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차, 음료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차, 음료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정치 유투버도 다 아노 ㅇㅇ
- 나무로 만든 타치 구매후기 및 착용 아르군
- [단독] 쌍방울 김성태, 이해찬 용돈용 매달 3천만원씩 이화영 줬다 ㅇㅇ
- 존나 심각해진 삼겹살 근황...JPG 포애
- 블라)남편 지루만들고 고자라며 시댁에 꼰지른다는 새회사녀 실시간기자
- MZ세대도 솔깃해지는 인생 역전하는 방법...JPG 포애
- 싱글벙글 생각보다 현실적인 부처의 가르침 비전럭스
- 김민재 에이전트 "이탈리아에서 좋은 여정이었다" ㅇㅇ
- ???:시민의식이 높은 일본의 쓰레기는 외국인이 버린것 ㅇㅇ
- 쓰레기 버리러 나갔다가…LH 임대주택서 '환기구 추락' ㅇㅇ
- 고전고전 전설의 매미창렬 ㅇㅇ
- 싱글벙글 만신의 하이퍼 리얼리즘.jpg BlackWolfStudi
- 나에게만 상냥한 보추 친구.manhwa 격망
- 푸틴은 예스맨 말만 듣고 있다 ㅇㅇ
- 결정사에서 매칭 80번 했는데도 결혼 못한 32살 한녀.JPG ㅇㅇ
사진마늠)별이 떨어진 자리
https://youtu.be/DxpAScHPzEw합천 저번 겨울부터 간다간다 뿅간다 하다가 결국엔 계속 못가서 이번에 토일월화 쉬는 김에 이틀 써먹기로 하고 출-발함잠들어서 첫차 놓칠까봐 밤새고 남부터미널 갔는데 괜히 쫄아가지고 너무 일찍가서 두시간 기다림 ㅅㅂ남부터미널 안에 있는 김밥집에서 우동 사머거봤는데 맛은 걍 어디서나 먹을 수 있는 우동맛이지만 바로 뒤에 대형선풍기 있는 자리여서 개시원해쓺 개꿀띠합천 도착해서 바로 출발하면서 대야성 옆쪽 지나감품일이형...석가탄신일 지난지 얼마 안되서 이런 장식도 남아있서요날씨가 좋아서 하늘색=물색ㄹㅇ 맨날 이런 날씨여야 싸돌아다닐 맛이 나는데대암산 가는 길은 중간까지 계속 이렇게 도로를 따라가야해서 재미는 업슴그나마 풀이 많아져서 초록초록한 맛에 가는데 여기는 겨울이었으면 진짜 개쌉노잼구간이었을것계속 진입하다가 저수지 나오길래 잠깐 물도 마셔주고 가방 내려놓고 정비도 좀 해줆워낙에 일찍 출발해서 신발도 벗고 여유롭게 휴식도 취해줘용맨날 시간에 쫓기는 트레킹만 했는데 이런 여유도 부리고 마리야계속 진행해서 대암산 임도길 초입에 들어가는데 초입은 풀이 드럽게 마니 자라이씀불편할 정도는 아니에오멀리 정상에서 패러글라이딩 하는 사람도 보여용계속 이렇게 임도길을 따라 올라가야하는데 중후반에는 그래도 그늘있는 곳 좀 있는데 그 전까지는 계속 개땡볕이라서 힘든게 아니라 빡침여유롭게 올라가도록 해오인내를 가지고 계속 올라가다보면 이렇게 주차공간이 나옴여기까지 오면 사실상 거의 다온거시에요주차장에서부터 초계분지가 조망되기 시자캄고도 100미터정도만 더 올리면 패러글라이딩 관제하는 곳이 보여용거기만 도착하면 목적지에오초계분-지운석 떨어져서 만들어진 분지라는데 ㄹㅇ 크레이터 하면 생각나는 딱 그 느낌임반대쪽은 출발했던 합천시가지가 보여용중간에 한 가족이 차끌고 올라왔는데 댕댕이를 풀어놓음 그늘이라고 저 옆에서 앉아 쉬다가 댕댕이가 자꾸 치대서 도망침갯색기야그러다가 새가 한두마리씩 ㅈㄴ 멋있게 날아다니길래 모지 모지 하고 있었는데 점점 증식함이게 다 까마귀에오개마나 진짜아까 그 댕댕이가족들은 내려갔고 와따시는 배도 고프고 해 지기 전까지 한참 남았으니까 저녁을 머거주도록함프링글-스두시간쯤 앉아서 구경하니까 조금씩 해도 떨어지고 어두워지기 시자캄텐트를 저번달에 쓴다음 패킹해놓고 물기랑 흙 처리를 안했더니 꺼내보니까 물기에 흙에 좆창나이씀...