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프로그래밍 서적

(124.56) 2009.12.15 00:01:21
조회 1542 추천 0 댓글 24

 

프로그래밍을 기본적으로 한다면 2가지만 확실히 잡으면 된다. 첫 째는 경험자로부터 그 사람이 겪어왔던 학습법을 익히는 것 이고 두 번째는 책 선정이다. 첫 번째 혜택을 많이 받지 못한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두 번째 책 선정이 정말 중요하다.

 

무엇을 읽건 모든 것을 얻어가면 좋겠지만 대부분 책들은 상술로 도배되어 있어서 질 나쁜 프로그래머는 물론 무늬만 프로그래머라고 으스대는 사람을 만들 수 있다. 그게 얼마나 어이없는지 최대 사이트인 데브피아에서도 90퍼센트가 사기 프로그래머라고 본다.

 

언어는 확실하게 실습과 이론을 동시에 해야 하고 빠른 경험축적은 실습 뒤 이론으로 파는 것 이다. 다른 것은 상관 없고 여기서는 간단히 책과 경험을 서술해 나갈 테니 나머지는 기회가 되면 다음에 가르쳐준다. 책을 읽고 나가면서 충분히 높은 단계로 갈 수 있으니 사소한 경험이나 오류수정 버그 , 고급 프로그래밍 기법은 알아서 찾도록.

 

C언어책은 프로그래밍 완전 정복 peter aitken Bradley jones  박춘 편역, 김도균 감수 정보문학사 로 최근에 나왔고 가격도 싸고 알찬 구성으로 되어있다. 한국서적에서 말하는 포인터를 마치 산인마냥 돈을 빨아먹는 방식에 책들이 아니라 완벽한 초보자 입문 책으로 가격대 성능이 최고다.

물론 C++은 에러. C 언어책만이다.

 

좋은 구성과 알찬 챕터 나눔으로 정말이지 입문에서 시작될 수 있다. 그냥 서점에서 살거면 열혈강의나 그런 책 하나 들고 이 책과 비교해가면서 펼쳐봐라. 열강이 얼마나 조잡스러운지 알거다.

그리고 얼마나 가지치기로 덜어냈는지도 알거다. 한 마디로 너희들은 무식하니깐 어려운거 싫어하지? 그냥 무늬만 프로그래머 양산되는 책이 열혈강의류 같은 책들.

 

C언어책을 본다고 해서 엄청나게 달라지는 것은 없다. 입문서적을 해봤다면 만들 수 있는 수준 이래봐야 쉘(윈도우 cmd.) 즉 검은색 화면에 컨트롤 밖에 없으니 말이다. C언어책 기본적인 것을 봤다면 알고리즘 책을 봐야 한다. 알고리즘 책은 정말이지 어렵고 따분한 내용이 주를 이루는대

 

확실하게 ,서버를 구축하거나 DB를 할거면 반드시 해라.

한마디로 TCP/IP를 사용할거거나 취직할려면 하라는 이야기. DB 안쓰는데가 어딧어.. -_-

 

알고리즘 책은 –Mastering Algorithms with c (C로 구현한 알고리즘) 해마책 을 봐라. 오넬리 ,한빛 미디어  아트 오브 프로그래밍이 있는데 그건 .. 너무 어렵고 방대한 내용이라서 볼 수가 없을 거다. 처음 해마 책을 집어들면 한국 책에서 거의 볼 수 없는~’ C언어 모듈화 프로그래밍을 전제로 쓰고 있다. 즉 헤더파일들을 나누고 main.c 에서 트리거 역할만 하는 그래. 좀 유명한 학원 아니면 잘 가르쳐주지도 않는다면 모듈화로 되있으니 열혈강의만 읽고서는 이게 뭐야! 왜 프로그래밍이 안되라는 사람들이 부지기수다.

C 프로그래밍 완전정복에서도 후반부에나 나오는 모듈화는 C의 장점과 C++의 장점의 기반이 되는 기법으로 반드시 알아야 한다. 해마 책을 읽다보면 그 동안 배웠던 포인터가 아이고 이게 뭐야!’ 라고 할 정도로 처참한 수준임을 느끼게 된다면 당연한 것이니 그대로 받아들이도록 왜냐면 포인터를 입문책에서는 간단히 무언가 담는 것을 이야기했기 때문에 포인터의 꽃이라는 자료구조에 기법들에 당황할 수 밖에 없는거다. 자료구조에 포인터, 구조체, 함수 요 세가지가 머리를 무지 아프게 할 거다.

