공된 클리핑 데이타이다.

3895237085_bfcf02d8ed.jpg
재가공된 클리핑 데이타

따로 올릴 필요는 없지만 소스를 그대로 이용하면 꼭 재가공해 주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올렸다.

<H3>무서운 저작권법</H3>

사실 이런 클리핑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 보다는 스타딕 사전 파일을 제공하는 것이 이 글을 쓰는 나나 사전을 쓸 사람이나 서로 편하다. 그런데 굳이 방법도 복잡한 클리핑하는 방법을 소개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우리나라의 저작권법이 너무 무섭기 때문이다. <U>    </U> <U>우리나라의 저작권법은 저작자와 사용자 모두를 보호하지 못한다</U>. 오로지 <U>    </U> <U>묻지마 고소</U>를 일삼는 법무법인과 힘있는 사람들에게만 도움이 된다.

그래서 이 사전 파일은 어떤 경우에도 공개하지 않을 생각이다. 삼자 고발까지 가능한 상황이라면 이런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수 있는 파일을 올리는 것 자체가 사이트를 닫는 첩경<SUP style="FONT-FAMILY: tahoma"><U>주2</U></SUP>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사전 파일에 대한 요청도 위 어플과 마찬가지로 전혀 받지 않을 생각이다. 또 안면이 있다고 요청해도 줄 생각은 없다. 사전 파일 정보에 필명과 블로그 주소를 넣은 것도 이런 내 의지의 반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사전이 필요한 사람은 직접 클리핑해서 사용하기 바란다.

<H3>남은 이야기</H3>

<U>크롬</U>, 오페라, 불여우를 이용해서 클리핑을 시도했다. 이 과정에 크롬이 얼마나 신뢰성있는 브라우저인지 다시 한번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은 상황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UL><LI>

2만개의 데이타 클리핑(크롬 6개, 파폭 6개)
총 1000개의 데이타를 클리핑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30분 정도다. 따라서 한시간에 2000개가 가능하다. 2만개는 10시간 분량이고 6개의 탭을 이용했기 때문에 브라우저당 총 12만개를 클리핑하게 된다. <U>크롬</U>과 불여우로 동시에 걸었기 때문에 총 24만개의 클리핑이 가능하다. 일단 걸어놓고 퇴근한 뒤 확인해 보니 크롬은 12만개를 모두 클리핑했다. 반면 파폭은 오류를 내뱉고 죽어있었다. 즉, 메모리 사용량이 증가하면 서로 다른 프로세스로 동작하는 크롬은 아무 문제 없이 동작하지만 불여우에서는 문제가 생기는 듯 했다.

</LI><LI>

5만개의 데이타 클리핑(크롬 6개, 오페라 6개)
한 시간에 2000개가 가능하기 때문에 5만개의 데이타는 총 25시간이 걸린다. 크롬에 6개의 탭으로 1~30만까지를 클리핑하도록 하고 오페라로 30만부터 52만까지 클리핑하도록 했다. 50~52만까지의 데이타는 데이타량이 적기 때문에 전날 완료됐다. 그리고 퇴근한 뒤 출근해 보니 컴퓨터가 장난 아니게 느렸다. 확인해 보니 크롬은 각 프로세스당 200M에서 300M의 메모리를 차지하고 있었고 오페라는 약 1G의 메모리를 차지하고 있었다.

시스템이 너무 느려 일단 크롬을 중지한 뒤 다시 클리핑 하도록 했다. 그리고 지금까지 크리핑된 데이타를 확인해봤다. 크롬으로 클리핑한 데이타는 완벽했다. 클리핑 개수와 빠진 인덱스 모두 일치했다. 그런데 오페라로 클리핑한 자료는 조금 문제가 있었다. 확인해 보니 오페라는 상당히 많은 데이타를 반복 클리핑하고 있었다. 즉 데이타를 요청하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시 데이타를 요청했기 때문에 발생한 현상으로 보였다. 중요한 것은 모든 데이타를 이렇게 클리핑한 것이 아니라 일부 데이타(35~40만까지, 오페라가 오동작하기 전에 죽은 탭)는 정상적으로 클리핑한 것이 확인되었다.

3896021978_89e3f45fdc_m.jpg 3895236667_fd91099c9f_m.jpg

</LI><LI>

1만개의 데이타 클리핑(크롬 6개, 사파리 4개)
오페라가 실패한 뒤 이번에는 사파리로 해봤다. 기본 엔진이 같기 때문에 괜찮을 것으로 생각했다. 처음에는 사파리도 잘 동작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취소하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데이타를 가져오지 못하는 탭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결국 크롬으로 5만개를 모두 클리핑한 뒤 30만 부터 50만까지 크롬으로 다시 클리핑했다. 조금이라도 더 빨리 처리할 욕심으로 여러 브라우저를 사용했지만 결과적으로 브라우저가 죽는 바람에 헛 고생만 한 셈이다. 이래서 크롬을 좋아한다.

</LI></UL>

마지막으로 파폭으로 시도하기 전에 Internet Explorer 8로도 클리핑을 시도했었다. 조건은 파폭과 같았다. 그러나 채 만개도 클리핑하지 못하고 뻗어 버렸다. 이런 브라우저를 쓰는 사람이 조금 불쌍하다[출처: <U>크롬, 역시 가장 믿을 수 있는 브라우저</U> <U>   </U>].