그래도 바람이 계속 불어서 순식간에 마르긴 하드라고양일몰 30분전침구류 준비결국 구름땜에 일몰은 별볼일 없어져서 일단 잠듬밤새고와서 넘 피곤해써요 코코넨네자다 일어났더니 달이 똥그랗고 밝아이왕 일어난김에 계속 앉아서 분지 내려다보면서 프링글스 남은거 까먹고 있어씀여유롭게 한시간 넘게 기다렸더니 멀리서부터 하늘 열리기 시작함이렇게 구름을 찢고 빛 한줄기가 보이면서 시작하는 일출이 ㄹㅇ개쩔음텐-풍일출 30분 전부터 본격적으로 산너머가 빨개지기 시작점점 빨개지면서 논에 찬 물이 하늘빛 받으면서 하늘이랑 땅이 전부 진홍색으로 변하기 시작함점점 땅이 하늘색 머금어가면서 분지 전체가 빨갛게 물들고 구름에 분홍 보라색도 묻어나기 시자쿠날씨 맑고 구름 적절하게 있어야 볼 수 있는 보라일출이에오싱글피-쓰저 멀리 산봉우리 해 나올 자리는 점점 주황색이 강해지고 하늘이랑 땅은 보라빛이 절정에 달했워요해 나오는 순간 온세상이 잠시 어두워진 후에그전까지 있었던 색을 싹 다 날려버림실시간으로 세상 색이 변하는거 보면 개머시씀해뜬 직후 현장 분위기데스해뜨고 하늘은 군청으로 변해가구용반대방향은 지리산쪽 방향에서부터 하늘이 열림군청군청키야요까지보고 하산 시작저 너머에 지리산이 있워요내려가던 도중에 분지쪽 보니까 이번엔 빛내림까지 내려오고 이씀보여줄꺼 다 보여주는 일출 ㄹㅇ 혜자구성가다가 물나오는 곳에서 식용은 안될거같길래 일단 손만 씻어줌개시원해오내려와서 초계쪽으로 이동내려와보기 전에는 내려가면 어차피 평지니까 다른 시골이랑 똑같은 느낌이겠거니 했는데 카메라랑 사람이랑 시야가 달라서 사진에는 안담겨도 보닌 기준으로 시야에 닿는 모든 곳이 반원형태 산이 둘러싼 느낌이라 분지 안에 들어왔다는 느낌이 잘 들어줌초계우체국 근처까지 가서 콜라 사묵사실 초계까지 안가고 탈출해도 되는데 콜라 먹고 싶어서 편의점 가려고 5km쯤 우회함초계에서부터는 분지 북서방향으로 고갯길이 있길래 이쪽으로 해서 합천으로 탈출 시작사실 별로 볼만한건 없지만 둘레길도 아닌 주제에 도로 갓길 폭이 넓어서 안전하게 트레킹 할 수 이씀여기 도로는 다 이래서 개꿀이드라느-긋하게 합천터미널에 도차쿠원래 17시 버스였는데 넘 일찍 도착해서 대야성은 걍 나중에 겨울에 와서 보기로하고 11시 버스로 바꿈1시간쯤 남으니까 목욕탕도 가주고 밥도 먹을 생각이었워요목욕탕 가서 가방 캐비넷에 넣었는데 거의 꽉참 흑흑이후에 너무 여유롭게 씻고 나와서 밥사먹을 시간이 없었음1일차 코스2일차 코스1일차 이동거리2일차 이동거리운석 떨어진 곳이라고 해서 저번 겨울부터 와보고 싶었는데 연수다 코로나다 뭐다 해서 계속 시간이 안나서 못왔었음 흑흑직접 와서 눈으로 보면 다큐멘터리나 유튜버들이 찍어놓은거랑 다르게 분지가 워낙에 크다보니까 눈 바로 앞에 있는 것처럼 느껴져서 개 웅장함경상도가 수도권에서 넘 멀어서 잘 안오게 되는데 한번쯤은 꼭 와보세오ㄹㅇ 개 추-끗-
작성자 : 마늘도살자고정닉
F-35 DSI 개발 과정에 대해 알아보자