 

! 정확히 이야기한다. 첫 번째 혜택을 받지 못한 사람들은 알고리즘 책을 버리거나 별 쓸대 없다고 공부안하는데 이 알고리즘은 DB 설계, 서버 설계는 물론 채팅서버, OOP에 근간을 이루는 핵심이다. 너희들이 가끔 생각하는 학점 몇~ 순서 정렬 같은 모든 데이터를 가지고 하는 행위가 알고리즘이며 이 알고리즘 책 중 현재까지는 (내가 알기로는) C 언어로 컴퓨터 친화적인 책은 해마책 이외에는 거의 없다.

 

알고리즘을 배우게 되면 혹은 배우는 도중에 유혹에 시달린다. 아나! Windows 프로그래밍 하고 싶어라고 하는데. 아직은 아니다. Windows 프로그래밍은 C++ , Java 같은 OOP 프로그래밍이 근간이며 네트워크 프로그래밍도 마찬가지이다.  알고리즘 이후 배워야 할 것은 C++이다.

 

C++은 기초플러스 (성안당)이 제일추천하며 책 두께는 물론 난이도는 그럭 저럭이지만 알차게 되어 있다. 흠이라면 책 값이 비싸다는 점. 포인트랑 최저가로 사도록.

 

기초 플러스에서는 정말 완독이 무색할 정도로 다른 이들에 도움이 필요한대. 특히 상속과 은닉 다형의 기법은 정말이지 어렵다. ㅋㅋ 물론 누구처럼 포인터의 벽도 못느끼고 상속,은닉, 다형에 벽도 못 느낀 사람도 있다. 그래서 이 부분은 딱히 할말이 없다. C++을 접했을 때 난 JAVA를 동시에 배웠기 때문에 상속,은닉,다형에 대해서 2배 많은 학습을 했다. 그 결과 별다른 벽은 없다.

(물론 고급 기술들은 예외다) 입문서로 C++ 기초플러스를 딱 끝냈을 때.

 

너희들이 만들 수 있는 프로그램은 보기에도 민망할 정도로 거의 없다.

단지 토대만 만들어 놓은 것 이다. 그 뒤에 해야 할 것은 이론을 쌓는 것이다.’ Windows 프로그래밍 이전에 이론을 쌓아야 하는데 이론 서적은 3개로 축약된다.

 

O/S 공룡책 이라 불리는 책. (반드시 읽어라. 여기를 읽지않고 넘어가면 데드락이라던가 멀티 쓰레드 관련 즉 네트워크 관련은 이해도 안될거다)

 

코드 컴플릿 코드를 명확하게 만들어주는 책. 코드 컴플릿과 유사한 책으로 코드 크래프트~ 뭐 이런 것도 읽는 것이 좋다. 이때는 이론적인 기술을 습득하는 단계로 코드에 안목을 놓여주는 것 이다.

 

마지막 책은  컴퓨터 이론 서적즉 네트워크라면 무슨무슨 개론. 을 읽어야 한다. 분명히 이 글을 여기까지 읽고 있는 사람들은 C++까지 공감했다가 그 뒤로는 뭐야 라고 하는 사람들이 있을텐데. 읽지 않는 만큼 발목을 잡으니 뭐 상관하지는 않는다.

 

이론 서적을 읽다 보면 너희들이 이 다음으로 해야할 것은 ! window api window api 프로그래밍이다. 매우 간단하다. Window api 책은 거기서 거기. 뭐 찬양하는 책이 있지만 api는 결국에 함수나 그런 컨트롤 해주는 것일 뿐. 공룡책에서 언급한 내용 그대로~ 구현된 것들 뿐이다.

 

api에서 배울 것은 DWORD 타입이라던가 메시지 콜 같은 부분 뿐.

별 다르게 입문으로서 배울 건 크게 없다.

 

여기까지 했다면 어디에서도 꿀리지 않고 (입문자로) 대부분 숙제해주세요~ 라고 하는 글들을 쉽게 해결할 수 있다. 문제는 여기서부터다. 여기까지가 딱 아무 색도 입지 않은 순수하게 입문자 수료를 마친 실력이다.

 

내가 감히 너희들에 인생에서 진로를 선택하는데 좋을 거라고 생각되는 길은.

여기까지 왔다면 네트워크 책을 봐라. 소켓 프로그래밍은 매우 저질적으로 처음에 함수이동만으로 아주 쉽게 FTP 서버는 물론 채팅서버까지 만들 수 있지만 배우면 배울수록 사람 환장하게 만드는 깊이가 있다.