</H3>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163068 금요일 DMW(125.138) 09.12.18 67 0
163067 아르두이노 RGB LED에대해 잘아는사람 좀 도와줘 [2] 알레한드로(59.9) 09.12.18 56 0
163066 와 중간에 디버그 한번도 안하고 프로젝트 하고 있었는데 [1] (121.158) 09.12.18 66 0
163065 붕어대가리가 이해할만한 자료구조 책좀 소개해줘요 [5] 붕어대가리(121.132) 09.12.18 145 0
163063 막걸리 맛있다 [1] 허허벌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18 68 0
163062 아 진짜 춥다 [6] 아주아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18 64 0
163061 이거 결국에는 문제 됐네요. [1] 어떡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18 103 0
163060 아바타 예약했음.ㅋ [7] Rei@디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18 111 0
163058 Ruby 재밌음?? [4] 구양봉(211.202) 09.12.18 91 0
163057 모두들 오사카의 첫 주연작을 감상해 보아요 [11] 오사카(221.153) 09.12.18 142 0
163056 헐퀴 ㅋ 이거 최곤데? 어떡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17 52 0
163055 이 글에는 영어로만 리플을 답니다. [9] 빕뱟뱟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17 113 0
163054 티맥스 어케된거냐?? [2] ㅇㅇㅁ(211.207) 09.12.17 136 0
163053 횽들~ C#에서 함수명이랑 파라미터 사이에있는 <double> 이거뭐야? [7] Soul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17 92 0
163052 아바타 봤다. [9] 빕뱟뱟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17 108 0
163051 일베에 가신 아스트라로테님아.... Rhe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17 79 0
163050 토욜날, 타갤 중딩넘 만나 낡은 PC 본체 하나 주기로 했음. [5] Rhe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17 109 0
163049 아 드뎌 프갤 차단 풀렸네!!!!!!! [1] Rhe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17 80 0
163048 size_t __cdecl strlen (const char *) 에서 [3] sd(211.212) 09.12.17 57 0
163047 아,,,, 이런,,,,, Rei@디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17 68 0
163046 횽들 나성공해써 [1] 가랑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17 62 0
163045 나도 19일날 가고 싶은데 nR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17 48 0
163044 어떡해 일기 #11 :: 내일부터 프로젝트 진행 개시 [4] 어떡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17 630 0
163043 급 땡기는 게임 nR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17 82 0
163039 컴구조 시험 다음주로 연기됐어여 [5] 장교수(118.34) 09.12.17 86 0
163038 19일 정모임? [5] ∫ 2t dt=t²+c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17 102 0
163037 삼성에서 발표한 새 플랫폼 '바다' [8] Recursiv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17 188 0
163036 다시질문 [7] 가랑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17 78 0
163035 본격 프겔러 번개모임 하자는글. [9] 칭송받는자(210.118) 09.12.17 127 0
163034 다시질문좀 [6] 가랑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17 83 0
163031 알키텍터가 레알 존재하는 job입니까? [6] zzz(210.217) 09.12.17 147 0
163030 횽들 시퓨 클럭 어느정도써? [4] 메탈스피릿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17 69 0
163029 나 이거 보고 레알 돋았음.flv [7] Recursiv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17 199 0
163028 c언어 개초보가 질문좀 [4] 가랑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17 108 0
163027 울 회사 릴리즈를 너무 좆같이 해서 고민이다. [1] 구양봉(211.202) 09.12.17 107 0
163026 앞으로 숙제는 여기에 물어보지 마라. [4] yundream(203.130) 09.12.17 155 0
163025 코더와 리코더의 차이점 [8] cp(118.219) 09.12.17 189 0
163024 형들 이게 가능한건지좀 봐줘 [5] 형들(221.160) 09.12.17 229 0
163023 소설가가 쓴 소설 느낌좆타 cp(118.219) 09.12.17 70 0
163022 재미있는 프로그래밍 동화 [5] 소설가(121.139) 09.12.17 227 0
163021 스타를 못해서 고민이라능 [4] 오사카(221.153) 09.12.17 87 0
163019 컴갤횽들 도와줘.. 윈도우깔려고 하는데 ㅠㅠ [1] 호롤로로로(59.0) 09.12.17 62 0
163018 무설치 벤치마킹 프로그램 없나요? [1] Recursiv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17 75 0
163017 영화 제목좀 알려줘. [2] rntj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17 120 0
163015 MFC 파일처리 관련 도와주세요.. [1] soul(180.64) 09.12.17 76 0
163014 어느 고등학교 성적표 계산하고, 분산, 석차 등등 산출하려고 하는데... [5] 아리가또탈레스(114.111) 09.12.17 209 0
163013 파도 태워 주세요 굽신굽신 (윽꼴 조공) [4] 피로토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17 269 0
163012 어떻게된게 프겔에 [3] Onl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17 127 0
163011 [질문] COM이랑 Library의 차이는 뭐죠? [9] 아리가또탈레스(114.111) 09.12.17 131 0
163010 웹에서 배경화면좀 군데군데 넣으려면 [1] 맥콜(203.253) 09.12.17 65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