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보이숙차의 명품 노동지차전

북경도사 2005.11.10 00:24:50
조회 1436 추천 0 댓글 8

이 차는 11월 2일에 추천한 바 있습니다. 참조하세요.
이 차를 만든 사람은 추병량이라는 보이차계의 유명인사입니다. 원래 맹해차창에서 오랫동안 창장으로 일하다가 독립해서 해만海灣차창을 설립하고 보이차를 생산했습니다. 병차를 만들면 자기의 오랜 직장이었던 맹해차창과 경쟁을 해야 하므로 의리상 병차를 만들지 못하고 전차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차의 이름도 노동지인 것을 보면 의리를 아주 중시하는 사람 같습니다. 노동지는 오랜 동지라는 말인데, 동지同志라는 말은 축자적 해석으로는 '뜻을 같이 하는 사람'의 뜻이지만, 상대방에 대한 일반적인 호칭입니다. 예를 들면 김아무개에게 김동지! 이렇게 부르는 겁니다. 지금은 나이가 많은 사람들이나 가끔 쓰는 말이고, 젊은 층에서는 별로 쓰지 않는 말 같습니다. 
추병량씨의 첫 작품이 바로 이 노동지차전입니다. 차창을 설립하고나서 사운을 걸고 만든 작품으로 숙차의 명품이라고 할 만합니다. 오늘 시음기를 보시면 대략 아실 수 있겠지만 이 차는 충분히 소장가치가 있는 차로서 많이 구입할수록 이익이 나는 차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2001년에 만든 숙전으로 중량은 250그람, 가격은 200위안입니다. 북경도사는 이 차를 왕창 사놓고 싶은데 돈이 없는 게 한입니다. 좋은 숙차를 구하기 쉽지 않은 현실에서 이런 명품을 만날 수 있는 것도 행운에 속합니다. 만약 보이숙차가 전부 이런 것이라면 우리나라 사람들이 생차만을 편애하는 현상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입니다. 실제로 지금 중국시장에서는 숙차가 더 비싸게 팔립니다. 숙차의 참맛을 모르는 사람들이 생차만 선호하는 것입니다.
 
 

 
 
집에 있는 샘플입니다. 매일 한 번씩 우려 마셨더니 양이 많이 줄었습니다. 한국으로 샘플로 약간 보낸 것 외에는 북경도사가 마셔 없에고 있습니다.
 
 


 
 
오늘 사온 정밀 전자저울입니다. 500그람까지 잴 수 있습니다. 시음을 할 때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거금을 투자했습니다. 북경에서 제일 큰 시장은 동교시장에서 발견한 것인데 무려 350위안이나 달라는 것을 깎고 또 깎아서 250위안에 사왔습니다.
원래 보이차는 5그람 정도 넣는 것이 적당한데 북경도사가 일부러 많이 넣었습니다. 그 이유는 조금 후에 알게 됩니다.
 
 

 
팔팔 끓는 물을 부었습니다. 거품이 거의 나지 않았습니다. 물론 세차할 때에는 차가 다 안 풀어졌기 때문에 거품이 적지만 이후로도 별로 거품이 많지 않았습니다. 세차는 10초로 두 번 했습니다.
 
 
 






첫번째 물입니다. 마치 사약같지 않습니까. 5분이상 우렸습니다. 제대로 된 차라면 이렇게 진하게 우렸을 때 목에 걸리는 게 없어야 합니다. 넣은 차의 양도 많고 우린 시간도 길었기 때문에 독해서 못 마실 거라고 생각하신다면 노동지차전을 너무 띠엄띠엄 보신 겁니다.
이렇게 마셔보면 맹물 마시는 것과는 다르게, 목구멍을 넘어갈 때 마치 점성이 있는 진한 액체가 끊어지지 않고 빨려들어가는 듯한 느낌이 납니다. 그러면서도 전혀 거부감이 나지 않습니다. 차 자체에서 우러나오는 진액의 느낌을 느껴보기 위해서 이렇게 우린 겁니다.
20년 이상 된 노병을 이렇게 진하게 마셔본 사람은 이 맛을 알 겁니다. 북경도사가 누차 얘기했지만 이 차는 정말로 20년 이상 된 노병의 맛을 내는 숙차의 명품입니다. 지금 5년 되었는데 이 정도라면, 다시 5년이 지나면 어떤 맛이 나올까 정말 기대됩니다.  
향을 맡아봐도 감탄이 절로 나옵니다. 잡냄새가 전혀 없이 깨끗합니다. 물론 숙병 특유의 차향이 납니다. 이 차향은 습을 조금 먹은 노병에서 나오는 향과 아주 비슷합니다. 
 