[ F-35의 정면샷. 양쪽 흡입구를 보면 동체가 볼처럼 튀어나와 있는 데 이런 형상을 DSI (Diverterless Supersonic Inlet)라고 부른다. ][ 중국 J-20의 DSI ]미국의 5세대 스텔스기인 F-35에 처음 적용된 DSI는 이 후 중국 스텔스기인 J-20에도 채택되었는데, 그렇다보니 여기 군갤이나 일부 일반인들 사이에선 마치 내부무장창 마냥 스텔스 기술의 대명사로 받아들여지는 경향이 있다. 뒤에 설명하겠지만 DSI는 스텔스를 의도해서 개발된 게 아니다.F-35의 시작 익히 알려져 있듯이 F-35의 개발 코드명은 JSF(Joint Strike Fighter)다. 그런데 이에 기반이 된 사업이 두 개가 있었는데, 미공군과 해군이 공동으로 진행하던 JAST (Joint Advanced Strike Technology)와 DARPA에서 진행한 CALF (Common Affordable Lightweight Fighter). JAST 역시 미3군통합에 동맹국들까지 쓸 수 있게 가성비있는(Affordable) 경량(Lightweight)의 스텔스 전투기를 목표로 했기 때문에 결국 CALF 사업을 통합 흡수하고 JSF 로 출범한다.JSF는 F-22를 보조하는 멀티롤공격기 컨셉으로 최고속도는 Mach 1.5 정도면 충분하나 내부무장창에 2,000파운드 폭탄을 내장할 수 있어야 했다. 무엇보다 가격이 저렴한 걸 목표로 했다. JSF가 출범한 1990년대는 미소 냉전시대가 끝나고 소련이 붕괴되어 미 방위산업 전반에 걸친 예산삭감 압박이 극에 달하던 시기로 당시 개발중이던 F-22와 F-18 E/F 조차 프로그램이 중단될 뻔한 위기를 겪어야 했다. 복좌형인 F-22B는 결국 사업이 취소된다.따라서 향후 미 3군 (공군, 해군, 해병대)의 차기 전투기는 하나의 기종을 파생하여 개발하며 비용절감을 위해 1 seat, 1 engine을 일찌감치 확정짓고 있던 상황이었다. 2 seats, 2 engines에 익숙한 해군이 여러 차례 우려를 표명했다고 한다.그러므로 JSF에 있어 '저렴한 기체단가'는 반드시 달성해야 하는 과제였던 것이다.[ JSF 사업을 두고 경합한 X-32와 X-35. 둘 다 DSI가 적용되어 있는 걸 볼 수 있다 ]당시 차기 전투기를 위해 진행 중인 선행기술 중 하나가 ACIS (Advanced Compact Inlet System)였고 바로 여기에서 F-35 DSI 가 탄생한다.ACIS는 미공군과 NASA 그리고 주요 항공업체들(보잉, 록마 등)이 공동참여하던 프로그램으로 차기 전투기에 적용할 새로운 흡입구(inlet)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가격(Affordable)이 최우선 과제였으며 그 외 다음과 같은 목표가 있었다. (우선순위대로 표기)1. Life cycle cost2. Weight3. Aircraft system performance4. Survivability5. Aerodynamic performance보다시피 비용절감, 경량화에 촛점이 맞춰져 있고 Survivability(스텔스)는 차순위 였음을 알 수 있다. 때마침 JSF의 Affordable, Lightweight의 목표와 부합되어 ACIS 프로그램이 채택된다. ACIS에는 몇 가지 Technology적 특징들이 있으나 가장 핵심은 Inlet의 Diverter를 삭제하는 것이었다. 동체 내부에 엔진이 장착되는 전투기는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엔진에 공급하기 위해 Inlet (흡입구)과 Air Duct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Inlet, Duct를 포함하여 엔진에 공기를 공급하는 데 관여하는 여러 장치들을 통틀어서 Intake System이라 부른다. [ F-22의 S 형상 덕트 ]Intake system의 목표는 전투기의 다양한 비행조건들(속도, 고도, 기동)에서 양질의 공기를 엔진에 공급하는 데 있다. 