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섀도우버스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섀도우버스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야념,실베간 일본거주 한일 이간질 혐한 중국인 근황...jpg 야갤러
- 북한 상대로 선제골 넣은 츠쿠바대 의대생 우치노 고타로.gif 해축러
- 김태우 페북 "선거테러 중단하라" ㅇㅇ
- 싱글벙글... 주한 우크라이나 외교관 레전드... ㅇㅇ
- 해외에서 난리난 삼성 갤럭시 근황.gisa ㅇㅇ
- 평양의 최신 모습들...JPG 포애
- 브리더즈 스탈리온 갔다온 후기 유리우쓰
- 냉혹한 척수 손상 하반신 마비...치료법 발견의 세계...jpg 인터네코
- 흑백으로 찍은 서울 시가행진 이한별
- 스압) 깨어있는 감독 정지영 감독 신작...근황...jpg ㅇㅇ
- 싱글벙글 국내축구계가 먹는 세금들을 araboja. ㅇㅇ
- 90년대 추석. manhwa 그리마재
- 싱글벙글 사천의 명물 장비우육 노리유키
- 스압) 재미로 보는 최근 관계가 ㅈ된 두 나라.jpg ㅊㅌㅋ
- 싱글벙글 동양인이 동성애 지지하는게 웃긴 이유 ㅇㅇ
1회 삼진 3개.gif
- 역시 무시할 수 없는 홍콩의 강타선... 태인콜 2루타 허용.webp- 원태인한테 2루타 친 사람 직업소방관- 홍콩 1회부터 행복수비.webp- 강백호 폭삼.webpㅋㅋ- 문보경 선취 적시타.webp- 89마일 파워커브.webp- 흑묘시치 병살타.webpㅋㅋㅋㅋ- 망천 대머리 주루.gif- 홍콩 감독 애교 폭발.webp홍콩기태 ㅋㅋ- 노시환 추월 맞음.gisa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468/0000985489 주자 추월→그런데 아웃이 아냐?...‘야구 규칙’ 모르는 심판, 엉성한 진행→‘20분’ 넘게 지연 [SS샤오싱in]1일 중국 저장성 항저우 인근 사오싱 야구·소프트볼 스포츠센터 제1구장에서 열린 항저우 아시안게임 야구 B조 조별리그 한국과 홍콩의 경기. 3회말 무사 1,2루에서 강백호의 플라이 아웃 때 최지훈이 포스아웃되고 있다. 사진 | 샤오싱=연합뉴스[스포츠서울 | 샤오싱=김동영기자] 그야말로 ‘혼돈’의 3회말이 됐다. 심판의 경...n.news.naver.com- 홍콩 잼민이 커엽네ㅋㅋ.gif3회 삼중살로 경기 지연될 때 나온 장면- 뒷북이긴 한데 오늘 3회 상황 정리해왔다강백호의 타구를 외야수가 바운드 없이 잡음. -> 뜬공 원아웃노시환 최지훈 각각 1,2루 베이스 리터치해야함.이때 주자들의 아웃 기준은 포스 아웃.노시환이 최지훈 추월함. 그 즉시 노시환은 아웃. -> 투아웃추월과 관계 없이 최지훈은 여전히 귀루해야함. 그런데 최지훈의 발이 베이스에 닿기 전 야수가 베이스를 태그.최지훈 아웃. -> 쓰리아웃강백호가 뜬공 아웃이라면 홍콩 감독 주장대로 삼중살 ㅇㅇ아마도 이종열이 했을 주장강백호의 타구는 바운드 되고 나서 외야수에게 잡혔다. 우선 이게 전제여야 최지훈을 계속 2루에 세우려 한게 이해가 된다안타를 쳤으므로 강백호는 주자가 되었고이 상황에서 점유하는 루가 없는 강백호는 무조건 1루로 가야함. 노시환은 이로 인해 1루의 점유권을 잃게됨.따라서 2루로 진루할 의무가 주어짐. 마찬가지로 최지훈도 2루 점유권 잃고 3루 진루 의무가 주어짐.이때 아웃기준은 포스 아웃.그런데 노시환이 최지훈을 추월하여 즉시 아웃됨. 이로 인해 최지훈에게는 노시환 때문에 잃었던 2루 점유권이 다시 생김. 이는 최지훈에게 부과되었던 진루할 의무가 사라짐을 의미함. 따라서 이제 최지훈의 아웃 기준은 태그 아웃.최지훈은 직접 태그되지 않고 2루 베이스를 밟았음. 결국 최지훈은 세잎.실제로 KBO 규정 5.09 (b) (6)의 주석에 이러한 내용이 있음.③ 그 주자가 다음 베이스로 가려고도 하지 않고 원래의 베이스에 머무르고 있을 때 그 주자를 태그하였을 경우를 말한다.특히 ③항의 경우 후위주자가 아웃되지 않는 한 이미 그 베이스에 대한 점유권을 잃었으므로 주자가 베이스에 닿아 있더라도 야수가 그 주자를 태그하면 아웃이 된다.이걸 뒤집어보면 후위주자(노시환)이 아웃되었으므로 최지훈에게는 원래의 베이스(2루)의 점유권이 있다는 말이 됨.근데 이건 KBO규정이고, 아시안게임 규정에도 같은 내용이그대로 있는지는 모르겠다..그리고 뭐가 됐든 노시환 최지훈의 주루 플레이는 잘못됨주자 추월 관련 규정은 선수라면 당연히 알아야 되는거 아니냐노시환은 추월을 하면 안됐고 최지훈은 노시환 신경쓰지 말고 본인 주루 플레이에 집중했어야 함..특히 최지훈의 설렁설렁 주루는 말이 안 됨뜬공이라고 생각했으면 귀루해야하는 상황인거 알았을거 아냐외야수가 송구하는거 보면 일단 2루로 뛰었어야지 ㅋㅋㅋ안타라고 생각했더라도 비정상임 당연히 3루로 뛰어갔어야 함- 어어 강백호 껌 씹어요.webp- 김혜성 2타점 적시 2루타.gif킹갓듀댱혜찌 ㅋㅋㅋㅋㅋㅋㅋ- 문보경 견제사 ㅋㅋㅋㅋ.webp- 킹혜성 좌익수 앞 2루타...gif- 윤동희 2타점 적시타.webp- 짱개 아시안 게임 꼬라지 ㅋㅋㅋ1km/h 초저속구194km/h 초강속구- dc official App- 국대 2루수 캡틴 김혜성 끝내기.gif킹갓듀당김혜성 ㅋㅋㅋㅋㅋ- 방금 기자신 전성기 페드로급 승부구…jpg콜드인데 진땀승볼 ㅋㅋㅋㅋㅋㅋㅋ- 야구 국대 댓글.jpgㅋㅋ