 

 
 
두번째 물입니다. 이후로는 우리는 시간을 10초 정도로 했습니다.
 
 
 


 
 
세번째 물입니다. 색깔이 아직도 사약 같습니다.  
 
 
 


 
 
네번째 물입니다. 사진이 흐리게 나왔습니다. 밑에 연연이가 꼼지락거리고 있습니다.
 
 
 


 
 
베개는 이렇게 의젓한데 말이죠.
 
 
 


 
 
다섯번째 물입니다.
 
 


 
 
역시 다섯번째 물입니다. 워낙 사약같아서 책상의 조명 밑에서 찍었습니다. 그래도 사약같네요. 물론 맛은 전혀 사약이 아닙니다.
 
 
 


 
 
여섯번째 물입니다. 이때부터 단 맛이 갑자기 강해지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이런 느낌은 사람마다 다르고 우리는 환경마다 다를 겁니다. 단 맛이 나지 않는 차는 기본적으로 좋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일곱번째 물입니다. 밑에서 연연이과 베개가 놀고 있습니다. 말이 노는 거지 연연이가 베개를 쥐잡듯이 잡고 있는 겁니다. 내가 있어서 저 정도지 없으면 난리굿이 날 겁니다.
 
 


 
 
뭔 생각을 하고 있을까요. 말을 해봐! 말을!!
정말 말을 할 줄 안다면 좋겠네요. ^^
 
 
 


 
 
여덟번째 물입니다.  탕색이 옅어지기 시작합니다.
 
 
 


 
 
아홉번째 물입니다. 연연이가 조신하게 있습니다.
 
 
 


 
 
열번째 물입니다.
 
 
 


 
 
열한번째 물입니다.
 
 
 


 
 
열두번째 물입니다.
 
 


 
 
열세번째 물입니다.
 
 


 
 
열네번째 물입니다.
 
 
 


 
 
열다섯번째 물입니다.
 
 


 
 
열여섯번째 물입니다.
 
 


 
 
열일곱번째 물입니다.
 
 


 
 
열여덟번째 물입니다.
 
 


 
 
열아홉번째 물입니다. 바로 위의 사진과 비교해보세요. 연연이 자세가 똑같지 않습니까. 대략 2, 3분은 걸렸을 텐데 그렇게 긴 시간을 이렇게 같은 자세를 유지합니다. 오늘은 얌전하군요.
 
 
 


 
 
다식입니다. 차를 마실 때 배가 고프면 이걸 조금 먹으면 좋습니다. 한 갑에 5위안입니다. 아주 맛있습니다. 이런 거 주문하면 안 됩니다. 운송비가 더 많이 나옵니다.
보통화로는 디엔신, 광동어로는 딤썸, 우리말로는 점심. 다 같은 말입니다. 이 말은 원래 당나라 때 선불교에서 나왔다고 합니다. 당시에는 하루에 두 끼를 먹었는데 스님들이 한 낮에 참선을 하면서 불도를 닦을 때 배가 고프면 잡념이 생기잖아요. 그때 마음에 점 하나 콕 찍듯이 아주 간단하게 간식을 먹었답니다. 마음에 점을 찍는 것이 바로 점심이죠.
보통화에서 디엔신은 과자같은 간단한 간식거리를 말합니다.
 
 


 
 
스무번째 물입니다.
 
 
 


 
 
스물한번째 물입니다.
 
 
 


 
 
스물두번째 물입니다.
 
 
 


 
 
스물세번째 물입니다.
 
 


 
 
스물네번째 물입니다.
 
 

 
 



 
 
엽저입니다.
 
북경도사에게 차를 사는 분들의 기호는 매우 다양합니다. 다양한 손님 중에서도 보이차를 좋아하는 분이 가장  많은 것 같습니다. 대개는 편당 1000위안 미만의 생병을 구입하시는데 그 이유는 대개 지금 싼 값에 사놨다가 나중에 마시려고 하는 걸 겁니다. 숙차는 아직까지 팔려고 애써 본 적도 없고 원하는 사람도 없었습니다. 
 