보통 여기서 '양질'이라 함은 터보팬에 도달하는 공기의 속도가 마하 0.5 정도, 흡입구에서의 공기압력이 90%이상 유지한 체 도달하는 것을 말한다. 전투기가 비행할 때 전방 동체를 타고 흐르는 기류가 마찰력에 의해 속도가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렇게 느려진 기류가 흡입구에 들어가면 엔진성능이 저하되고 심한 경우 엔진이 멈추기도 한다. 따라서 동체표면의 저속 기류가 흡입구에 들어가지 않도록 흡입구를 동체로부터 이격시키게 되는 데 이 부분을 'Diverter = 경계층' 이라고 한다.[ F-18 E/F의 Inlet 형상. Diverter는 어떤 기구나 장치가 아니라 사진과 같이 흡입구와 동체간 이격으로 생긴 빈공간(혹은 경계층)을 지칭하는 단어이다. F-18E/F 은 대형 LEX(Leading Edge Extention, 흡입구 위에 지붕처럼 덮여있는 부분)가 있어 흡입구를 LEX하고도 이격시켜놓은 걸 볼 수 있다. ] [ F-15 Diverter Inlet. 동체와 떨어져 있다 ][ 유로파이터의 Diverter inlet. 저렇게 동체 하부에 달린 Inlet을 Chin(턱) Inlet 이라 부른다 ][ F-16 Chin Inlet ][ 라팔 Diverter Inlet ][ F-22 Diverter Inlet ]ACIS 프로젝트는 이 Diverter를 없앤 Inlet 시스템을 고안하는 것이 목표다. Diverter를 삭제함으로써 몇 가지 장점이 생기는데. Diverter로 인한 무게와 비용이 감소한다. 논문에 따르면 DSI는 기존 Traditional Diverter Inlet (Caret inlet)시스템 대비 무게는 약 30%, 비용은 20%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 Diverter로 인한 항력(Drag)이 감소한다. . Diverter 공간만큼 공기량을 추가 흡수할 수 있다. . Diverter로 인한 RCS가 감소한다. 다만 RCS 증가는 주로 4세대급 Inlet을 말하는 것으로 5세대인 F-22 의 것은 직선과 경사 등 스텔스형상에 충실한 모습을 지니고 있어 상대적으로 RCS 증가는 크지 않다. 또한 F-35 DSI는 Diverter가 없는 대신 3차원 곡면의 Bump가 추가되었기 때문에 이로 인한 RCS 상승을 감안해야 한다. [ F-35 DSI. 양쪽 Inlet으로 볼처럼 볼록 튀어 나와 있다. 공기가 부딪히는 구조라 해서 Bump inlet이라고도 부른다 ] F-35 DSI는 어떻게 개발되었을까? Diverter를 없애기 위해 적용한 형상적인 특징은 Bump compression surface를 가졌다는 점이다. 여기서 Bump란 기체 표면에 볼록 튀어나온 형상을 말한다. [ 미라지 2000 inlet. Bump 혹은 Half-cone inlet이라고 부른다 ]Bump inlet은 Oblique shock(경사파)를 발생시켜 흡입구의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 글에선 이게 주제가 아니므로 자세한 건 생략..