작성자 : 짤맨고정닉
Lower for Longer?: 공짜 점심은 없다
지난글에서 나는 인구고령화는 저성장과 R* 하락의 원인이라는 주장과 그렇지 않다는 주장을 나열하며 글을 마쳤다 그렇다면 코호트별 저축률을 분석해보면 진짜 원인을 알수있지 않을까? A. Mian 등의 분석에 따르면 연령에 따른 저축률 수준은 크게 다르지 않으며 코호트별로 분석해보면 '베이비부머'로 불리는 세대들은 저축률이 생각보다 그렇게 크게 증가하지 않았는데 이를 소득수준별로 분해해보면 상위 10% 그룹의 저축률은 크게 증가했지만 하위 50% 그룹은 거의 변화가 없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이유로 A. Mian 등은 높아진 저축률의 원인을 불평등으로 지목하는데, 이는 다시 말해 R* 하락과 저성장의 원인이 불평등에 있다고 해석 가능하다 불평등과 'Lower for Longer', 그리고 민간신용 간에는 인과관계가 존재한다 미국의 경우 가계부채는 디레버리징을 통헤 감축을 성공했으나 최근 기업부채에 대한 우려가 나타나고 있다 가계부채와 기업부채의 합을 민간부채라고 부르는데 A. Mian은 Lower for Longer가 경제를 '부채의존 수요'로 뒷바침되는 경제로 만들었고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이를 통화정책으로만 해결하려 했다면서 '저금리시대를 끝내야한다'고 지적한다 한편 C. Borio 등은 금본위제부터 현재까지 통화정책과 R*의 변천사를 살펴본 결과 R*에 따라 통화정책이 결정된다는 통념과는 달리 통화정책 체제에 따라 R*가 변화했고 흔히 금리가 저축과 투자를 준거로 결정된다는 결정요인보다 통화정책 체제 변화요인이 R* 하락을 더욱 잘 설명하는걸로 나타났다 또 FED를 비롯한 중앙은행들은 과열된 경기에 정책금리 인상으로 대응하는 정도에 비해 둔화된 경기에 정책금리 인하로 대응하는 정도가 컸고 이런 비대칭적 통화정책의 운영이 장기적으로 R*의 하락과 민간부채 증대를 가져왔다 그리고 실제로 M. Schularick과 A. Taylor가 1870-2008 기간동안 민간신용과 금융안정 간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민간신용비율의 증가는 금융위기를 발생시키는 등 금융안정을 저해한걸로 나타났다 무엇이 문제인걸까? 근본적으로 금융과 경제성장 사이에는 단순히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게 아닌 역 U자형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이는 S. H. Law와 N. Singh의 연구 등에서 발견되는 결과다 그래도 Lower for Longer가 투자는 증진시키지 않냐는 의문에는 S. Sharpe와 G. Suarez가 CFO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저금리 상황에서 정책금리를 인하했을때 '이미 금리수준이 낮아서'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말할수있겠다 다시 A. Mian의 주장으로 돌아와보면, 저금리가 불평등을 키웠다는 주장은 주택부문에서는 기각되고 금융자산 부문에서는 타당했으며, 결과적으로 타당한걸로 나타났다 M. Kuhn 등에 따르면 1971-2007 기간동안 주택가격 상승은 하위 50% 그룹의 부를 더 증가시켜 불평등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던반면 주식가격의 경우 반대로 상위 10%의 부를 더 증가시키는걸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그리고 현재 유동성은 많은걸 생각해보게 만든다 마지막으로 O. Akinci 등은 실질중립금리인 R*에서 금융안정 개념을 더한 R**를 통해 통화정책이 효과적으로 운영될수 있다고 밝혔는데 이에 따르면 R**보다 높은 정책금리는 금융불안정을 초래하고 낮은 정책금리 상태를 유지할 경우 R**가 지속적으로 낮아진다고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R**보다 높은 정책금리를 달성할 경우 금융불안정이 초래된다'는 Dovish적 레토릭으로 변화할수 있고, 실제로도 변화해 Q2 FOMC 결정을 지배했지만 그 다음 결과는 '다시 Lower for Longer로 돌아가면 R**가 하락하고 다시 인플레이션 리스크가 생겼을때 더욱 대응하기 어려워진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즉, 리세션과 인플레이션 간의 양자택일 시점이 더 낮아진다는거다 공짜 점심은 없다는 말은 사실 M. Friedman이 시초는 아니지만, 적어도 대중성을 고려할때 자주 출처로 언급되곤 한다 그리고 그 말은 Lower for Longer 기조에 정확히 맞아떨어진다는게 이번글의 결론이다
작성자 : 낭만투자자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