수십년 된 골동보이차는 예술품과 같습니다. 골동품을 완상하는 것처럼 천천히 음미하기 위해서 이런 차를 삽니다.
 
생차는 오래 보관해서 가치를 높이고, 세월이 흘러 나이가 들면 하나씩 꺼내서 즐기려고 삽니다. 혹은 후대에 전승하기 위해서 삽니다. 지인 중에 자기 재산을 자식에게 물려주지 않고 보이차를 물려주겠다고 대량 구입하시는 분이 있습니다. 자식이 보이차의 가치를 알면 보배를 전해주는 것이고 모른다면 자기 복이 그만큼밖에 안 된다는 생각을 하시더군요.
 
그럼 숙차는 왜 살까요. 이건 마시기 위해서 삽니다. 건강에도 좋고, 노병의 맛을 싼 값에 즐길 수 있기 때문에 사는 겁니다. 
 
중국인 중에 보이차를 마시는 사람은 전체 인구의 0.3%밖에 안 된다고 합니다. 노병 생차는 너무 비싸서 마실 수가 없고, 어린 생차는 맛이 없고 보이차 특유의 진미를 느낄 수 없기 때문에 마시지 않습니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어린 생병을 마시려면 차라리 녹차를 마시는 게 더 좋지 않습니까. 이러한 이유로 숙차를 많이 마시고 값도 더 비싼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의 보이차애호가들은 숙차에 대한 편견을 버릴 필요가 있습니다. 당장 보이차를 즐기려고 한다면, 오늘 추천하는 노동지차전 같은  숙차의 명품을 선택해서 편안하게 즐겨 보세요. 가격 부담도 적고 맛도 기가막히게 좋습니다. 만약 5년만 더 소장한다면 30~40년 된 청병의 맛을 낼 거라고 생각합니다.
북경도사가 돈만 많다면 차시장 내에 있는 노동지차전을 전부 사들여서 매점매석하고 싶습니다. 시장에서 씨를 말려놓은 다음에 몇 년 기다렸다가 폭리를 취하자는 거죠. ^^;;
이 차는 지금 200개 이상 살 수 있습니다. 대량구매하면 값이 떨어집니다. 만약 이번 구매에 노동지차전을 100편 이상 구매하게 되면 가격을 이문 포함해서 250위안으로 맞출 수 있습니다. 많이 구매해주세요.
 
 

 
 
원래는 빈 물통이었는데 이 차 우리면서 이렇게 되었습니다. 그 많은 찻물을 다 마실 수 없기 때문에 반잔씩만 마시고 버렸더니 이렇게 됐습니다. 조금씩 마셨는데도 몸에서 열이 많이 났습니다.  
 
 
 
 



 
예전처럼 생수를 사다 먹으면 아깝게 찻물을 버리진 않았을 텐데요. 최근에 북경도사는 정수기를 샀습니다. 수도물을 떠다가 위에 붓는 식입니다. 400위안인데 5000리터를 정수하고 필터를 갈아주면 된답니다. 물론 그런 말은 안 믿죠. 한 번 정수해서 마시지도 않습니다. 더럽기로 유명한 북경의 수도물을 한 번 정수해서 마신다면 북경 물에 대한 예의가 아니죠. 한 번 거른 후에 다시 한 번 걸러서 마십니다. 지금까지는 물맛이 괜찮은 편입니다.
 