컴퓨터 기술(CFD)이 발달하면서 Bump의 형상을 좀 더 복잡하고 정교하게 설계하는 게 가능해 졌고 이를 더 발전시켜 경계층 분리(Boundary layer diversion) 목적으로 쓸 수 있게 되었다.[ 동체상에 가상의 Cone을 상정하여 Bump의 각도와 그에 따른 효과를 분석한다 ][ Bump형상의 곡률 위치와 크기에 따라 경계층 분리효율이 달라진다 ][ F-35 DSI 주위의 기류를 컴퓨터를 통해 시각화한 것으로 Bump가 저속의 기류(빨간선)를 Inlet 바깥으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록히드마틴은 시뮬레이션을 수행해 본 결과 DSI가 충분히 기존 Diverter inlet을 대체할 수 있다는 결론을 냈고 후속 작업으로 실증기(Demonstrator)를 통해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실증기는 F-16이 활용됐다.[ F-16 Inlet 개조설계 Modeling ][ F-16 Block30 에 적용된 DSI ][ 1996년 12월에 총 12소티를 수행했다. 수평비행은 마하 2까지 확인했으나 기동시험은 1.6 까지만 확인하였다 ]F-16의 기존 Inlet (MCID)와 DSI 의 흡입성능 비교. 상단이 100%이며 한 칸이 5% 단위다. Pressure Recovery가 5% 감소하면 엔진출력은 대략 6%정도 떨어진다. 저속영역에서 DSI가 일부 열세. 천음속은 동등수준. 초음속 구간에서 DSI 약간 우세. MACH 1.6 이상에선 양쪽 다 성능이 급격히 떨어지는 걸 알 수 있다. 어차피 F-35 최고속력이 Mach 1.6이라 의미없긴 하다F-35에 Caret inlet과 DSI를 적용했을 때 예상되는 무게 비교. Caret은 쉽게 얘기하면 다이아몬드 형상을 말한다보고서는 이 결과를 가지고 DSI의 무게가 30% 가볍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다소 과장된 것이다. 비교대상인 Caret inlet 은 당시 F-18 E/F와 F-22에 적용 되었는데 Bleed, Bypass system이 포함된 Caret inlet은 F-22 뿐이다. F-22 inlet은 고기동, 고출력을 목표로 설계된 것으로 경전투기인 F-35의 비교대상으로 적합하지 않다. 같은 Caret inlet인 F-18 E/F는 Bleed / Bypass system이 없으며, F-35가 대체할 대상인 F-16 역시 두 System이 없다. 따라서 Diverter 만을 감안하면 대략 5%내외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DSI의 무게 감량효과가 과장되었음을 알 수 있다.같은 맥락으로 DSI의 유지비 감소효과(약 20%) 역시 대부분 Bleed / Bypass system으로부터 얻어진 것이기 때문에 Diverter가 고정체임을 감안하면 유지비도 큰 차이가 없을 것이다.참고로 KF-21 보라매의 Intake system은 KAI가 독자개발한 게 아니다. 국과연, 항우연은 물론 대학들도 설계에 관여했는데, 공개된 지 20년도 더 된 DSI 기술이 없어서 KF-21에 적용 못 한 것일까? 결론을 말하면 KF-21엔 DSI가 적합하지 않아 적용하지 않았다. 이걸 설명하자면 글이 또 한참 길어지기 때문에 다음 기회에... 올릴 지 말지는 몰루?
작성자 : 우쭈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