 

네트워크를 배우게 되면 UML, 설계 ,문서화 작업을 잘 해야할텐데..

재미있기는 할 거다. 네트워크쪽으로 가면 DB도 할 수 있는데. 네트워크에는 DB가 필수이기 때문에 DB 공부도 하면 될 거다.

 

사실 입문자 수료까지가 쓸려는 내용이였다.

난 너희들이 쓔레기 같은 뺑뺑이로 허송세월 배우지 않기를 바란다. 사실 내가 추천해준 책들은 입문자 용 중에서도 알차고 멋지지만 실패확률이 엄청높은 책들이다.

 

한 마디로.. 대부분 떨어지는 난이도이다.

엄청나게 많은 것을 가져갈 수 있지만 반대로 그 무게에 못이겨 가져갈 수도 없는 게 태반이다.

 

부디 입문자로 들어서면 내가 왜 이책들을 추천했는지 뼈저리게 느끼게 될것을 기대한다.

말이 조금 부분적으로 사라진 건 생각을 해서 그런거다. 그 상황에 들어서면 정말이지 할 말 없게 만드는 게 있어서다. 경험하지 않으면.. -_-; 공감도 얻을 수 없는 글들.

 

포기하지 마라.

내가 스스로 삽질해가면서 배웠던 길이다. 간단히 C언어 프로그래밍 완전정복 이 책 하면 된다 라고 쓴 것도 책이 일어날만큼 화장실 갈때도 읽었다는거 의미하고 지금 내 책상위에 windows api 관련 고급실무책 한권과 api책들 모니터앞에 c 프로그래밍 완전정복, 해마책 책장에 코드컴플릿 리펙토링,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 window32 api(비베) 시스템통합 실무기술 html,ms-dos c언어 기초+@ ,노턴 컴퓨터개론 ,자바 프로그래매밍,네트워크 게임 서버 프로그래밍, 네트워크 서버 설계, 배틀넷 설계 데이터베이스 실전..

 

하하 내가 자랑할려고 이렇게 책 제목을 섰냐고 물어보면 스스로 말해봐라.

이 정도 책이 책장에 없다면 너는 뭐 하나만 가지고 프로그래머라고 할 수 있겠냐?

 

도서대출목록에 너희들이 좋다고 말하는 책을 아주 새내기때 다 읽고 헤드퍼스트 라던가 에휴 유명한 책들 한번쯤은 다 봤다. 결국에 언어는 하나로 귀결되고 시스템은 비슷하다.

그러니 입문자용으로 딱 여섯권만 확실하게 읽어라.

 

C 프로그래밍 완전정복

해마책 (Mastering Algorithms with C)