 
북경도사의 블로그에 오시면 더 많은 차에 관한 얘기를 볼 수 있습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1318 홍차의 효능 [3] Nitro 06.02.16 2545 3
1317 ^^~ 쟈스민~~ [1] 06.02.15 426 0
1315 코코아... 공부하다가 피곤할때 마시면 최고라고 하던데... [9] 오너's 06.02.14 1645 0
1312 횽아들~ 내가 허브차를 살려고 하는데 [6] ..... 06.02.13 595 0
1311 홍차의 효능으로는 어떤게 있나요? [3] 실론티 06.02.13 1065 0
1310 [질문] 졸업선물로 비알레티의 모카포트를 생각하는데요..... [7] Final_Cut 06.02.13 1079 0
1306 까페모카 위에 얹혀있는 휘핑크림은..? [6] 까페모카 06.02.13 1273 0
1305 스타벅스나 커피빈에서 커피에 휘핑 얹어주자나요 [5] 광학3배 06.02.13 1763 0
1304 물에 타면 거품일어나면서 물이 탄산음료로 변하는 알약같은거,.알어?? [6] 44 06.02.12 1277 0
1302 카페 모카 & 캐러멜 모카 [4] Nitro 06.02.12 1597 0
1299 따뜻한 결명자 한잔 하세요... [6] 잡스 06.02.10 612 0
1295 에스프레소 원두 살만한 곳? 인터넷에서요. [6] 초보 06.02.09 865 0
1293 비알레띠 브리카 첫 시음 후기 [11] 고라니 06.02.09 1535 0
1292 이탈리아 caffe 체험기 [2] 킹콩 06.02.09 889 0
1291 대전에 괜찮은 커피숍좀.. [3] 좁좁좁 06.02.09 766 0
1290 다즐링 향기가 너무 강하지 않나요? [2] 도라지 06.02.09 782 0
1289 영등포에 있는 찻집좀 알려주세요~ [1] 큐트 06.02.09 239 0
1287 모카포트 또 질문이요 ㅠ.ㅠ [9] 고라니 06.02.08 681 0
1286 홍차의 꿈 - 실론티 [6] 닭둥이 06.02.08 961 0
1284 햇살좋은 창가에서 [1] 팟찌 06.02.08 322 0
1283 이과수 커피 시음기 [5] 킹콩 06.02.08 1197 0
1282 모카포트 질문~ [9] 고라니 06.02.07 783 0
1281 홍차는 어떤것???? [3] 큐트 06.02.07 540 0
1279 보이차 가격공개 시리즈 1. (육대차산) [6] 북경도사 06.02.07 7667 0
1278 운남칠자병차 40년산도 존재하나요~??? 고수님들 답변좀... [5] ㅇㅇ 06.02.06 1392 0
1277 [AZ3] 스타벅스 [5] Daybreak 06.02.06 1345 0
1276 차 즉석에서.... [3] 큐트 06.02.06 387 0
1275 라떼아트 - 르네상스 [5] Nitro 06.02.06 1126 0
1273 끼니때마다 녹차 마십니다. [4] ㅇ_ㅇ 06.02.06 755 0
1271 루피시에 사쿠란보 냉침버전 [5] Nitro 06.02.06 1408 1
1270 네스까페 마스트라 [2] 나나나나나나나나 쏴~ 06.02.06 516 0
1269 형들 질문있는데요 [5] 퉤퉤 06.02.05 244 0
1268 저두 원두에 관심이 많습니다. [2] 딩글딩글 06.02.05 404 0
1266 요즘 원두에 관심이 많은 학생이어요 [9] 초짜 06.02.05 892 0
1265 코카콜라 라이트 [5] Reef 06.02.04 1267 0
1263 중독 [2] 06.02.04 405 0
1260 따뜻한 차 한잔... [1] 써니*DF 06.02.03 371 0
1259 찻물 우리기... [2] AP's...... 06.02.03 469 0
1258 캔모아 팥빙수 [3] 초코매니아 06.02.03 1112 0
1254 인스턴트커피 추천바래요 [2] 과객 06.02.02 1243 0
1252 모닝커피는 왜마시는 거죠? [13] ㅇㅇ 06.02.02 1452 0
1250 훃들 차 같은거 어디서사??? [5] 서.총 06.02.01 616 0
1249 아래에 있는 노산차사진과 구선녹차(九仙綠) [1] 만마 06.02.01 658 0
1248 파르페임둥... [3] Nitro 06.01.31 805 0
1247 이거 철관음 맞나요? [5] 소인배 06.01.31 598 0
1246 리노 스타벅스 [1] 써니*DF 06.01.31 1361 0
1245 우유평정 [21] ff 06.01.31 1722 0
1244 차좋아하는 초보인데 궁금한게 있어 흉아들... [7] ㅇㅇㅇ 06.01.30 528 0
1242 접때 커피빈 컵 산다고 했는데, [3] 06.01.29 1600 0
1239 [록엠씨]조각케익과 차한잔의 여유 연출하기 - 데뷔샷 [8] 록엠씨 06.01.28 1661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