C++ 기초 플러스

O/S 공룡책

코드 컴플릿

Linux


사실 처음 쓴 글이 날라가서 대충 섰다. 그래서 많은 내용이 사라졌는데 뭐 이정도면 알아들을 애들은 알아듣고 잘하겠지. 징징거리지 마라. 징징거리는 애들이랑 비아냥 거리는 애들은 결국 이정도도 못견딜 정도로 아예 프로그래밍 재능이 없는 거니깐.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현역으로 군대 안 간게 의아한 스타는? 운영자 25/06/30 - -
AD 휴대폰 바꿀까? 특가 구매 찬스! 운영자 25/07/02 - -
268256 원전일도 좀했거든... [2] .3(124.137) 11.08.30 93 0
268255 중딩때부터 꿈이 개발자였는데... [1] .3(124.137) 11.08.30 80 0
268254 한국은 참 답이 없는듯 거칠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30 62 0
268253 분당살람형... [2] .3(124.137) 11.08.30 44 0
268250 윈도우 모바일은 하드웨어에 하나하나 관여해??? [1] 거칠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30 60 0
268249 그래도 영화판보단 IT가 대우가 좃은 듯 [6] 분당살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30 127 0
268248 횽들아 산에서 인삼 재배하는거 어려울까염?? [7] 거칠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30 98 0
268247 토종os 기본적인 초안.. (사진) [1] .3(124.137) 11.08.30 123 0
268245 언제나 한국은 언플로 무마시키지 거칠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30 38 0
268244 뉴스에선 프로그래머 없어서 못구한대여 [10] 풀개미'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30 246 0
268241 으헝'ㅅ' 주갤인줄 알았는데 프갤이라니! [3] 풀개미'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30 86 0
268240 나 삼성전자 입사할까봐 [5] 분당살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30 145 0
268239 나도 한때 덕짤 3기가까진 모아봤었지... black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30 57 0
268238 요즘 중소기업에서 개발자 대거 모집하겠다??? [4] 거칠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30 125 0
268237 컴퓨터가 날 가지고 노나? 니넨 이럴때 없냐?? [1] black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30 87 0
268236 1명을 죽이면 살인자지만 1000명을 죽이면 영웅이된다. [5] 거칠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30 118 0
268235 횽들 사원기간 [4] 영광굴비(116.42) 11.08.30 90 0
268234 우울하고 분노가 치밀어 오를때는 뭐를 해야하냐?? [2] 거칠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30 69 0
268233 blackd 횽 미안.. 난 이미 틀린듯.. [6] 생각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30 109 0
268232 우린 이렇게 되지 말자... [3] black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30 107 0
268231 애플! 아파요! [1] 거칠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30 66 0
268230 액티브x 개객끼... black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30 54 0
268229 삼성, S급 인재 사냥 본격화 [2] 거칠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30 198 0
268228 3d설계툴 잘다루면 간지좀 날거같다 [1] ㅇㅇ(61.77) 11.08.30 70 0
268226 Unity3D 다룰줄 안다!! [5] 햏햏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30 101 0
268225 근데 4G가 왜필요함? 3G안써도 불편한걸 모르겠는데;;; [5] \'ㅅ\&#0.(211.222) 11.08.30 130 0
268224 개발자의 희망인 자영업도 요즘 다 망하더라 거칠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30 66 0
268222 언론을 통해서 나오는거 거의 기득권의 입장이잖아 .3(124.137) 11.08.30 46 0
268221 네트워크 설정관련질문좀 급함ㅠㅠ [1] ㅇㅇㅇㅇ(203.244) 11.08.30 66 0
268220 이제 한국 s/w은 전멸일꺼다 ㅋㅋ [2] .3(124.137) 11.08.30 157 0
268219 VS 2010에서 MS chart붙이기...ㅅㅂ ㅅㄱㅅㄱㅅ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30 93 0
268218 아오 진짜 한국 뉴스 보면 그냥 답답하다. [2] 거칠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30 96 0
268217 게임하다 죽으면 행복할거같다 [5] ㅇㅇ(61.77) 11.08.30 88 0
268215 “한국인 힘든 일 안 해 … 우린 150만원이면 큰돈” [7] 거칠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30 242 0
268214 한국 IT가 위기다 라고 언론에서 떠들 때는 전직이 답이다. [1] 거칠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30 130 0
268213 ㅅㅂ 조때따.. [1] McHell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30 85 0
268212 오늘 IT 뉴스는 주파수 이야기 밖에 없구나.... [2] 거칠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30 1680 0
268211 학원 영업새ㅡ끼들 ㅋㅋㅋㅋㅋ왘ㅋㅋㅋㅋ [5] 우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30 136 0
268210 '구글'이 의심스러워?...일단 믿어봐 [3] (112.146) 11.08.30 129 0
268209 정부가 sw지원한다니깐 더 불안하다. [2] 거칠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30 86 0
268208 아침 출근길에 고민 때리는거 [4] monoles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30 73 0
268207 오른쪽 마우스 눌러서 찾긴했는데.... [2] 원예왕김화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30 64 0
268206 프로그래머는 차라리 계약직이 낫다. 거칠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30 121 0
268204 비주얼 스튜디오 2010에서 [3] 원예왕김화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30 122 0
268203 mchello 횽 보긔~~ [6] 쿄스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30 76 0
268200 오라클이랑 mysql 둘다 가능한 횽 있음? 질문좀 하게.. [10] 쿄스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30 122 0
268199 구인란 보니까 프로그래머는 레알 일회용이네... [8] ㅇㅇㅇ(122.38) 11.08.30 233 0
268198 왜 출근하면 졸립고... 퇴근하면 잠이 깨는걸까? [1] 쿄스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30 52 0
268192 수능만 끝나면 이전에 하던 안드로이드 앱개발하는 앱등이 다시하려고하는데 [2] 넥둘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30 79 0
268191 자바 책 츄천좀 해쥬샘 [5] 금고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30 105 0
뉴스 ‘에스콰이어’ 정채연, 신입 변호사 강효민으로 새로운 얼굴 예고! 허술한 듯 묘한 매력 디시트렌드 07.0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